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조감도. HDC현대산업개발 제공
[파이낸셜뉴스] HDC현대산업개발이 서울 용산구 용산 정비창 전면 1구역에 계열사 호텔HDC, HDC아이파크몰을 연계한 HDC용산타운을 제안했다. 재개발사업에 타운 매니지먼트 개념을 결합해 국내 정비사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27일 HDC현대산업개발은 용산 정비창 전면 1구역에 시공사가 공사비 마진 확보에 초점을 맞춰 발주처 설계에 의존하는 것과 달리 디벨로퍼 방식을 통해 개발 수익 극대화를 목표로 직접 상품을 기획하고 설계 전략을 수립한다고 밝혔다. 광운대역세권, 용산철도병원 부지 개발 등에서 쌓아온 역량을 활용해 단지의 자산가치 뿐만 아니라 도시의 상징성까지 함께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실제로 HDC현대산업개발은 용산 전면 1구역에 SMDP(건축디자인), LERA(구조설계), 삼성물산 리조트부문(조경), CBRE(비주거부동산컨설팅), LPA(경관조명), 파크햐얏트(호텔) 등이 포함된 월드클래스 협업 'The Line 330'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용산을 넘어선 서울의 랜드마크 실현과 분양수입금 극대화로 조합원 추가수익 연결한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또 HDC용산타운을 제안하며 그룹 계열사 호텔HDC, HDC아이파크몰 등과의 직접적 연계를 통해 디벨로퍼 모델을 선보여 정비사업의 가치를 한층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아파트 입주민에게 호텔식 편의시설과 맞춤형 타운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입주 이후까지 고려한 정비사업 설계로 차별점을 뒀다.
현재 HDC현대산업개발은 디벨로퍼 모델로 용산에서 BTO 방식의 용산역전면 공원 지하공간개발 사업권을 확보하고 있다. 이는 지하철 1·4호선, 신분당선, GTX-B를 연결하고 용산역 전면공원의 지하를 복합개발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30년간 직접 운영해 용산 타운 매니지먼트를 실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하루 24만명이 오가는 HDC아이파크몰 유동 인구를 활용한 지역 가치 상승 전략은 HDC용산타운과 연결되며 향후 국제업무지구까지 확장돼 용산 전역의 자산가치를 극대화하는 핵심축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아울러 HDC현대산업개발은 서울 도심 축 중심의 랜드마크 라인 구축 전략을 도시정비사업까지 디벨로퍼 방식을 확대 적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서울 노원구 광운대 역세권 개발사업은 지하 4층~지상 최고 49층, 8개동, 3032세대 시공을 넘어 메리어트호텔, 아이파크몰 유치 등 복합개발 사업을 진행했다.
이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HDC현대산업개발은 용산 정비창 전면 제1구역에도 아파트, 오피스텔, 오피스, 상가 등이 이뤄진 복합개발사업의 성공 기준을 다시 한번 제안하고 있다. 한강 조망이 보장된 아파트와 오피스텔, 세계 1위 부동산 컨설팅 CBRE를 통한 오피스 및 상가 컨설팅, 파크하얏트 호텔 유치를 통한 오피스 및 상가 활성화 연계 등이 핵심이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정비사업의 핵심은 단지 개발을 넘어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의 미래를 설계하는 것에 있다"며 "HDC현대산업개발은 건설사의 틀을 넘어 도시 디벨로퍼로서, 개발부터 운영까지 책임지는 패러다임을 제시해 정비사업의 새로운 모델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going@fnnews.com 최가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