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모델
세계적 권위 학회에서 우수 논문 채택 성과
텍스트와 이미지 정보 통합 분석 AI 모델
전사 정보제공 서비스에 적극 활용 계획
[파이낸셜뉴스] 현대모비스가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인공지능) 기술이 세계적 학회에서 인정받은 가운데, 전사적인 업무 혁신에 활용된다.
현대모비스는 전사 데이터 관리는 물론, 제조 현장과 연구개발 분야에서 생산성과 품질 향상, 안전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해당 생성형 AI 솔루션을 활용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미국 테네시주에서 열린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학회(CVPR)'에서 가상의 주행 환경을 구현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공개하고 해당 AI 모델이 우수 논문으로 채택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미지 처리와 객체인식, 딥러닝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학회로 알려진 CVPR은 엄격한 선정 기준 때문에 논문 채택률이 낮기로 유명하다. 이같은 학회에서 현대모비스의 이번 논문이 채택된 것은 AI 기술 경쟁력의 우수성을 인정받은 쾌거로 평가 받는다.
현대모비스가 이번에 공개한 생성형 AI는 텍스트와 이미지 정보를 통합 분석해 이미지 속 특정 부분만을 정밀하게 변환할 수 있는 모델이다.
예를 들어 낮 시간에 촬영한 도로 영상을 기반으로 날씨와 시간대, 도로 형태 등 특정 조건을 세부적으로 바꿀 수 있다. 낮을 밤으로, 비오는 날을 눈오는 날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방대한 데이터를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향후 다양한 업무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모비스는 이 생성형 AI 모델을 전사 차원의 문서 텍스트와 이미지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검색하는 데 적용할 방침이다.
서로 다른 유형의 정보를 통합 분석하는 것은 생성형 AI의 원천 기술 중 하나로,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을 활용해 전사 정보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을 자체 개발하고 있다. 오는 8월부터 연구개발, 생산기술, IT 시스템 등 경영 전반에 AI를 적용해 지식 검색, 업무 자동화, 이미지 분석 등 업무 혁신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제조 분야에 특화된 AI 모델도 개발해 주요 사업장에 적용할 계획인 현대모비스는 기존 제조 현장에서는 공정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복잡한 명령어를 넣는 것을 대체할 수 있게 기초적인 명령만 입력하면 AI가 알아서 제어 코드를 생성해 설비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키도록 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의 해당 AI 모델은 최근 자연어와 컴퓨터 언어 처리 분야 세계적 권위의 학술대회인 ACL(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에서 핵심 논문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같이 현대모비스는 잇따른 AI 분야 기술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생산 및 연구개발 거점에 확대 적용해 전사 차원의 AI 기반 경영 혁신을 강화할 방침이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