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후 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시의원들이 사상~하단선 건설현장을 방문해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부산교통공사 제공
[파이낸셜뉴스] 부산교통공사는 도시철도 건설현장 주변의 땅꺼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 강화 대책을 수립하고, 다각적인 대응에 나섰다고 10일 밝혔다.
최근 5년간 전국에서 연평균 166건의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하는 등 땅꺼짐 사고 우려가 지속되면서 공사는 단편적 조치가 아닌 전방위적 대응 체계를 마련해 사전 진단 및 기술적 대응 강화, 합동 점검 및 협력 체계 구축, 현장 예찰 및 주민 참여 확대, 책임 있는 안전문화 확산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안전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
먼저 땅꺼짐 우려가 큰 사상구 새벽로 구간에는 지반침하 위험도 평가 용역을 시행해 시추조사와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통해 지반 안정성을 분석 중이다.
이와 함께 약 1100곳에 수직 차수보강 그라우팅을 추가 시공하고 있으며, 지반 이완 방지를 위한 보강공사도 이달 중 완료할 예정이다.
현장에는 지하수위계 및 지표침하계 등 계측장비 58곳을 추가로 설치하고, 전문 계측업체가 상주하며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집중호우가 시작되는 우기 전에 토공작업을 선제적으로 마무리해 굴착에 따른 지반 변위를 사전에 차단할 방침이다.
땅꺼짐의 원인이 복합적인 만큼 공사는 부산시·관할구청·부산환경공단·KT 등 지하매설물 관리기관과 주기적으로 합동점검을 시행한다.
또 대한토목학회 등 관계 전문가와 함께 해빙기 및 우기 전 합동안전 점검을 시행하고, 시의회와 현장 방문 점검도 병행해 공공의 신뢰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사는 주·야간 순찰조를 편성해 상시 예찰 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순찰 중 발견된 의심 장소는 선제적으로 굴착해 확인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월, 순찰조가 새벽시장 인근에서 상수관 파손 징후를 조기 발견해 보수 작업을 완료하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 바 있다.
또 인근 주민이 땅꺼짐 의심 지역을 직접 신고할 수 있도록 신고센터를 운영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부산교통공사와 16개 시공사가 10일 오후 사상~하단선 502-1정거장 부지에서 ‘도시철도 건설현장 안전결의대회’를 개최했다. 공사 제공
한편, 공사는 10일 오후 사상~하단선 시공사인 두산건설 등 16개사와 함께 ‘도시철도 건설현장 안전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현장에는 건설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안전에 대한 인식 전환과 실천 의지를 다지고, 결의문을 낭독하며 책임 있는 안전문화 정착을 다짐했다.
결의대회 후에는 외부 전문가가 참여한 GPR 탐사를 실시했으며, 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시의원도 현장을 방문해 점검 과정에 함께해 현장에 대한 신뢰도를 높였다.
이병진 공사 사장은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지반침하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라며 “사전에 점검하고 대비하는 것이 공공기관의 책무라 생각하며, 앞으로도 실효성 있는 조치를 흔들림 없이 추진해 안심할 수 있는 도시철도 건설현장을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