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연구원 조주현 원장
국민 전체 종사자 80%가 中企
중요성 크지만 낙후된 부분 많아
스마트팩토리·디지털 전환 힘써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제공
"한계기업에 대한 질서 있는 출구전략을 진행해야 합니다. 동시에 혁신기업을 육성하는 전략을 통해 선순환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조주현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원장(사진)은 24일 이재명 정부가 향후 추진해야 할 중소벤처기업 정책을 묻자 이같이 밝혔다.
조 원장은 서울대 외교학과 학사, 서울대 행정학 석사를 받고 미국 델라웨어대 정책학 박사를 수료했다. 지난 1995년 행정고시 38회로 공직을 시작한 그는 중소기업청과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근무하며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중기부 성장지원정책관, 중소기업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장, 소상공인정책실장 등을 역임하며 중소벤처기업 전문가로 정평이 났다.
특히 지난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중기부 차관을 지냈다. 그는 지난해 3월부터 서울시립대 자유융합대 초빙교수를 역임한 뒤 9월 중소벤처기업연구원장에 임명됐다. 임기는 오는 2027년 9월까지 이어진다.
조 원장은 중기청, 중기부에서의 활동을 묻자 "중소기업은 국민 전체 종사자 중 80% 이상을 차지하는 등 중요성이 크지만 실제 중소기업 현장을 가보면 낙후된 부분이 많다"며 "중소기업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장으로 활동하면서 스마트팩토리 도입과 함께 디지털 전환, 인공지능(AI) 도입 등에 힘썼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 팬데믹'이 불어닥쳤을 때엔 소상공인정책실장, 차관으로 일하며 밤낮, 휴일도 없이 현장을 찾아 목소리를 청취하고 재난지원금 손실보상 등 정책을 실행하며 숨 가쁜 시간을 보냈다"며 "납품대금 연동제 도입 역시 보람을 느꼈던 일"이라고 덧붙였다.
조 원장은 지난해 9월 취임한 이후에도 중소벤처기업 현장과의 소통 활동을 이어갔다. 실제로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중소기업의 영향 및 대응방안' 심포지엄을 통해 중소벤처기업들의 경영 방향에 길라잡이 역할을 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 취임을 전후로 '경제환경 대전환! 중소기업 정책 방향' 심포지엄을 총 3회에 걸쳐 진행하기도 했다.
조 원장은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뒤 관세정책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들을 위해 현장 목소리를 담아낸 뒤 학계와 함께 대안을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며 "수출 중소벤처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그동안 임시조직으로 있던 글로벌센터를 상설조직으로 바꾸기도 했다"고 말했다.
조 원장은 이재명 정부 이후 실천해야 할 중소벤처기업 정책에 대해 "혁신기업 육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선 민생경제를 활성화하는 정책이 시급한데 그런 점에서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를 열고 추가경정예산안을 빠르게 의결한 점은 매우 반가운 일"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해 딥테크 스타트업 등 혁신기업을 육성하는 한편 기존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AI 도입 등 기업 혁신을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 원장은 임기 동안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 정부출연연구소로 전환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그는 "중소벤처기업 싱크탱크는 중소벤처기업뿐 아니라 스타트업, 소상공인까지 아울러야 하고 이에 해야 할 일이 많다"며 "정부는 필요에 따라 단기적인 정책을 수립한다고 하면, 싱크탱크는 단기 정책과 함께 중장기 정책을 고민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butter@fnnews.com 강경래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