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LG전자 "46% 관세 확정되면 추가 투자 어렵다"...美관세에 '글로벌 사우스' 전략 속도조절 나서나

LG전자 "베트남 하이퐁 내 제조기지 확대 위한 투자 재고"
LG전자 베트남 법인 지난해 수출 실적 약 17조...46% 관세 부과시 피해 막대
베트남 정부 추가 협상에도...상황 급변으로 당분간은 관망 분위기 우세


LG전자 "46% 관세 확정되면 추가 투자 어렵다"...美관세에 '글로벌 사우스' 전략 속도조절 나서나
지난 11일 오후 베트남 하이퐁 경제특구관리위원회는 개최한 미국의 상호 관세정책 관련 기업인 회의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 하이퐁시 공식 홈페이지 갈무리
【하노이(베트남)=부 튀 띠엔 통신원·김준석 기자】“LG전자는 내년까지 하이퐁 제조기지의 규모를 더 확대할 계획이었지만 미국 관세 문제로 내년 투자는 재고해야 하는 상황이다.”
베트남 하이퐁에서 글로벌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는 LG전자 베트남 법인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폭탄 정책이 바뀌지 않을 경우 향후 베트남 내 투자 확대 계획을 보류하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베트남 내 생산된 가전 제품 다수를 미국시장에 직접 수출하고 있으며 지난해 기준 120억달러(약 17조1528억원) 이상의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 . 당초 LG전자는 침체에 빠진 가전 시장의 돌파구로 '글로벌 사우스' 중 하나인 베트남을 중심으로 투자와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46%의 관세 부과까지 거론되자 베트남 내 투자 확대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베트남 언론과 하이퐁 경제특구관리위원회가 예상한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손실액은 약 28억1000만달러(약 40조 711억원)에 달한다.

14일 베트남 현지 매체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베트남 하이퐁 경제특구관리위원회는 미국의 상호 관세정책 관련 기업인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 참석한 기업 관계자들은 한 목소리로 베트남 정부가 적극적으로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나서줄 것을 주문했다. 김완기 LG전자 베트남 법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미국 관세 문제로 내년도 하이퐁 내 짠주 산업단지 추가 투자를 재검토해야 할 상황"이라고 토로하며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그는 "베트남 정부와 하이퐁 정부가 관세 및 협상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LG전자를 비롯한 LG그룹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다"면서 "지난주부터 베트남 정부가 미국 정부와 첫 협상을 시작하면서 관세정책이 90일 연기된 것은 매우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베트남산 제품에 대해 46%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기 전까지, 베트남에 적용되던 최혜국 대우(MFN)에 따른 평균 관세율은 약 9.4%였다. 구체적으로 농산품은 평균 17.1%, 비농산품은 평균 8.1%의 관세가 부과됐다. 미국산 제품의 대베트남 수출 시 대부분은 15% 이하의 세율이 적용됐다. 이 때문에 중국을 대체할 포스트 차이나로 떠올랐다.

하지만 지난 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46%의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한국·중국·일본 기업들이 진출한 하이퐁과 박닌·타이응우옌 등 대표적인 제조·산업단지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LG전자와 삼성전자는 직원들의 베트남 출장을 전격 보류하고 상황을 예의주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 이후 베트남 협상 대표단이 미국을 찾는 등 추가 협상이 개시됐다.

업계 관계자는 "베트남 정부가 관세율 인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상황을 예단할 수 없다"면서도 "현재 상황이 급박하게 변하고 있어 섣불리 투자 확대를 결정할 수 없는 상태"라고 전했다.

한편, 하이퐁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미국으로 수출되는 베트남 상품에 예정대로 46%의 상호관세가 부과되면 하이퐁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수출세율은 다른 지역의 경쟁회사보다 10~20%p 더 높아지게 돼 베트남 상품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 하이퐁에는 LG전자를 비롯해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이 생산시설을 운영 중이다. LG디스플레이과 LG이노텍은 미국산 부품을 수입해 베트남 제조기지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 부 튀 띠엔 통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