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드라마 만들고 AI 기술 접목… 웹툰업계 수익화 고군분투

웹툰 원작 악연 넷플릭스서 흥행
IP 판매 넘어 자체 제작까지 나서
AI 활용한 서비스도 잇달아 출시

드라마 만들고 AI 기술 접목… 웹툰업계 수익화 고군분투
드라마 만들고 AI 기술 접목… 웹툰업계 수익화 고군분투
팬데믹 당시 폭발적으로 성장하다 정체기에 들어선 웹툰업계가 지식재산(IP) 확장과 인공지능(AI) 기술을 무기로 삼아 반등을 준비하고 있다. 웹툰 플랫폼이 지닌 웹툰 IP 영상화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자체 제작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시키고, AI 기술을 통해 기존 서비스를 고도화하거나 IP 결합을 통한 신규 서비스를 발굴하는 것이 골자다.

■'악연' 드라마 보고 웹툰도 본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4일 공개된 동명 카카오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넷플릭스 시리즈 '악연(왼쪽)'이 공개 2주차에 글로벌 TOP 10 시리즈(비영어) 부문 2위를 기록했다. 드라마가 주목받자 원작 웹툰 소비도 늘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악연 원작 웹툰의 조회수는 시리즈 공개 후 완전히 달라졌다. 국내 주간 기준으로 공개 전인 3월 셋째주에 비해 4월 둘째주 조회수는 약 68배 급증했다. 카카오웹툰 관계자는 "드라마가 호평받은 이후 원작 유입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악연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함께 자회사 바람픽처스·영화사월광이 자체 제작한 작품으로 그간 IP 판매와 다르게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가져갈 이윤도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웹툰 기반 영상 제작건수 늘린다

네이버웹툰도 최근 웹툰 IP를 기반으로 한 영상 제작 건수를 크게 늘리고, 자체 제작 비중도 높이고 있다. 지난 1월 공개돼 글로벌 TV쇼(비영어)부문 1위를 거두는 등 대성공을 거둔 '중증외상센터'가 대표적이다. 네이버웹툰 측에 따르면 지난 2014~2021년까지 8년 동안 글로벌에서 네이버웹툰·웹소설 IP 영상화 작품은 71개에 그쳤지만, △2022년 25개 △2023년 30개 △2024년 38개 △2025년 28개 이상(예정)으로 4년 간 100개를 훌쩍 넘어설 예정이다. 여기에 지난 2018년 설립된 웹툰의 자회사 스튜디오 N이 제작에 참여한 작품 수는 2018~2021년까지 8개지만 2022~2025년에는 27개에 달한다.

웹툰 플랫폼이 단순 IP 판매를 넘어서 영상 자체 제작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이유는 수익 다변화 때문이다. 더 이상 플랫폼이나 웹툰의 경쟁력만으로는 성장 한계에 부딪히자 자체 제작을 통한 이익 극대화와 함께 원작 유입을 통한 플랫폼 활성화 등을 노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웹툰 업계는 AI기술을 응용해 수익화와 저작권 침해 방지에 나서고 있다. 네이버웹툰이 AI 기술을 이용한 신규 서비스 '캐릭터 챗(오른쪽)', '웹툰 캐리커처', '툰 필터' 등이 이용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네이버웹툰 관계자는 "AI와 IP 결합의 시너지가 계속 만들어질 수 있도록 도전적인 실험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도 자체 서비스 고도화 및 AI를 통한 웹툰 숏츠(짧은 영상) 제작에 집중하고 있다. 웹툰 회사들이 이러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반등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wongood@fnnews.com 주원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