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LGU+ AI로 2000억 규모 보이스피싱 차단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 고도화
경찰에 악성앱 5090건 찾아 제공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경찰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등 보안 활동을 강화해 3개월 간 약 2000억원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았다고 15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4월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을 통해 보이스피싱 조직이 유포한 악성 앱 5090건을 포착해 경찰청에 관련 정보를 전달했다. 경찰청은 거주지를 방문해 현장에서 피해 의심 고객의 악성 앱을 삭제하는 등 구제활동을 펼쳤다. 이를 피해 예방금액으로 환산할 경우 약 2087억원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은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LG유플러스의 고객피해방지 분석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가입자들에 대해 보이스피싱 조직의 활동을 감시하고, 관련 분석 결과를 주기적으로 경찰에 제공하고 있다.

특히 보이스피싱 조직이 유포하는 악성 앱은 최우선 모니터링 대상이다. LG유플러스는 유관기관이나 자체 수집을 통해 확보한 악성 앱을 분석하고, 악성 앱 제어 서버를 탐지해 차단하는 등의 조치로 고객 보호에 나서고 있다.

또 LG유플러스는 통신업계 최초로 서울경찰청과 현장 공조 체계를 구축했다. LG유플러스 직원과 경찰이 악성앱 설치 의심 고객의 거주지를 직접 방문해 실질적인 고객 보호 활동에 나서고 새로운 범죄 수법을 파악하고 있다.


아울러, LG유플러스는 보이스피싱 조직이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 벌이는 다양한 변조 행위의 근본을 추적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업계 최초로 보이스피싱 범행에 사용되는 착신전환번호를 추출해 경찰에 제공한다. 보이스피싱 조직은 주로 '070'으로 시작되는 인터넷 전화번호를 사용하는데, 의심을 피하기 위해 '02', '1588' 등으로 시작하는 전화번호를 보낸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