부동산 >

지방 미분양 사준다는데 공고 후 신청 단 1건 그쳐

정부 매입가 너무 낮아 참여 저조

정부가 지역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해 꺼내든 '지방 미분양 아파트 매입 사업'이 공고 후 13이 지났지만 신청은 단 1건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미분양이 심각하다며 아우성이었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상황인 셈이다. 주택업계는 미분양 매입가격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참여가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1일 공고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 신청에 현재까지 단 1건만 접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2만3722가구로 지난 2013년 9월 이후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예상 밖의 결과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건설업계에서는 '매입가격'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LH가 책정한 매입가는 감정가의 83% 수준인데, 문제는 그 감정가 자체가 시세보다 20~30% 낮다는 데 있다"며 "결과적으로 시세의 50~60% 선에서 거래하라는 셈인데 누가 그 가격에 넘기겠느냐"고 반문했다.

결과적으로 고금리 기조와 자재 값 상승, 미분양 누적으로 인한 자금경색 등 삼중고에 시달리는 가운데 정부의 매입정책마저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반응이다. 심지어 일부 건설업체는 "차라리 할인분양으로 시장 소비자에게 직접 접근하는 게 낫다"며 사실상 정부 정책을 우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이달 말까지 매입 신청을 받고 있어 마감이 다가오면 신청이 늘어날 것"이라며 "아직 공고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시장에서는 현재와 같은 매입가격 수준에서는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는 분위기다.

한편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2만3722가구 중 지방이 1만9179가구로 전체의 80% 이상이다. 대구·경북·경남 등 일부 지역에서는 아파트 한 단지 내 수백가구가 장기간 미분양 상태로 방치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