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대기업 다시 참전… 뜨거워진 중고차 전쟁

현대차·기아 점유율 제한 해제
사업목적에 부동산 개발업 추가
대규모 매매단지 조성 움직임
롯데렌탈·글로비스도 사업 확장

'골목상권' 침해 우려로 현대자동차·기아에 적용돼 온 중고차 시장 점유율 제한 조치가 이달부터 해제된다. 렌터카, 플랫폼 업체도 중고차 시장에 뛰어든 상황에서 국내 최대 완성차업체의 족쇄가 풀리면서 업계에서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중소벤처기업부가 현대차·기아를 상대로 내린 중고차 사업조정 권고 조치가 지난달 30일부로 종료됐다. 사업조정제도는 대기업의 사업 확장으로 중고시업의 피해 우려가 있을 경우 3년 이내에서 사업 연기 및 수량,품목 제한 등을 권고하는 조치다. 당시 중기부는 2023년 5월부터 1년간 현대차·기아에 대해 각각 전체 중고차 거래 대수의 2.9%, 2.1%만을, 2024년 5월부터 1년간 4.1%, 2.9%만을 판매하도록 제한했다.

그러나 이달부터 이 같은 규제가 풀리게 되면서 현대차, 기아도 본격적인 시장 진입이 가능해졌다. 현대차·기아는 앞서 주주총회에서 사업목적에 '부동산 개발업'을 추가해 둔 상태다. 이를 두고 대규모 중고차 매매단지 조성을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국내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하는 만큼, 현대차·기아는 제조사가 직접 검증한 투명한 매물 판매, 추후 수리 보증 및 커넥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 등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국내 연간 중고차 거래 대수는 240만대 수준으로 160만대 수준인 신차를 훌쩍 뛰어넘는다. 현대차, 기아뿐 아니라 다른 완성차 업체들이 이미 속속 인증중고차 시장에 뛰어드는 이유기도 하다.

중국 최대 중고차 업체인 BYD 역시 국내에 중고차 판매를 위한 법인을 설립했다. 가격경쟁력을 내세운 전기차를 주력으로 하는 업체인 만큼 가성비 시장을 잡겠다는 것이다. KG모빌리티 역시 지난해 5월부터 인증중고차 사업을 출시해 운영 중이다.

대량의 차량을 운영하는 렌트카 업체 및 플랫폼 업체들도 중고차 시장에 속속 진출하는 상황이다. 롯데렌탈은 올해부터 B2C 중고차 사업 강화에 나섰다. 강서구 가양동에 이어 지난달 경기 부천에 매매센터를 구축했다.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수도권에 매매센터 확장을 위한 최종 조율 단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대글로비스는 카셰어링 플랫폼 '쏘카'와 협업해 중고차 매입 서비스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했다. 중고차 업계에서는 당장 현대차·기아의 시장 진입에 대한 대응 마련보다는 향방을 지켜보겠다는 분위기다.

정원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