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해양산업 재건" 트럼프 특명에 순풍 부는 'K조선'

행정명령 서명…"돈 쏟아부을것"
세계 1위 한국과 협력 강화 기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선업 재건과 중국 해양패권 견제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조치로 동맹국 협력 로드맵이 구체화되면서 한미 조선협력 강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는 지난해 대통령 선거 때부터 한국 조선업계에 러브콜을 보내왔다. 한국은 세계 1위 수준인 조선 기술력과 생산 역량을 보유해 미국 내 조선업 인프라 확충 과정에서 파트너로 부상할 여건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는 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미국의 해양 지배 회복'이라는 제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행정명령은 미국의 안보와 경제 번영을 위해 미국 해양 산업 및 인력을 재건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트럼프는 국무부·상무부·노동부·교통부·국토안보부·무역대표부(USTR) 및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선발한 기관장들에게 '해양행동계획(MAP)'을 작성해 210일 안에 제출하라고 지시했다.

이와 별도로 상무부·교통부·국토안보부에 △상업 및 방위분야 선박 건조 역량 △부품 공급망 △선박 수리 및 해상 운송 능력 △항만 시설 △관련 인력 등에 대한 투자 확대방안을 180일 안에 보고하라고 명시했다. 아울러 상무부는 MAP 일환으로 90일 안에 동맹국 조선업체가 미국에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행정명령에는 해양안보신탁기금 설립으로 MAP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트럼프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우리는 조선에 많은 돈을 쓸 것"이라며 "우리는 아주 많이 뒤처져 있다. 예전엔 하루에 한척의 배를 만들곤 했지만, 사실상 지금은 1년에 한척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그럴 능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조선업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1만t급 수송선을 4일 만에 완공할 정도로 강력했지만 냉전 시기를 거치면서 경쟁력을 잃었다.

2023년 기준 세계 선박 건조량 가운데 미국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0.13%에 불과했다. 중국은 현재 7800척 이상의 상선을 운항하고 있다.
미국은 185척의 상선이 운항 중이다.

한편 트럼프는 행정명령에 중국을 견제하는 내용도 넣었다. 그는 USTR에 해양, 물류, 조선 부문에 대한 중국의 불공정행위 조사를 지시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김동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