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부효율부(DOGE) 수장 자리에서 물러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머스크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X에 올린 글에서 트럼프의 상징적인 감세안을 “역겨운 흉물(a disgusting abomination)”이라고 비난했다.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에 대한 실리콘밸리의 지지를 이끌어내고, 막대한 정치 자금도 후원해 그의 당선을 도왔던 머스크가 트럼프와 관계를 끝장낼 수도 있는 말들을 소셜미디어에 올렸다. 머스크는 이날 x에 올린 일련의 글들에서 하원을 통과해 현재 상원에서 반발에 직면해 있는 트럼프의 감세가 담긴 예산안을 “거대하고, 충격적이며, 돼지들로 가득 찬 의회의 예산안”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이어 “이에 찬성한 이들(하원 의원들)은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라며 “당신도 잘못을 알고 있다. 당신 역시 이를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머스크의 이날 트윗은 트럼프가 강경 예산 보수주의자인 랜드 폴(공화·켄터키) 상원의원을 비판한지 수시간 만에 나왔다. 폴 상원의원은 트럼프가 ‘큰 성장 예산안’이라고 자평한 예산안에 반대했다. 트럼프 예산안은 지난달 단 한차례 표결로 하원을 통과해 현재 상원에서 심의 중이다. 그러나 상원에서는 민주당은 물론이고 여당인 공화당 의원들 일부에서도 비판을 받고 있다. 지난달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막대한 부채를 이유로 미 국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한 계단 강등한 가운데 미 재정적자를 대폭 끌어올릴 예산안이 가당 키나 한 것이냐는 비판이 나온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2025-06-04 03:29:06[파이낸셜뉴스] 【파이낸셜뉴스 도쿄=박소연 기자】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인기가 끝을 모르고 추락하고 있다. 수출 호조, 내수 경기 회복에다 민심을 잡기 위해 세금도 감면해주기로 했지만 지지율은 내각 출범 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도쿄증권거래소를 인용, 최근 상반기 결산(4~9월)을 발표한 기업 393사를 집계한 결과, 이들 기업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30% 증가했다. 역대 최고치다. 엔화가치가 15년만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된다. 비제조업 순이익은 32% 증가한 약 6조엔, 제조업의 순이익은 약 7조엔으로 24% 늘었다. 비제조업 중 이익이 증가한 기업은 133개로 전체의 65%에 해당한다. 외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레저와 교통 업종도 수혜를 보고 있다. 도쿄 디즈니 리조트를 운영하는 오리엔탈 랜드는 고객 수가 회복된 데다 40주년 기념 상품 등으로 이익을 끌어올리면서 순이익 545억엔을 달성했다. 상반기 기준 최고다. 교통도 마찬가지다. 도쿄·오사카·나고야 등 대도시를 지나는 철도 노선인 혼슈 3사(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의 합계 순이익은 2배가 됐다. 지난해 채산 악화로 일제히 적자였던 대형 전력 10사의 최종 손익은 2조2000억엔으로 '반짝' 개선됐다. 전기요금 인상이 진행되고 있고, 연료 가격 하락이 반영되는 시차까지 겹쳐 이익 폭이 커졌다. 제조업에서는 반도체 등 공급 제약이 완화된 자동차의 호조가 두드러진다. 도요타자동차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2배인 2조5894억엔이었다. 환율 하락이 영업이익을 2600억엔 끌어올렸고, 가격 인상 등도 기여했다. 스바루 자동차도 엔저가 영업이익 625억엔을 달성한 주요 요인이 됐다. 반면 소재나 전자부품 관련 산업은 절반 정도만 이득을 봤다. 중국 경제 둔화 여파로 설비투자 관련 기업도 부진하다. 스미토모화학은 주요 소비지인 중국 수요 부진에 따라 세계 각지에서 수급이 악화하고, 판매가 부진한 영향을 받아 최종 손익이 사상 최대인 763억엔 적자를 냈다. 