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문화예술계가 위기에 처했다. 베를린시 정부는 문화예술 예산에서 약 1억3000만유로를 삭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총 예산의 약 12~13%를 차지하는 비용이다.
독일 문화예술계는 예산 축소라는 혼란과 불안 속에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예산 삭감으로 올해 소규모 스튜디오와 극장은 파산할 가능성이 있으며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작품을 공연하는 것으로 유명한 베를린 앙상블은 5~6개에 작품을 취소할 예정이라고 한다.
베를린은 유럽 문화의 중심지다. 젊은 예술가들이 모이고 새로운 에너지로 신선한 작품이 탄생된다. 그러나 지금 예술기관들은 예산을 더 많이 받기 위해 개별적으로 정치권과 협상에 나서는 등 고군분투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이제 모든 기관이 서로 경쟁자가 됐다. 우리끼리 싸우게 만드는 것이 정부의 의도인 것 같다"며 씁쓸함을 감추지 못했다.
이와 같은 베를린의 상황과 한국의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문화체육관광부 예산이 국가 전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고 한다. 올해 예산은 전체 국가 예산 대비 1.05%로 최근 10년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예산 문제뿐만 아니라 국립예술단체의 지방 이전 문제도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 주도로 진행된 주요 공공기관 지방 이전 사례를 봐도 지방 이전이 유일한 해법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난 2019년까지 통폐합을 거쳐 153개 공공기관이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했지만 수도권의 전국 경제성장 기여율은 오히려 증가했다. 문화예술 관련 공공기관이라고 다를 순 없을 것이다. 특히나 문화예술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예산이 뒷받침되지 않고 적절한 인프라도 없는 상황에서 문화적 수요 등도 먼저 검토하지 않은 채 단순히 자리만 옮기는 것으로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지 이전에 대한 신중함이 요구되는 바다.
베를린에서는 구조 개편과 예산 절감이 해답이 아니며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베를린이 유럽의 문화 수도로 계속해서 남을지, 아니면 예술가들이 떠나는 황량한 도시로 전락할지는 지금의 선택에 달렸다. 한국 역시 문화예술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보장하는 근본적이고도 장기간에 걸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K로 대표되는 한국 문화예술도 그 위상을 지속적으로, 더 높게 이어갈지, 화려한 과거로 남겨 놓을지 지속 가능한 발전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최상호 국립오페라단장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