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환 파라다이스그룹 대표이사. 파라다이스 제공
파라다이스그룹이 지난해 대기업 지정 및 코스피 이전 상장 후 처음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내고 올해를 'ESG 경영 도약 원년'으로 선언했다.
최종환 파라다이스 대표이사는 3일 “기업에 주어진 사회적 책임에 적극 부응, 올해를 ‘ESG 경영 원년의 해’로 선언했다"면서 "모든 경영 활동을 ESG 관점으로 대대적으로 쇄신함으로써 지속가능 경영 혁신의 전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파라다이스는 창립 이래 문화예술인 창작 지원활동과 장애아동 인식 개선 사업들을 체계적으로 벌여왔지만, 비재무적 요인을 다각도로 검증하는 ESG 평가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해 개선을 위한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ESG 경영 쇄신 준비를 체계적으로 진행했으며, 올해 4월 ESG 협의체를 발족했다. 이어 지난 6월에는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첫 발간하며 그간의 성과들을 외부에 알리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아울러 파라다이스는 지난해 10월 CFO를 새롭게 영입하고 주주가치 제고와 관련한 IR 조직도 정비했다. 주주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회사의 성과를 투명하게 알리기 위해 4일에는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을 초청, ‘CEO 간담회’를 통해 재무 성과와 향후 전망 등을 소통할 계획이다.
파라다이스그룹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파라다이스 제공
파라다이스그룹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각 부문별 활동 계획도 발표했다. 우선 환경 부문(E)에선 오는 2028년 문을 열 예정인 서울 장충동 플래그십 호텔에 시공 단계에서부터 환경 경영 전략을 반영해 녹색 건축 인증(G-SEED)을 취득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사회 부문(S)에선 사회공헌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지역사회 상생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파라다이스는 장애아동이 참여하는 '아이소리축제'를 비롯해 '지역 협력형 예술 축제'인 '아트랩 페스티벌' 등을 운영해오고 있다.
끝으로 투명한 지배구조(G) 구축을 위해선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지배구조체계를 운영하고 주주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파라다이스는 지난 3월 말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한 이후 배당을 확대한 데 이어 지난달 초에는 자사주를 소각한 바 있다.
최종환 대표이사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을 지속 추진하는 등 국민에게 신뢰받는 기업으로 성장해나가겠다”면서 "매년 보고서 발간을 통해 사업 성과와 ESG 활동을 적극 소통하는 등 평가 관련 지표들도 향상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jsm64@fnnews.com 정순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