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한 30대 예비 신랑이 결혼 준비 중 여자친구와 겪은 갈등에 대해 털어놨다. 지난 14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예비 신랑 A씨의 사연이 올라왔다. 여자친구와 '가방순이'에 대해 얘기하다 다퉜다는 것. '가방순이'는 결혼식 날 신부를 돕고 지인들의 축의금을 거둬 부부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거의 신부 친구가 한다. A씨는 "결혼을 준비 중인 37세 여자친구가 있다. 가방순이에 대한 이야기를 오늘 처음 들었다. 그동안 결혼식 꽤 많이 다녔는데 가방순이를 본 적도 없고 들어본 적도 없"고 운을 뗐다. 이어 "제 친구들의 축의금을 본인 친구인 가방순이에게 전달하면 나중에 정산하기 편하니 그렇게 하라고 적극적으로 권유하더라. 이유는 나중에 신혼여행지에서 사용하고 싶다고 한다"고 전했다. 그는 "제 친구들은 항상 축의대에 축의금 넣고 축의대 앞에 집합해서 이야기도 나누고 그러기 때문에 그럴 필요 없다는 제스처를 취했다. 그럼에도 계속 권유하길래 기분이 언짢았다"고 털어놨다. A씨는 "제 입장에서는 왜 제 친구들의 축의금까지 여자친구가 통제하려는 건지 이해가 안 됐다. 축의대에 넣으면 정산이 오래 걸리고 힘들어서 그렇다는데 사실 와닿진 않았다. 그리고 저희 부모님이 불쾌하실 만한 행동 같아서 더 싫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생각을 여자친구에게 말하면 자존심 상해할 것 같아 어쩔 수 없이 동의했다고. 이에 A씨는 여자친구에게 "가방순이의 사진을 찍어 주면 친구들에게 사진 돌리고 이분에게 전달하라고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여자친구는 갑자기 "왜 내 친구 얼굴을 네 친구들에게 돌리냐"라며 불쾌해했다. A씨는 "제가 정신이 나간 것도 아니고 가방순이 얼굴을 왜 친구들에게 돌리겠나. 가방순이를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요구한 거다"라며 "화를 꾹 참고 알겠다고까지 했는데 오히려 여자친구가 미친 듯이 화를 내니 화가 나더라. 참지 못하고 다 터뜨렸다"고 전했다.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돈 문제니까 정확하게 해야 한다" "누가 축의금을 냈는지 알아뒀다가 나중에 보답도 해야 하는데 여자친구는 자기 돈으로 생각한 것 아니냐" 등의 반응을 보였다. gaa1003@fnnews.com 안가을 기자
2024-04-16 06:29:09결혼정보업체 가연이 만남에서부터 결혼 후 접하게 될 신조어를 정리해 17일 발표했다. 먼저 ‘삼프터’란 소개팅 후 다음 만남을 뜻하는 에프터신청을 세 번한다는 뜻이다. 세 번째 만남은 소개팅 후 교제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만남으로 알려져 있어 직장인 미혼남녀들에게는 제법 비장한 단어로 쓰인다. ‘~알지도 못하는 사람’을 줄여 ‘O알못’이라는 말도 있다. 연애와 결혼에서 이 단어는 주로 ‘연알못’(연애를 알지도 못하는 사람), ‘결알못’(결혼 알지도 못하는 사람)으로 응용된다. 실속 있는 결혼과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추구하는 신세대 부부가 늘어나는 만큼, ‘스마트웨딩‘(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결혼), ‘워킹’(웨딩컨설팅 도움 없이 결혼을 준비하는 신랑신부), ‘이쿠맨’(イクメン.육아하는남성) 등 이를 반영한 신조어도 생겨났다. 결혼 후 집안 어른들을 지칭하는 신조어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신조어는 ‘#G’(시아버지), ‘셤니’(시어머니), ‘할빠’(손주 봐주는 할아버지), ‘할마’(손주봐 주는 할머니) 등이다. 결혼정보업체 가연 관계자는 “연애를 시작하는 미혼남녀부터 결혼 후 기혼남녀가 사용하는 신조어를 살펴보면, 그 세대가 고민하는 것은 무엇인지. 