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AI 에이전트도 ‘직원’처럼....워크데이, 차세대 업무 혁신 전략 공개

AI 에이전트도 ‘직원’처럼....워크데이, 차세대 업무 혁신 전략 공개
샨 무어티 워크데이 아시아태평양지역 최고기술책임자(CTO) 22일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연례 행사 ‘워크데이 엘리베이트 서울 2025’ 기자간담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워크데이가 인간과 AI 에이전트의 공존을 전제로 한 새로운 업무 환경 비전을 한국 시장에 제시했다. 인사·재무 관리용 엔터프라이즈 AI 플랫폼 기업 워크데이는 22일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연례 행사 ‘워크데이 엘리베이트 서울 2025’에서 자사의 최신 기술 전략과 플랫폼을 공개했다.

워크데이 정응섭 지사장은 최근 국내 기업들이 직면한 상황을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어렵지만, AI가 또 다른 기회를 주는 것도 사실"이라며 복잡하고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서 자율적으로 추론하고, 결정하고, 행동할 수 있는 지능형 에이전트 AI 시대가 왔음을 알렸다.

정 지사장은 “창립 20주년을 맞은 워크데이가 그리는 미래의 노동력은 인간이 중심이 되어 AI에이전트의 힘을 받아 함께 관리하며, 스킬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해 응집력 있고, 적응력 있는 노동력으로 나아가는 것”이라며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 AI의 도입이며, 워크데이는 이를 위해 똑똑한 AI시스템인 워크데이 일루미네이트를 출시했다"고 설명했다.

워크데이는 이날 ‘워크데이 에이전트 시스템 오브 레코드’를 새롭게 선보였다. 이는 AI기반 차세대 인사 관리 시스템이다.

이번 행사를 위해 방한한 샨 무어티 워크데이 아시아태평양지역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워크데이 에이전트 시스템 오브 레코드’ 관련 "새로운 AI 에이전트를 온보딩하고, 역할과 책임을 정의하고, 영향을 모니터링하며, 비용관련 예산을 책정하고 예측하며 규정을 준수함과 동시에 개선시키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인간과 디지털 직원(AI 에이전트)이 공존하는 새로운 업무 환경의 실질적인 모델"이라고 말했다.

정 지사장도 “'워크데이 에이전트 시스템 오브 레코드'는 조직 내 모든 AI 에이전트, 즉 워크데이 에이전트뿐만 아니라 타사 에이전트까지 하나의 시스템에서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며 "워크데이의 AI 에이전트들이 효과적이고 책임감 있게 작동하도록 보장하는 방법이며, 이것이 진정한 판도를 바꿀 혁신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워크데이에 따르면 이미 50개가 넘는 에이전틱 AI 활용 사례가 이미 실제 업무에 적용되고 있으며, 3000여 고객사에서 최소 하나 이상의 AI 활용 사례를 경험하고 있다. 매일 7000만 명의 사용자가 워크데이 모델을 훈련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다만 샨 무어티 CEO는 생성형AI 기대가 지나치게 크다는 점도 지적했다. 샨 무어티 CEO는 "생성형AI를 기업이 도입하면 생산성 20% 향상, 효율 50% 증대를 기대했지만 실제는 5~10% 증가에 그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 때문에 에이전틱 AI 모델이 기업 입장에서는 훨씬 매력적"이라며 "실제 목표를 달성하고 학습해 적응하는 에이전틱 AI 모델이 기업 입장에서 효율적"고도 했다.

무어티 CTO는 “지난 20년간 민감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복잡한 인사 프로세스를 관리해 온 워크데이는 ‘책임 있는 AI’ 개발 분야의 리더로 이미 인정받고 있다”며 “‘워크데이 에이전트 시스템 오브 레코드'를 통해 기업은 각자에 니즈에 맞춰 AI 에이전트를 활용하면서 중앙에서 제어, 관리, 모니터링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워크데이 엘리베이트 서울 2025 행사에서는 조승연 작가의 특별 강연과 함께, 쿠팡, 셀트리온 등 국내 주요 고객사들의 AI 도입 사례도 발표됐다. 또 삼성SDS, 딜로이트컨설팅 등 워크데이의 국내 파트너사들도 협업 사례와 기술 적용 방안을 공유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