기업 실적이 개선되는 등 경기는 회복되고 있고 1인당 최대 4만엔의 감세안도 내놨지만 기시다 총리 지지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이날 6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매체 여론 조사 결과 기시다 내각에 대한 지지율이 28.3%로, 지난달보다 4.0%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도통신 월례 조사에서 기시다 내각 출범 이후 역대 최저 수준이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률은 역대 최고인 56.7%로, 10월보다 4.2%p 높아졌다. 기시다 총리가 발표한 감세와 관련해서 '평가하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62.5%였다. 기시다 총리는 소득을 뒷받침해 경제를 선순환시키겠다는 취지에서 지난 2일 각의(국무회의)에서 확정한 경제 대책에 1인당 4만엔(약 36만원)의 소득·주민세를 깎아주는 내용을 담았다. 또 당초 예상보다 비용이 늘어난 2025년 오사카·간사이 만국박람회 개최에 대해 응답자의 68.6%는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필요하다'는 응답은 28.3%였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2023-11-06 10:48:31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사진)가 17일(이하 현지시간) TV 인터뷰 형식을 빌어 감세안이 불러온 금융시장 혼란에 대해 국민들에게 사과했다. 신임 재무장관 제러미 헌트가 트러스의 성급하고 대책없는 감세정책을 사실상 전부 거둬들인 뒤 대국민 사과가 나왔다. ■"감세안, 성급했다" 사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러스는 이날 하원에서 헌트 장관이 그의 감세안을 대부분 철회하는 내용의 경제전략을 발표할 때만 해도 무덤덤해 보였다. 국채 발행을 통해 부유층의 세금 450억파운드를 깎아주는 등 트러스의 핵심 감세안이 철회됐지만 트러스는 무표정하게 자리를 지켰다. 그러나 실각 위기에 몰린 트러스는 이날 밤 BBC 방송과 인터뷰에서 전세 역전을 노렸다. 그는 쿼지 콰텡 전 재무장관을 해임한 자신의 결정이 불가피한 것이었다면서 책임을 콰텡에게 돌렸다. 트러스는 헌트 장관에게 '경제 안정성을 되찾기 위한 새 전략'을 감독할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실수를 저질렀다면서 이에 대해 책임을 지고, 사과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트러스는 "우리가 너무 멀리, 지나치게 빨리 갔다"고 덧붙였다. 보수당 내에서 그의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트러스는 자신이 다음 총선까지 당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그는 총리직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기는 했지만 실제로 매우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면서도 "다음 총선까지 보수당을 이끌겠다"고 사퇴 요구에 선을 그었다. 그러나 트러스가 다음 총선까지 당수직과 총리직을 계속 지탱할 수 있을지 회의론이 높아지고 있다. 영국은 2025년 1월 이전까지 또 한번 총선을 치러야 한다. ■트러스 실각 불가피 우세 영국 장관 출신 인사는 이번 사태가 어떻게 끝날지는 이미 모두가 잘 알고 있다면서 트러스의 감세안은 보리스 존슨 전 총리가 저질렀던 실수보다도 훨씬 더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트러스의 감세안이 사람들의 일자리, 삶, 꿈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보수당 의원들에 따르면 평의원들로 구성된 '보수당 1922년 위원회' 수장인 그레이엄 브래디 경이 이미 상당수 의원들로부터 총리 불신임에 관한 서한을 받았다. 트러스는 이날 밤 다우닝가 10번지 총리 관저에서 각료들과 비상 대책회의를 가졌다. 하원 국방위원장인 보수당의 토비아스 엘우드 의원은 스카이뉴스와 인터뷰에서 "수에즈 사태 이후 최악의 위기"라면서 "궤도는 정해졌다. 모두가 트러스가 나가야 한다는 것을 잘 안다"고 말했다. 트러스 총리 실각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수에즈 사태는 1956년 이집트가 수에즈운하 국유화를 단행하자 통제권을 되찾기 위해 영국이 프랑스, 이스라엘과 손잡고 침공한 사건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 역사상 최대 사건으로 제2차 중동전쟁이라고도 부른다. 유엔, 미국, 옛 소련이 영국 등을 압박했고, 결국 영국은 동맹들과 함께 철수하며 더 이상 열강이 아님을 인정해야 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2022-10-18 18:15:14[파이낸셜뉴스] 지난달 출범 이후 경기 부양을 외치며 반세기만에 최대 규모의 감세안을 내놨던 영국의 리즈 트러스 정부가 결국 감세안을 철회했다. 