또 관심 있는 것은 무엇인지 파악 가능하다”며 “사회 현상을 담고 있는 신조어는 ‘현실의 반영’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결혼정보업체 가연이 정리한 연애서부터 결혼까지 접하게 될 신조어다. ▶"소개팅에 나올 그 사람 ‘시조새 파킹’하던 시절 사람이거나 ‘쪼렙’은 아니지?” 시조새파킹 : 시조새가 날아다니던 시절만큼 오래됨 쪼렙 : 저(低)+렙에서 유래한 게임용어. 실력이 부족한 게이머를 의미. ‘찌질이’와 동의어 ▶“축의금 대신 웨딩레지스트리”, “축의금은 가방순이에게” 웨딩레지스트리 : 예비 부부가 혼수 구입 전 친구들에게 받고 싶은 선물의 품목과 브랜드 등을 알려주고 축의금 대신 받는 형태를 뜻함 가방순이 : 결혼식 신부 도우미의 다른 말. 축의금은 부모에게 고스란히 전달되기 때문에 친구들이나 직장 동료들은 신랑, 신부에게 직접 축의금을 전달해 주기도 하는데, 이 때 가방순이가 받고 나서 식권을 챙겨주기도 한다. ▶"결혼했더니 나는 웨딩푸어, 부모님은 실버푸어” 웨딩푸어 : 비싼 결혼식 준비로 인해 결혼과 동시에 빚을 지면서 시작하는 부부를 일컫는 말 실버푸어 : 미혼 자녀의 결혼 비용으로 다 지출하고 노후 생활비가 넉넉하지 못한 노인을 이르는 말 golee@fnnews.com 이태희 기자
2016-06-17 08:43:09“짝퉁은 역시 롤렉스 시계와 루이뷔통 가방” 관세청이 지난 4월16일부터 7월24일까지 100일간 위조상품집중단속 결과 드러난 사실이다. 7일 관세청에 따르면 관세청은 320건 1447억원 상당의 가짜상품을 적발했는데 가장 많은 품목은 시계류(575억원)이었으며 이어 의류(476억원),가방류(268억원),신변잡화(46억원) 등의 순이었다. 브랜드별 짝퉁은 롤렉스(266억원)가 가장 많이 적발됐고,이어 루이뷔통(128억원), 아디다스(95억원), 알마니(92억원), 까르티에(67억원), 캘빈클라인 (37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세청 관계자는 “지난해 이후 강력한 단속으로 대규모·조직적 위반사범은 감소했지만 여행자 및 인터넷을 통한 소규모·지능적 위반사범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관세청은 이번 집중단속을 위해 조사감시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위조상품집중단속본부를 설치하고 57개팀 140명으로 구성된 전담조사팀을 투입했으며, 우범 환적화물 선별시스템과 위조상품 선별시스템 등 과학적 정보분석시스템을 적극 활용했다. 관세청은 8일 서울 논현동 관세청 서울세관본부에서 지재권보호 민관협의회를 열고, 위조상품 수출입 근절 대책에 대해 논의한다./ck7024@fnnews.com홍창기기자
2007-08-07 14:35:10[파이낸셜뉴스] 축의금 때문에 친구랑 어색해졌다는 한 여성의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15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친구가 제가 준 축의금을 잃어버렸다네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4년 전 결혼한 A씨는 당시 친구 B씨로부터 축의금 20만원을 받았다. 그리고 최근 B씨가 결혼했고, 남편과 함께 참석한 A씨는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축의금을 30만원 내기로 했다. 그리고 이날 A씨는 '가방순이'를 하는 B씨 사촌 동생에게 봉투를 전달했다. A씨는 "축의금 안 챙겨주는 부모님들도 계신다는 걸 알아서 혹시나 해 친구한테 직접 줬다"고 말했다. 보통 '가방순이'는 신부 측 축의금을 직접 받아 신부에게 전달하고, 축의금 낸 하객들에게 따로 식권을 챙겨주기도 한다. 이후 A씨는 신혼여행에 다녀온 B씨로부터 "고맙다. 근데 혹시 축의 했냐? 장부에도 네 이름이 없고, 봉투도 없다"는 연락을 받았다. A씨는 "제대로 확인한 거 맞냐? 사촌 동생한테 직접 줬다"며 "남편이랑 같이 가서 30만원 넣었다"고 답했다. A씨는 "(다른 친구들 축의금) 다 있는데 제 것만 없다더라. 