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어업인의 디지털 전환 수용성 제고 방안’ 연구
[파이낸셜뉴스] 최근 국내 어업 현장의 디지털 도입·전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선 기술보다 ‘사람’에 더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는 연구가 나왔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지난 한 해 ‘어업인의 디지털 전환 수용성 제고 방안’ 연구를 수행해 이 같은 결론을 내고 그에 맞는 정책 방안을 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자료=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공
연구는 어업 현장의 수요와 인식을 기반으로 어업인의 디지털 전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실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디지털 전환은 기후변화 대응,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 생산성 제고 등 수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고령화된 인력 구조와 기술에 대한 불신, 경제적 부담 등의 요소로 인해 어업인의 디지털 기술 수용성은 지속해서 낮은 수준에 머무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 어업시장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책 대응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개발원은 어선 어업인 100명과 양식 어업인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병행한 결과, 기술인식 부족·디지털 기기 경험 미흡·역량 격차·정책적 지원의 부재 등을 원인으로 도출했다. 또 디지털 기술 도입 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기술 신뢰성, 성공 사례 여부, 사용 용이성 등 실제 현장에서 얼마나 체감되는지에 대한 것들이 꼽혔다.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원은 수산업 디지털 전환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전략 4가지를 제안했다. 이는 어업인의 접근성과 자발성 제고, 어업인 기술 수용역량 강화, 경제적 부담 완화 정책, 단계별 정책 로드맵 구축·시행이다.
이를 위해 어업 현장에 스마트 장비 보급률을 높이고 실습 중심의 교육, 컨설팅 프로그램을 보강, 신설할 필요성도 제시했다. 또 초고속 통신 인프라 확충과 함께 유지보수 체계도 개선하며, 디지털 전환 활성화를 위한 성과 환류 시스템도 구축하는 등 실행 방안도 함께 제언했다.
연구책임자 오서연 전문연구원은 “디지털 전환은 단순한 기술 보급이 아니라 어업인의 실질적인 참여와 신뢰 구축에서 시작돼야 한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수용성 관점에서 주요 장애요인을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자료=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공
lich0929@fnnews.com 변옥환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