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부실·부패 꼬리표 뗀다"..건설산업 이미지 쇄신 로드맵 첫 공개

국토부·건단련 주도 '건설동행위' 첫 성과
안전·청년·신뢰 기반 10대 과제 추진 선포

"부실·부패 꼬리표 뗀다"..건설산업 이미지 쇄신 로드맵 첫 공개
12일 오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건설동행위원회’ 제1차 회의 현장.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가 12일 오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건설동행위원회’ 제1차 회의를 열고, 건설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한 10대 과제를 담은 로드맵을 발표했다. 반복된 부실시공과 안전사고, 부정부패로 인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종합 대책이다.

‘신뢰를 짓는 건설산업, 미래를 잇는 가치성장’을 비전으로 내건 이번 로드맵은 △민간 중심의 안전문화 확산 △청년과 소통하는 스마트산업 육성 △신뢰받는 일터 조성 등 3대 목표와 10대 실행 과제를 담았다. 국토부는 단기 과제는 연내 완료하고, 중장기 과제는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이행할 계획이다.

핵심은 민간의 자율적 참여를 통한 안전관리 체계 전환이다. 건설사 CEO의 현장 점검, 은퇴 기술인을 활용한 ‘건설 주치의’ 자문단과 ‘건설안전 멘토단’ 운영이 포함됐다. 도심 내 공사장 정비 미흡이나 복장 불량 등으로 인한 이미지 저하를 막기 위해 작업복 표준화와 교통 신호수 배치 매뉴얼 마련도 병행된다.

청년층 유입을 위한 소통 전략도 강화된다. 기술 체험 프로그램, 공모전, 건설주간(건설위크) 개최, 유튜브 채널 운영 등이 추진된다. 스마트건설 스타트업을 위한 창업 공간 제공, 기술 실증, 해외 진출 지원 등 민간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책도 포함됐다.

공정한 시장 질서 확립을 위한 제도 개선도 이어진다. 적정 공사비 및 설계·감리비 기준 개선과 함께 200만 건설인의 청렴 실천 서약, 민관 협업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도 추진된다.

한승구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회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 고금리, 인력 고령화 등으로 건설산업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번 로드맵이 스마트 기술 기반의 혁신과 함께 청년·여성이 일하고 싶은 산업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건설동행위원회는 지난해 11월 민간 주도로 출범한 산·학·연·관 협의체다. 정충기 서울대 교수와 이진숙 충남대 교수가 공동위원장을 맡았으며, 국토부를 포함한 11개 건설 관련 기관장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