파운드와 영국 국채 가격 폭락을 초래했던 영국 정부 고위관계자들은 "(주변 상황을) 경청했다"고 밝혔다. 영국 BBC에 따르면 쿼지 콰텡 영국 재무장관은 3일(현지시간) BBC를 통해 약 10일 전에 제시했던 감세 제안이 "대규모 혼란을 초래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사람들과 대화했고 의견을 들었으며 알아들었다"고 설명했다. 콰텡은 이날 트위터에 "우리는 (소득세) 45% 세율 폐지안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며 "우리는 이해했고, 경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기업 지원과 저소득층 세부담 감면 등 우리의 성장 계획은 더 번영하는 경제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45% 세율 폐지안으로 인해 영국이 직면한 도전을 극복하기 위한 우리의 임무가 산만해졌다"고 적었다. 같은날 트러스는 감세안 철회에 대해 "경청의 결과"라며 현 정부의 목표가 "고성장"이라고 강조했다. 트러스 정부는 내년에 0%로 추정되는 영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5%로 끌어올리기 위해 공격적인 감세안을 내놨다. 콰텡은 지난달 23일 발표에서 소득세 최고 세율을 45%에서 40%로 낮추는 등 450억파운드(약 72조원) 규모의 감세 정책을 소개했다. 이는 1972년 이후 최대 규모였다. 이후 영국에서는 정부가 재정을 망가뜨리고 물가 상승을 부추긴다는 우려가 터졌고 파운드 가치가 역대 최저로 떨어졌다. 국제 금융시장 역시 파운드 가치 하락과 동시에 영국 국채 가격이 폭락하면서 혼란에 휩싸였다. 이에 영국 중앙은행은 2주 연속 영국 국채를 사들이면서 가격 방어에 나섰다. 그러나 외신들 사이에서는 영국이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받을 수 있다는 위기설이 증폭됐다. 최소 13명의 영국 하원의원들이 공개적으로 감세안에 반대했고 현지 매체들은 소식통을 인용해 집권 보수당 내에서도 약 70명의 의원이 실제 표결에서 감세안에 반대표를 던질 수 있다고 전했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오피니엄이 최근 벌인 온라인 설문에서 트러스의 업무 수행 지지율은 18%였다. 그가 업무를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55%였다. 국제통화기금(IMF)도 감세안에 대해 강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트러스의 정책은 영국 정부의 재정이나 인플레이션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심각한 경기침체를 촉발할 것이라는 게 핵심이었다. 미국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의 라파엘 보스틱 총재도 지난달 26일 "영국 정부의 새로운 재정 계획이 경제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세계의 경기 침체 가능성을 높였다"고 비판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2022-10-03 15:56:17문재인정부가 대기업과 고소득층에 대한 법인세 및 소득세는 현행수준 유지로 증세기조를 이어가면서 자유한국당이 연 14조원대 규모의 감세안으로 맞불을 놔 향후 치열한 세제 논쟁을 예고하고 있다. 한국당 차원의 구체적인 감세안 규모가 나온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지난해 최대 25%로 올렸던 법인세율을 20%로 내리고 과세표준 8800만원 이하 소득세율은 2%포인트씩 낮춰주는 개정안을 한국당 의원들이 발의하면서 연말 여야간 첨예한 대립이 예상된다.이번 세법개정안에선 법인세율과 소득세율을 건드리지 않았으나 향후 5년간 세수효과가 2조5000억원 줄어들 것이란 점에서 해당 감세안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연 14조·향후 5년간 71조 규모 감세 추진30일 국회예산정책처가 한국당 정갑윤·추경호 의원이 각각 발의한 소득세법·법인세법 개정안에 대해 분석한 비용추계 결과에 따르면, 향후 5년간 71조971억원, 연간 14조2174억원 규모의 세수가 줄어들었다.정 의원이 발의한 소득세법 개정안은 과표 8800만원 이하 소득세율을 2%포인트씩 인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이에 따른 소득세가 2019년에 5조7166억원 줄어들면서 점차 규모가 확대돼 2023년에는 10조2514억원이 감소할 것으로 추산돼 5년간 총 43조7871억원, 연평균 8조7574억원의 세수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법인세 과표 구간을 2억원 이하, 2억원 초과 두 구간으로 변경하고, 각 구간의 세율 10%, 20~25%를 각각 8%, 20%로 인하하는 법인세법 개정안의 경우, 내년엔 5200억원의 세수가 줄어들지만 2023년에는 6조6200억원으로 세수감소분이 확대될 것으로 추산됐다.