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구직자 10명 중 8명 “올해 구직난 심화”… 이것까지 해봤다

채용공고 부족·양질 일자리 감소가 주된 원인

구직자 10명 중 8명 “올해 구직난 심화”… 이것까지 해봤다
사람인이 구직자 8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올 상반기 체감 구직난' 설문 결과. 사람인 제공

[파이낸셜뉴스] 올해 상반기 구직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체감 구직난이 예년보다 더 심해졌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사람인이 고등학생 이상 구직자 8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올 상반기 체감 구직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3.1%는 '구직난이 심화됐다'고 답했다. '예년과 비슷하다'는 응답은 14.9%, '완화됐다'는 응답은 2%에 불과했다.

지원 기업 유형별로는 대기업을 지원하는 응답자의 86.4%가 구직난을 호소해 가장 높았다. 이어 △중견기업(85.5%) △중소기업(82.9%) 순이었다. 외국계 기업을 지원하는 이들은 71%만이 구직난을 느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구직난의 주요 원인으로는 ‘채용 공고 부족’(55.5%,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양질의 일자리 부족(35.4%) △경쟁률 상승(34.1%) △채용인원 감소(33.9%) △서류탈락 증가(31.6%) 등이 뒤를 이었다.

구직난 속에서 취업 전략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응답자의 47.8%는 '눈높이를 낮춰 입사지원했다'고 답했고 42.5%는 '지원 횟수를 늘렸다'고 밝혔다. 이어 △자격증 취득(27%) △묻지마 지원(25.1%) △인턴 등 실무경험 강화(8.9%) △창업 준비(8.2%) 등도 있었다.

하반기 고용시장 전망에 대해서도 비관적인 응답이 많았다. 응답자의 48.9%는 '구직난이 여전할 것'이라고 봤고 38.4%는 '더 심화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완화될 것'이란 응답은 12.7%에 그쳤다.

이 같은 전망의 배경으로는 ‘기업 경영환경 악화’(53.5%)가 가장 많았고, ‘내수 부진’(45.8%), ‘불안한 국제 정세’(34.9%), ‘정책 효과 부족’(33.6%) 순이었다.

이에 따른 하반기 취업 전략으로는 ‘눈높이 조정’(53.1%), ‘지원 횟수 증가’(52.2%)가 주를 이뤘으며, ‘스펙 향상’(34%), ‘인턴십’(11.6%), ‘해외 취업’(7.9%), ‘공무원·전문직 준비’(7.6%) 등의 대응 방안도 나왔다.

사람인 관계자는 “급한 마음에 무분별하게 지원하기보다 역량과 목표에 부합하는 포지션에 집중하고 인공지능(AI) 활용 역량 등 기업이 중시하는 요소를 키우는 전략이 중요하다”며 “AI 기반 취업 플랫폼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향후 취업시장 개선을 위한 과제로는 ‘경기 회복과 경제 성장’(74.9%)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이어 ‘실효성 있는 일자리 정책’(45.7%), ‘직무능력 중심 채용 확대’(32.2%), ‘현실적 눈높이 형성’(27.1%), ‘기술직 처우 개선’(20.8%) 등이 뒤를 이었다.

jimnn@fnnews.com 신지민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