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시대, 우리는 준비되어 있는가’ 보고서 발간
코빗 리서치센터는 ‘스테이블코인 시대, 우리는 준비되어 있는가’를 주제로 한 보고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을 구조적으로 분류했다. 코빗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형 가상자산거래소 코빗의 리서치센터가 스테이블코인 구조와 시장 내 기능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보고서 ‘스테이블코인 시대, 우리는 준비되어 있는가’를 발간했다.
26일 코빗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해당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의 구조적 분류를 비롯해 △미국 국채 수요처로서의 기능 △글로벌 결제 인프라 내 확산 사례 △국내 제도 환경의 변화 가능성 등을 종합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은 가치저장 수단과 결제수단을 넘어 수익형 구조와 실물자산 연계 등으로 진화하고 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또 스테이블코인이 국채 시장의 유의미한 민간 수요처로 부상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은 준비자산의 상당 부분을 미국의 단기 국채로 구성해 직접적인 수요를 창출하고 있으며, 국채 수요 기반을 다변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도 스테이블코인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비자, 마스터카드, 페이팔 등은 스테이블코인을 결제와 보상 수단으로 도입하고 있다.
반면, 국내는 명확한 제도와 가이드라인 부재로 민간 차원의 실험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글로벌 경쟁자들과 동일한 기술 및 수요 환경에도 제도적 제약으로 기회를 누리지 못하는 역차별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원화 기반은 물론 외화 연동형 스테이블코인조차 명확한 인가나 법적 지위가 정립되지 않았으며, 국내 기업이 관련 사업을 추진할 경우 외국환거래법과 은행법 등 여러 규제와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발행사는 물론 수탁하거나 결제 시스템에 연동하려는 기업까지 높은 법적 불확실성과 제재 리스크를 우려하며 실제 사업화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최윤영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스테이블코인은 이제 단순한 ‘디지털 달러’를 넘어 실물 경제 및 전통금융과 연결된 새로운 디지털자산으로 진화 중”이라며 “지금 필요한 것은 허용된 범위 내 신중한 도입이 아니라 실사용 기반의 테스트베드 구축과 제도 유연성 확보를 통한 선제적 대응”이라고 강조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