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지난 1월 22일 출시한 인공지능(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통해 2달간 약 160억원 상당의 피해를 예방했다고 7일 밝혔다.
KT는 서비스 개시 후 '주의'·'위험' 등급으로 탐지된 보이스피싱 통화 중 확인 가능한 1528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392건(25%)이 경찰청의 보이스피싱 블랙리스트 또는 검찰·경찰 사칭 사례로 확인됐다.
정부가 발표한 지난해 보이스피싱 건당 평균 피해액이 약 4100만원이므로, 단순 계산 시 약 160억원 규모의 피해 예방 효과를 거뒀다고 KT는 분석했다.
보이스피싱 통화 탐지 정확도는 90.3%였다. 다만 요금 청구나 수납 관련 정상 통화를 보이스피싱 통화로 잘못 탐지한 사례가 일부 발생했다. KT는 AI 엔진 고도화와 화이트리스트 업데이트를 통해 상반기 내 정확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KT는 서울경찰청과 협력해 해당 기술과 경찰이 확보한 악성 앱 설치 URL을 연계함으로써 실제 보이스피싱 피해를 차단하는 데도 기여했다고 밝혔다.
보이스피싱 의심 번호와 통화한 고객이 해당 URL에 접속한 3667건의 사례를 서울경찰청에 제공했으며, 경찰은 이를 바탕으로 피해자와 직접 연락하거나 대면 접촉해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었다는 것이 KT의 설명이다.
KT는 이번 4월부터 케이뱅크와 협력해 금융권에도 AI 기반 보이스피싱 실시간 탐지 기술을 적용한다.
고객이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전화를 받으면 KT는 실시간 탐지 정보를 케이뱅크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 출금 정지 등 직접적인 금융 사기 대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KT는 향후 다른 금융사로도 해당 기술이 확대 적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KT AX혁신지원본부장 이병무 상무는 “KT의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보이스피싱 예방에 기여하고 있어 매우 고무적”이라며 “통신사 구분 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후후’ 앱을 통해 더 많은 국민들이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