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 카메라, 작은 투명 스크린 장착됐지만 무겁지 않아
구글 AI 모델 장착돼 그림, 책에 대한 설명과 질문에 대한 답해줘
시제품이라 영어만 인식하고 기능에 한계
구글이 삼성전자와 손을 잡고 선보인 스마트 글라스. 안경을 쓰면 구글 AI '제미나이'를 이용할 수 있다. 사진=홍창기 기자
구글이 삼성전자와 손을 잡고 선보인 스마트 글라스. '스마트 글라스' 사진=홍창기 기자
【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구글이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개최한 연례개발자회의(I/O)에서 삼성전자와 공동 개발중인 스마트 글라스를 공개했다. 지난 2013년 구글이 첫 선을 보였던 첨단 기기 형태의 '구글 글라스'와는 완전히 다른 콘셉트였다. 외관은 일반 안경 처럼 자연스러웠지만 소형 카메라와 스피커가 장착돼 있었다. 자체 인공지능(AI) '제미나이'가 탑재돼 있다는게 다른 스마트 글라스와의 차별점이다. 사용자는 자신이 보는 시점에서 궁금한게 있을 때마다 안경을 터치하고 질문하면 제미나이가 이를 해결해준다.
▶관련기사 2면
기자가 이날 체험장에서 착용한 스마트 글라스는 검은색 뿔테안경이었다. 구글의 스마트 글라스 오른쪽 테에 초소형 카메라가 장착돼 있고 안경 알 내부에 가로세로 각 1㎝ 크기의 눈에 띄지 않는 투명 스크린이 장착돼 있었다. 안경에 탑재된 제미나이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된다. 일반 안경보다는 테두리가 두꺼웠지만 막상 써보니 무게감이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스마트 글라스를 착용한 후 오른쪽 테를 터치하니 기자의 시야에 시간과 온도가 표시됐다. 안내 직원은 "AI 모델 제미나이가 작동을 잘 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시 오른쪽 테를 터치하니 제미나이가 비활성화되면서 시간과 온도 표시가 사라졌다.
다시 제미나이를 활성화시키고 체험장에 걸려있는 그림을 응시했다. "이 그림이 무엇이냐"고 기자가 말하자 스마트 글라스 화면에 그림에 대한 설명이 나열됐다. 동시에 스마트 글라스 양쪽에 장착된 스피커에서도 그림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스마트 글라스를 쓰고 두꺼운 책을 집어 들고 "이것이 무엇이냐"라고 묻자 책이라는 설명이 뒤따랐다. 기자가 책의 특정 페이지를 열어보니 멕시코에 대한 글이 보였다. "멕시코로 여행 가고 싶다"고 말하니 제미나이가 기자의 시야에 멕시코 관련 정보를 띄우고 음성으로 설명을 전해줬다.
다만 구글은 이날 스마트 글라스의 구체적인 사양은 공개하지 않았다. 또 시제품인 만큼 스마트 글라스는 영어만 인식하는 한계가 있었다. 구글은 이날 개최된 I/O 막바지에 삼성전자와 한국의 선글라스 기업 젠틀몬스터와 스마트 글라스 시제품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구글은 '무한'이라는 프로젝트로 삼성전자와 확장현실(XR) 헤드셋을 개발중인데 스마트 글라스까지 협업을 확장한다고 공식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구글 본사에 마련된 체험관에서 구글 I/O 참석자(오른쪽)가 '스마트 글라스'를 쓰고 그림을 바라보고 있다. 사진=홍창기 기자
theveryfirst@fnnews.com 홍창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