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류창보 NH농협 블록체인팀장 "은행권 협업 기반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해야" [토크노미 코리아 2025]

류창보 NH농협 블록체인팀장 "은행권 협업 기반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해야" [토크노미 코리아 2025]
1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파이낸셜뉴스와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가 공동주최한 '토크노미코리아 2025'에서 류창보 NH농협은행 블록체인팀 팀장·오픈블록체인DID협회 회장이 강연을 하고 있다. 서동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스테이블코인 지급결제 및 국경 간 송금 수단 관련 초기시장이 확산됨에 따라 국내 은행권도 확고한 공동대응 체계를 구축해야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파이낸셜뉴스와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가 1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공동주최한 '토크노미 코리아 2025'에서 류창보 NH농협은행 블록체인팀 팀장(사진)은 "글로벌 금융 환경 변화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을 수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은행권이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 시 장단점을 따져 직접 공동 대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은 송금, 결제수단 등으로 실제 생활에 사용됨에 따라 시가총액은 2000억달러를 돌파한 가운데, 연간 거래량은 5조6000억달러를 기록하는 등 시장이 급성장했다.

이에 주요 국가의 규제기관들이 스테이블코인의 이점과 위험을 균형있게 다루기 위해 제도화를 진행 중이다. 일본의 경우 3대 주요 은행이 스테이블코인 기반 국경간 송금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를 올해 내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류 팀장은 "한국 금융당국도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를 주요 논의 아젠다로 선정하고 제도권 편입 방향을 검토 중"이라며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 확산이 심화될 경우 은행의 신용중개 기능 등 국내 금융시장의 안전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신뢰할 수 있는 민간대응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은행권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진출할 경우, 고객 기반이 넓고 지급결제 시장에서 우위를 갖고는 았지만 상대적으로 기술 개발 및 도입 속도가 느리고 가상자산 시장에서 입지가 약해 어려움이 적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때문에 스테이블코인 지급결제 회사, 글로벌 은행권 등과의 협업 체계를 구축하는 공동의 표준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 팀장이 협회장을 맡고 있는 사단법인 오픈블록체인·DID협회는 올해 4월 KB국민·신한·우리·NH농협·IBK기업·Sh수협 등 6곳의 시중은행과 금융결제원이 참여하는 '스테이블코인 분과'를 신설했다.

류 팀장은 "최근 iM뱅크와 케이뱅크 등이 스테이블코인 분과에 추가 참여를 긍정 검토하는 가운데 아이티센, 아톤 등 플랫폼 기업에서도 인프라 운영이나 보안 측면에서 참여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며 "은행만 참여하는 것이 아닌, 은행권이 주도하고 다양한 플레이어와의 협업을 통해 신뢰 기반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별취재팀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