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븐 삼척 조감도
부동산 시장에서 주차공간이 단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자동차 소유 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이를 수용할 주차공간은 여전히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차난을 피하려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차공간이 넉넉하게 확보된 아파트를 찾는 실수요자들이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 ‘자동차등록대수 현황’에 따르면 2025년 5월 기준 전국에 등록된 자동차 수는 총 2,637만9,563대로 나타났다. 1년 전(2024년 6월)보다 24만5,088대, 2년 전(2023년 6월)보다 62만2,362대 늘어난 수치다.
같은 시기 행정안전부 세대현황에 따르면 6월 기준 전국 세대수는 총 2,423만8,510세대로, 통계상으로는 세대당 1대 이상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업계에서는 앞으로도 세대당 차량 보유수는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아파트 주차 대수 비율이 주거 선택의 주요 기준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맞벌이 부부 증가, 캠핑·차박 등의 여가활동 확대, 자녀 통학용 세컨드카 보유 등 다양한 요인으로 1가구당 2차량 이상을 보유하는 가정이 늘고 있는 것도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지방은 대중교통 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약해 세대당 2대 이상의 차량을 보유한 가정이 많고, 이에 따라 주차공간이 잘 갖춰진 단지의 인기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주차공간이 신축아파트의 주요 경쟁력으로 부각되자, 최근에는 건설사들 역시 신규 분양 단지에서 가구 당 1.5~2대 수준의 넉넉한 주차 공간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1가구 2대 이상의 차량을 보유한 가정이 늘어나면서, 아파트 주차장에서 이중주차 등 주차난을 자주 겪게 된다”며 “특히 지방은 일상생활에 자동차 의존도가 높아 충분한 주차공간을 확보한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앞으로도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넉넉한 주차공간을 갖춘 단지들이 지방에서 분양을 앞두고 있다.
강원 삼척시에서 7월 18일(금) 견본주택을 개관하는 ‘트리븐 삼척’은 세대당 2대의 주차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광폭 평면 주차장 위주로 설계되었으며, 전기차 수요 증가에 대응해 지상 주차장에 100% 전기차 충전기를 배치했다. 과충전 방지를 위한 완속 충전기를 적용해 안전성을 높였다는 점도 특징이다. 이 단지는 지하 1층지상 29층, 총 4개 동, 전용면적 8499㎡, 418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