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노미 코리아 2025가 파이낸셜뉴스와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 주최로 1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KBIZ에서 열렸다. 전선익 파이낸셜뉴스 부회장이 개막사를 하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과 CBDC 등 디지털 화폐의 현실적인 도입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는 금융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전선익 파이낸셜뉴스 부회장(사진)은 파이낸셜뉴스와 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DAXA)가 1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공동주최 한 '토크노미 코리아 2025'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최근 테더(USDT)의 시가총액이 1500억달러에 달하는 등 스테이블코인과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는 이미 글로벌 금융 질서를 재편하는 핵심 요인으로 급부상 하고 있다.
실제 미국 달러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이 국경을 초월한 결제 인프라로 확산되고 있으며,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를 통해 새로운 경제 패권을 구축하고 있다. 여기에 유럽연합(EU)과 일본은 디지털 통화 규제 선점을 통해 디지털 통화 질서의 주도권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전 부회장은 “이같은 국제적 패러다임 전환은 금융시스템은 한국에게 새로운 도전과제인 동시에 기회를 제공한다”라며 “우리나라는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핀테크 인프라를 갖추고 있지만, 디지털 통화 경쟁에서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하려면 정부와 민간이 함께하는 전략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 토크노미 코리아는 바로 그 방안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이 될 것이다. 학술적 토론을 넘어, 우리나라 디지털 통화 정책의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특히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과 CBDC 등 디지털 화폐의 현실적인 도입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는 금융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특별취재팀 김미희 팀장 김경아 부장 최두선 차장 박지연 배한글 김찬미 김현지 기자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