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서울 아파트 경매 매각가율 96.5%…3년만 최고치

매각률은 40% "신중한 선별 기조 영향"

서울 아파트 경매 매각가율 96.5%…3년만 최고치
서울 아파트 평균 매각가율 및 매각률. 직방 제공
[파이낸셜뉴스]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 매각가율이 3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반면 매각률은 여전히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9일 직방에 따르면 2025년 5월 기준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각가율은 96.5%다. 이는 2022년 6월 103%를 기록한 이후 약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실제 낙찰로 이어진 비율인 매각률은 여전히 40% 수준에 머물고 있다.

자치구별 매각가율을 보면 △마포구(113.7%) △성동구(108.5%) △중구(108.4%) △영등포구(107.2%) △강남구(103.4%) △광진구(103.0%) 등 감정가를 넘는 낙찰 사례도 확인됐다. 이는 고점 대비 가격 안정에 대한 인식과 금리 인하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입지 경쟁력이 있는 매물에 대한 응찰 수요가 유입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같은 기간 서울의 평균 매각률은 40%에 그쳤다. 전체 경매 물건 중 10건 중 6건은 유찰됐다는 의미다. 가격은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만 수요자들은 여전히 입지와 가격 요건이 맞는 일부 매물에만 응찰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마포구는 매각가율이 113.7%로 서울 최고 수준이었지만, 매각률은 14.8%에 불과했다. △용산구(14.3%) △송파구(16.7%) 등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반면 △강남구 66.7% △종로구 100% 등 상대적으로 응찰 분산이 이뤄진 곳도 일부 나타났다.

한편 최근 대선을 통해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되며, 향후 부동산 정책의 방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금리 변화, 공급 확대 여부, 규제 완화 등 다양한 정책 변수들이 시장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당분간은 변화의 추이를 지켜보며 움직이는 신중한 수요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경매 역시 이러한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 지표보다는 중장기적인 시장 방향성과 개별 매물의 실질 가치를 함께 고려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going@fnnews.com 최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