그래서 친구 결혼식 전날 ATM 기기에서 카드로 현금 30만원 인출한 것도 인증했다"며 "근데 친구는 제가 보여주기식으로 쇼했다는 뉘앙스를 풍긴다"고 털어놨다. 이어 "제가 전적이 있는 것도 아니다. 경제적으로 풍족한 편이라 돈 앞에 아쉬운 적이 없다"며 "가방 순이 사촌 동생의 실수로 봉투가 빠졌을 수도 있는 건데 제가 축의를 안 하고 한 척했다고 생각하는 게 억울하다"고 하소연했다. 그러면서 "친구는 자기가 준 20만원이 있는데 본전은커녕 다 잃어버려서 속상하다고 말하는 꼴이 제가 20만원이라도 다시 보내주길 바라는 것 같다.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하냐"고 조언을 구했다. 해당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사촌 동생이 의심스럽긴 하네요" "서운하겠다" "돈이 어디로 갔다는 거야" "결혼식장에 양해 구하고 CCTV라도 확인해 보세요" "축의금 한 번 더 달라는 뜻인가? 기분 나쁠만 하다"등의 반응을 보였다. gaa1003@fnnews.com 안가을 기자
2024-11-16 10:11:57[파이낸셜뉴스] 25년 지기 친구와 시누이의 결혼식 날짜가 겹쳐 고민 중이라는 여성의 사연이 전해졌다. 23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시누이 결혼식에 가는 게 맞나요?'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30대 중반 A씨는 거의 평생을 자매처럼 지낸 25년 지기가 있다고 밝히며 "부모님, 남편 다음으로 소중한 사람이며 심지어 제 동생보다 가까워서 결혼 후에도 부모님 다음으로 많이 만나는 친구"라고 운을 뗐다. 이어 "제 결혼식 때도 100만원 내고 결혼 선물도 따로 30만 원대로 해주고 평생을 중요한 순간에 옆에 있어 줬던 그런 친구가 내년 3월에 결혼한다. 제가 축사도 하고 가방순이도 해주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그는 "올 2월에 잡은 거라 당연히 늘 너 결혼식은 무슨 일이 있어도 간다고 약속했고 이 친구는 친구가 많지 않아 걱정하면서도 제가 옆에 있어 준다면 너무 좋을 것 같다고 하는 친구였다"고 털어놨다. 문제는 절친과 시누이 결혼식 날짜가 겹친다는 것이다. 시누이는 30대 초중반으로 A씨는 "시누이는 저희 결혼식에 축의는커녕 결혼 선물도 없었다. 되레 어릴 때부터 착실하게 자라 능력 있는 오빠한테 용돈을 타가며 결혼 후에도 경제적으로 기대려고 해서 트러블이 많았다"라고 설명했다. 비슷한 이유로 시댁과 사이가 좋은 편이 아니라고 밝힌 그는 "시누이가 1년 남짓 만난 남자친구와 결혼 얘기가 전혀 없다가 갑자기 결혼을 급하게 추진하더라. 최대한 빠르게 하고 싶은데 상반기는 마감이다 보니 비어있는 시간을 찾는 것 같았다. 그러다가 마음에 드는 곳에 가계약했다고 하는데 하필이면 제 친구 결혼식 날이랑 겹친다"라고 난감해 했다. 결혼식 시간은 30분 차이인 데다 예식장 거리가 멀어 둘 중 한 곳은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A씨는 "이 상황이 너무나 짜증 난다. 친구 결혼식을 포기하고 시누이 결혼식에 가야 맞는 거냐"라고 물었다. 그러면서 "머리로는 당연히 시누이 결혼식에 가는 게 맞겠다 싶은데 제 결혼 때도 도움 많이 줬던 소중한 친구 결혼식에 못 가게 된다면 평생의 인연을 저버리는 것 같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라고 고민을 토로했다. 해당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남편이 시누이 결혼식 가고, A씨는 친구 결혼식 가면 되는 거 아닌가" "남편이 처제 결혼식과 25년지기 절친 결혼식을 두고 고민한다면?" "결혼식은 시누이한테 가야죠. 대신 친구한테는 축의금 두둑하게 하는 걸로"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gaa1003@fnnews.com 안가을 기자
2024-09-25 06:3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