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트럼프 관세 버틴 현대차·기아…2분기 영업이익 6.7조 전망 '선방'

트럼프 관세 버틴 현대차·기아…2분기 영업이익 6.7조 전망 '선방'
서울 서초구 양재동 현대자동차, 기아 본사 빌딩 모습. 2023.3.2/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트럼프 관세 버틴 현대차·기아…2분기 영업이익 6.7조 전망 '선방'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트럼프 관세 버틴 현대차·기아…2분기 영업이익 6.7조 전망 '선방'
현대차그룹이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Ellabell)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 HMGMA)’의 준공식을 개최했다. 사진은 HMGMA 근로자 ‘메타프로(Meta Pros)’가 아이오닉5를 조립하는 모습. (현대차그룹 제공, 판매 및 DB 금지) 2025.3.27/뉴스1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현대차·기아가 올해 2분기 미국 관세 여파에도 견조한 판매 실적을 거두면서 이달 말 발표할 2분기 성적표에 관심이 쏠린다. 증권가는 현대차와 기아 모두 매출은 증가하지만, 영업이익은 약 6조 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두 자릿수 낙폭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했다.

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현대차(005380)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은 46조 124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기아(000270) 역시 매출액 전망치는 전년 대비 5.2% 늘어난 29억 25억 원으로 나타났다. 합산 매출액은 75조 1274억 원으로 1년 전보다 3.5% 늘어날 전망이다.

매출액 증가 전망의 배경은 판매 실적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2분기 전 세계에서 각각 106만 6799대, 81만 4810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2분기 대비 각각 0.9%, 2.5% 증가한 수준이다.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 친환경차 판매 비중이 증가하면서 판매 증가는 매출 확대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매출은 늘 것으로 보이지만, 수익성 악화는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증권가가 추산한 현대차와 기아의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각각 3조 6320억 원, 3조 1449억 원이다. 전년 대비 15.1%, 13.7% 하락한 수준이다. 합산 영업이익 역시 14.5% 줄어든 6조 7769억 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영업이익 하락세가 불가피하지만, 미국 관세 등 불확실한 시장 상황을 고려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

미국 정부는 지난 4월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2024년 기준 미국으로 약 100만 대를 수출한 현대차·기아 입장에서는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는 상황이었다.

현대차·기아는 현지 재고 물량을 최대한 활용했고,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관세 대응에 총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최대 시장인 미국서 올해 상반기 약 89만 대를 판매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거뒀다.

장문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현대차는 품목별 관세 영향에 따른 손익 악화 요인에도 양호한 볼륨, 재고 소진, 인센티브 하락과 기말환율 하락에 따른 판매보증충당금 환입이 실적을 방어했다"며 "관세 협상 지연에도 조지아주 신공장(HMGMA) 가동률 개선, 원가 절감, 가격 인상 효과가 연말로 이어지며 2025년 손익 가이던스 달성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성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아는 2분기 분기 단위 최대 매출 및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달성할 전망이나 미국 관세 영향 가시화로 영업이익은 1분기에 이어 감소를 예상한다"며 "견조한 친환경차량과 SUV 등 고부가가치 중심 제품 믹스 효과가 매출 증가에 기여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시장의 관심사는 현대차·기아의 미국 시장 판매가 인상 시기다. 도요타 등 미국 시장 경쟁 브랜드가 7월부터 일부 모델의 판매가를 인상하면서 현대차·기아 역시 판매가 인상 행렬에 동참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현대차·기아는 당장 가격 인상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랜디 파커 현대차 북미권역 본부장은 최근 현지 자동차 전문매체 오토모티브 뉴스와 인터뷰에서 "가격 인상과 관련한 조치는 현재 이뤄지지 않았다. 오히려 연말까지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판촉 프로그램을 마련했다"면서 가격 인상 가능성을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