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서울 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이 오픈 준비에 한창이다. 뉴스1
[파이낸셜뉴스]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MBK파트너스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했다'는 금융감독원(금감원) 지적에 "신용등급 하락을 예견하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홈플러스는 24일 MBK파트너스와 공동입장문을 통해 "신용등급하락을 예견했다면 자금보충약정과 상환전환우선주의 조건변경은 올해 2월 신용 정기평정 심사 이전에 제시됐어야 마땅하다"며 "2월 25일 예정통지를 받은 후에야 이런 조치들을 취했다는 것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예견하지 못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홈플러스와 MBK에 따르면 지난 2월 25일 한국기업평가로부터 신용등급 하락 예정사실을 최초 통지받은 후 이의신청을 준비해 다음날인 26일 오후 2시 한국기업평가 담당자들을 면담하면서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에 대한 1000억원 상당의 자금 보증 약정, 홈플러스 상환전환우선주(RCPS)의 상환 조건 변경에 따른 부채비율 저감 효과에 관한 자료(부채비율이 982.7% 에서 425.9%로 개선)를 제시하고 설명했다. 신용등급 하락을 예견했다면 예정 통지 이전부터 이런 조치들을 취했을 거란 게 홈플러스 측 주장이다.
홈플러스 측은 "2월 28일 오후 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 및 기업어음 발행사인 신영증권으로부터 하락한 신용등급으로는 기존 융통해오던 단기 운전자금 규모의 40% 정도밖에 구할 수 없다는 점을 전달 받았다"며 "당일 오후 회생신청 서류작업을 위한 실무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이어 "주주사의 담당 직원들은 2023년 대형유통회사에게 회생절차가 적합한지 여부에 관해 일회성 자문을 구한 적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자문 내용이 현실성이 부족해서 중단됐으며 이는 지난 3월 4일 홈플러스 회생절차개시 신청과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와 MBK는 6000억원 규모로 추정되는 ABSTB 피해에 대해서도 책임이 없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이들은 "홈플러스와 MBK는 2월 25일 ABSTB의 발행·판매 및 재판매의 거래당사자가 아니며, 해당 거래에 관여한 바가 없다"며 "ABSTB는 신영증권이 만든 특수목적법인(SPC)이 카드사들로부터 홈플러스의 상품거래 카드 채권을 실질적으로 인수한 후 투자자에게 발행한 금융투자상품"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신영증권이 설립한 SPC의 카드대금 지급채권 참가 거래(SPC가 카드회사로부터 카드대금 지급채권을 양수하는 것과 유사)나 SPC의 ABSTB 발행 거래, ABSTB 인수인의 재판매 거래 등에 홈플러스는 전혀 관여할 수도 없었고 실제로 관여한 사실이 없다"고 덧붙였다.
MBK에 대해서도 "MBK는 홈플러스로부터 ABSTB의 발행 규모 등에 대해 정보를 받았을 뿐"이라며 "ABSTB의 발행과 관련해 어떠한 의사결정이나 경영진에 대한 지시를 하지 않았으며 관여한 바 없다"고 했다.
앞서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홈플러스와 MBK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지만, 사전에 하락을 인지한 점과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한 점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지난 21일 '홈플러스 사태' 관련자들을 패스트트랙(긴급 조치) 형식으로 검찰에 통보했다.
clean@fnnews.com 이정화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