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자율주행·정밀농업 선제투자
친환경 설비 등 ESG에도 공들여
정책 수혜·해외 수출 확대 기회로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제시한 '미래농산업 육성' 기조가 주요 농기계 제조사들의 전략과 맞물리며 산업 전환의 분기점이 될지 주목된다. 스마트농업 확산과 탈탄소 전환이 국가정책으로 추진될 경우, 업계가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 "스마트 데이터농업 확산 및 농생명용지 조기 개발로 농업을 미래농산업으로 전환·육성하겠다"고 공약했다. 또한 "영농형 태양광의 적극 보급과 친환경유기농업 확대, 지속가능한 축산업 등을 통해 농업의 탄소배출량을 줄이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관련 제도 이행은 법률 제·개정의 경우 이달부터, 재정사업은 올해 추경 및 내년도 예산 편성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정책 방향은 농기계 업계의 기술 전략 및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대응과도 맞닿아 있다.
대동은 자율주행 기술과 정밀농업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자체 개발한 ‘DAQv2’ 수집장비와 시각 인식 센서를 활용해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작업을 고도화하고 있다. 지난 2월 출시한 자율주행 농업용 운반로봇 'RT100'은 제자리 회전, 전동 구동, 4륜 기능 등을 갖췄다. 같은 달 정밀농업 솔루션 상용화에도 본격 착수했다.
TYM은 'DAVE' 시스템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농기계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RTK 정밀제어, 장애물 회피, 자동 경로 생성 기능을 갖춘 트랙터 라인업을 운영하며 작업시간 단축과 2cm 이내 정밀작업 등으로 생산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LS엠트론은 자율주행 트랙터와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스마트농업 대응력을 강화하고 있다. 직진, 선회, 작업기 제어, 자동 경로 생성 기능을 갖춘 3단계 자율작업 트랙터를 개발했으며, 68~143마력 모델 'XU', 'MT9' 등을 통해 국내외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친환경 역시 3사 모두 주력하는 영역이다.
유럽 배출가스 규제(StageⅤ) 대응으로 전기 트랙터 등이 수출 시장 중심으로 확대되는가 하면 전동화 기반의 신제품 개발과 유해물질 저감 설계 등이 이뤄지고 있다. 공장 단위에서는 ISO14001 환경경영체계를 기반으로 폐수 처리, 대기오염 방지 등 환경 설비를 갖춰 생산 공정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농기계 산업 전반의 기술 고도화와 디지털 전환에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며 "정밀농업, 자율주행, 친환경 설계 등에서 선제적으로 투자한 기업들이 앞으로 정책 수혜와 수출 확대의 기회를 동시에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imnn@fnnews.com 신지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