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시멘트업계 탄소중립, 폐기물 자원화로 효율성 높여야"

‘3RINCs 2025’ 첫 단체 참가
전문가들 "고비용 탄소포집보다
혼합시멘트·순환자원 등 활용을"
정부, 탄소감축 인센티브 확대
규제 개선으로 사업 지원 의견도

"시멘트업계 탄소중립, 폐기물 자원화로 효율성 높여야"
이창기 한국시멘트협회 부회장(왼쪽부터), 남은영 동국대학교 교수, 피터 호디노트 전 유럽시멘트협회 회장, 김진만 공주대학교 교수,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 배재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김진효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가 12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 '3RINCs 2025'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신지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제주=신지민 기자】 국내 시멘트업계가 온실가스 감축과 자원순환을 위한 산·학 협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전문가들은 온실가스 저감 수단으로서의 시멘트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개선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시멘트협회는 오는 13일까지 제주 신화월드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 '3RINCs 2025'에 처음으로 단체 참가했다.

3RINCs는 한국·일본 폐기물자원순환학회와 태국, 인도,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폐기물 전문가 그룹이 공동 주최하는 국제회의다.

이날 국내외 시멘트 전문가들은 고비용 탄소포집·저장(CCUS) 기술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경계하며, 혼합시멘트 확대와 폐기물 연료 전환 등 현실적인 탈탄소 해법을 강조했다.

김진만 공주대학교 교수는 '한국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로드맵'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선 업계 자체의 대규모 설비 투자뿐 아니라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발표에 나선 피터 호디노트 전 유럽시멘트협회장은 CCUS 기술에 대한 맹목적 접근을 경계하며 "보다 비용 효율적인 순환자원 활용이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경로로 우선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과 배재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시멘트 산업의 폐기물 자원화 기능과 온실가스 저감 수단으로서의 기술 전략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홍수열 소장은 '한국 폐기물 처리 시장 현황과 시멘트 산업의 역할' 발표에서 국내 가연성 폐기물 시장의 불안정성과 이를 안정화시키는 핵심 수단으로서 시멘트 산업의 처리역할을 강조했다.

홍 소장은 "2022년 기준 가연성 폐기물 발생량은 약 4100만t인데 이 중 320만t이 매립되고 있다"면서 "2026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금지되면 해당 물량이 시급히 소화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배재근 교수는 '시멘트산업에서 대체연료를 활용한 염소바이패스 분진(CBPD) 재활용 전략' 발표에서 폴리염화비닐(PVC) 등을 대체연료로 투입할 때 발생하는 염화물 문제를 해결할 'CBPD 자원화' 기술을 소개했다.

CBPD는 킬른 내부의 염소와 중금속이 응축된 분진이다. 주로 시멘트 생산 품질 저하, 설비 부식, 분진 누적 등 시멘트 산업의 고질적 문제로 꼽힌다.


배 교수는 "CBPD에는 이산화탄소(CO₂)와 결합해 탄산염을 형성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돼 있다"며 "탄산화 반응을 통해 CO₂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시멘트 원료로 대체하며 비료 원료인 염화칼륨(KCl)까지 동시에 회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전문가들은 기술만으로는 산업 전환이 이뤄질 수 없으며, 법·제도 개선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홍 소장은 "정부 정책은 '직매립 금지'처럼 선언적 목표에 머무르며 실제 인프라 구축이나 처리 유인책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며 "시멘트 산업에 대한 탄소 감축 기여 인센티브 확대, 가연성 폐기물에 대한 공공-민간 분담 체계 정비, 재활용 통계 및 처리 흐름에 대한 투명한 공개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jimnn@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