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美 전 백악관 안보관료 "사이버 보안, 민-관 협력 필요"

앤 뉴버거 스탠퍼드대학교 교수 발언
지난해 美 통신사 해킹 사태 수습 인물
전문가들 "개인, 기업, 국가 협력해야"

美 전 백악관 안보관료 "사이버 보안, 민-관 협력 필요"
앤 뉴버거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 교수.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미국에서 발생한 통신사 해킹 사건을 대응했던 백악관 고위관료가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건과 관련, 민간과 정부 간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앤 뉴버거 스탠퍼드대학교 교수는 27일 한국경제인협회,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가 FKI타워에서 주최한 ‘인공지능(AI) 시대의 디지털 주권과 사이버 안보’를 세미나에서 "사이버 무기는 세계 정세를 좌우하는 중요한 수단이자 국가 행동의 강력한 도구"라며 "우리는 사이버가 경쟁, 위기, 분쟁에서 국가 권력의 도구임을 배웠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해커그룹이 최소 8개의 미국 통신회사를 해킹, 고위당국자 등의 통신기록에 접근했던 사건 당시 국가안보 부보좌관으로서 사태 수습을 이끌었다.

뉴버거 교수는 악성코드가 미국을 포함한 다수 국가의 수도 및 전력시스템에서 발견된 것에 대해 "단순한 스파이 활동을 넘어 위기 시 미국의 군사 동원 저지 또는 민간 혼란 유발을 위한 준비로 보인다"고 전했다. 그는 "미국 정보기관에서 15년간 공격과 방어를 모두 경험했지만, 방어가 종종 뒤처지는 것을 목격했다"며 "방어와 공격의 경쟁이 펼쳐지고 있고 우리는 방어에서 반드시 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킹 위협에 맞서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협력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해킹 범죄가 모든 국가를 표적으로 삼는 만큼 민.관 협력과 국제적 연대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주요 통신사 해킹 사건 당시, 최초 탐지는 민간 사이버보안 기업이 미국 정부에 이를 알리면서 시작됐다"며 "백악관에서는 통신사 최고경영자(CEO)들을 소집해 업계 전반의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대응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세미나에 참석한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은 "사이버 공격은 개별 기업을 넘어, 산업 전반과 국가 이미지, 나아가 국제 신뢰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제 개별 기업 차원의 정보보호를 넘어, 디지털 주권 보호 차원에서의 민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최근 국내에서는 금융권 개인정보 유출 사고, 랜섬웨어 공격, 그리고 글로벌 공급망 해킹 사례 등이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디지털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개인, 기업, 국가를 아우르는 사이버 안보 전략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휘강 고려대 교수는 “AI 모델 학습을 위한 대규모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심각한 위험이 발생하고 있다”며 “개인정보 등 사이버안보 관련 데이터 유출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로봇, 사물인터넷(IoT) 기기 등 AI가 탑재될 기기의 소프트웨어 자재 명세서(SBOM), 하드웨어 자재 명세서(HBOM)를 분석, 공급망 공격에 안전한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진수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수석부회장도 “AI 시대를 맞아 사이버 보안은 더 이상 개인과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다”며 "기술 주권과 디지털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개인, 기업, 국가를 아우르는 사이버 안보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