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가덕도신공항 결국 파국

국토부, 수의계약 절차 중단에 현대건설, 컨소시엄 탈퇴 결정

가덕도신공항 결국 파국
부산 가덕도신공항 여객터미널 조감도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제공

[파이낸셜뉴스]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결국 파국을 맞았다. 국토교통부가 부지조성 공사의 수의계약자인 현대건설이 기본설계안에 제시한 24개월의 추가 공사 기간을 수용하지 않는다며 수의계약 절차 중단에 이어 현대건설이 컨소시엄 탈퇴를 결정했다. 국토부는 2029년 12월 개항을 목표로 했지만, 현대건설과 갈등을 빚은 만큼 무기한 연기가 될 것이라는 시각이 나온다.

현대건설은 30일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공사에 참여하지 않을 것을 결정했다. 컨소시엄과 관련된 모든 권리 포기다. 다만 컨소시엄 와해를 막고 사업 참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서 사업지연이 최소화되도록 돕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기본설계 과정에서 250여명의 전문가와 600억원의 비용을 투입해 6개월간 기술검토를 진행했다. 일본 간사이 국제공항,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 등 유사 사례와 최근 무안공항 사고 등까지 면밀히 분석해 안전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적정공기를 도출했다는 것이 현대건설의 주장이다.

현대건설은 연약지반의 안정화 기간 추가(17개월) 및 공사 순서조정(7개월) 등 총 24개월의 추가 공사기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방파제 건설과 매립을 병행하는 기본계획 대신 방파제를 일부 시공(7개월)한 뒤 매립을 시작하는 방식이다. 공사비도 정부가 설정한 10조5000억원보다 1조원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국토부는 현대건설이 기본설계를 보완하지 않아 국가계약법령에 따라 수의계약 체결이 어려워졌다고 봤다.

현대건설은 "정부의 입찰 재공고 및 후속사업자 선정 과정에 적극 협조해 신속히 후속사업자가 선정,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서울 남산 약 3배에 달하는 절취량과 여의도의 약 2.3배 규모의 부지조성을 수반하는 대한민국 최대의 난공사에서 적정공기 확보는 안전과 품질 보장을 위해 타협할 수 없는 제1선결조건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지자체와 시민단체도 이번 가덕도신공항 건설 파국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현대건설은 현대건설 사옥 앞에서 열린 상경집회 등 근거 없는 비난을 받았다는 입장이다. 사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개항을 지연시키고 있다는 주장, 추가 혈세 투입을 조장하고 있다는 것과 관련 부당하다고 봤다.

현대건설은 "이번 제안이 국민의 안전을 담보하기에는 부족한 기본계획상의 오류를 바로잡은 것임에도, 추가 공사비 요구 꼼수, 특혜 의혹, 사회적 책임 회피 등의 비판을 제기하며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박탈을 요구하고 있다"며 "지역과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공항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무리한 공기 단축 요구와 조건을 받아들이는 것은 불가하다"고 말했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가덕도신공항 부지 공사 경쟁 입찰이 4차례 유찰되자 수의계약으로 전환해 현대건설 컨소시엄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현대건설,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현대건설의 결정으로 6월 3일 대선에 대한 영향이 있을지 주목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난 TV 토론에서 "가덕신공항을 취소할 경우 국토균형발전이라는 전략적 목표, 지역 소외 등에서 더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며 "진행을 보완해 가면서 해야 하지 싶다"고 밝혔다.
이재명 후보는 HMM의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안을 제시한 바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2029년 12월 개항’을 두고 각각 “반드시 지켜야 할 과제”, “2029년 12월 개항 지연은 부산 미래를 흔드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가덕신공항은 2021년 여야가 발의한 가덕도신공항 건설 특별법 의결을 거쳐 2023년 기본계획으로 고시된 국책 사업이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