추 의원이 발의한 해당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는다면 향후 5년간 27조3100억원, 연평균 5조4600억원의 세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지난해 논란 끝에 법인세 과표에 200억~3000억원 구간에 22%의 세율을 적용하고 3000억원 초과 구간에 25%의 세율을 매긴 바 있다.■세법 놓고 논란 가열될 듯정 의원이 발의한 소득세법 개정안은 1200만원 이하 소득세율을 6%에서 4%로, 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 구간 세율은 15%에서 13%로, 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는 24%에서 22%로 내리도록 하고 있다.저소득층과 서민, 중산층을 겨냥한 것으로 추가경정예산안에서도 10조원 정도 잉여금이 남는다는 점에서 재분배 보다 처음부터 세율을 낮춰 세 부담을 낮추는게 필요하다는 것이 정 의원 측 설명이다.8800만원 초과 구간을 비롯해 1억5000만원 초과, 3억원 초과, 5억원 초과 구간 등 고소득자 세율은 건드리지 않아 부자감세 논란도 피했다.법인세율도 전세계적으로 법인세를 낮추는 상황에서 기업들의 부담 경감을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그러나 민주당 측은 이번 세법개정안으로 세수가 줄어드는 만큼 전체적은 틀을 흔들 수 있는 법인세, 소득세 세율 인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민주당 기재위 관계자는 "지난해 법인세와 소득세율 인상으로 늘어난 세수로 근로장려세제 등 감세할 여지가 생겼다"며 "한국당 내에서도 감세안에 대한 이견차가 있을 수 있어 좀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2018-07-30 17:14:40문재인정부가 법인세와 소득세는 현행수준 유지로 증세기조를 이어가면서 자유한국당이 연 14조원대 규모의 감세안으로 맞불을 놔 향후 치열한 세제 논쟁을 예고하고 있다. 한국당 차원의 구체적인 감세안 규모가 나온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지난해 최대 25%로 올렸던 법인세율을 20%로 내리고 과세표준 8800만원 이하 소득세율은 2%포인트씩 낮춰주는 개정안을 한국당 의원들이 발의하면서 연말 여야간 첨예한 대립이 예상된다. 이번 세법개정안에선 법인세율과 소득세율을 건드리지 않았으나 향후 5년간 세수효과가 2조5000억원 줄어들 것이란 점에서 해당 감세안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연 14조·향후 5년간 71조 규모 감세 추진 30일 국회예산정책처가 한국당 정갑윤·추경호 의원이 각각 발의한 소득세법·법인세법 개정안에 대해 분석한 비용추계 결과에 따르면, 향후 5년간 71조971억원, 연간 14조2174억원 규모의 세수가 줄어들었다. 정 의원이 발의한 소득세법 개정안은 과표 8800만원 이하 소득세율을 2%포인트씩 인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른 소득세가 2019년에 5조7166억원 줄어들면서 점차 규모가 확대돼 2023년에는 10조2514억원이 감소할 것으로 추산돼 5년간 총 43조7871억원, 연평균 8조7574억원의 세수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법인세 과표 구간을 2억원 이하, 2억원 초과 두 구간으로 변경하고, 각 구간의 세율 10%, 20~25%를 각각 8%, 20%로 인하하는 법인세법 개정안의 경우, 내년엔 5200억원의 세수가 줄어들지만 2023년에는 6조6200억원으로 세수감소분이 확대될 것으로 추산됐다. 추 의원이 발의한 해당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는다면 향후 5년간 27조3100억원, 연평균 5조4600억원의 세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논란 끝에 법인세 과표에 200억~3000억원 구간에 22%의 세율을 적용하고 3000억원 초과 구간에 25%의 세율을 매긴 바 있다. ■세법 놓고 논란 가열될 듯 정 의원이 발의한 소득세법 개정안은 1200만원 이하 소득세율을 6%에서 4%로, 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 구간 세율은 15%에서 13%로, 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는 24%에서 22%로 내리도록 하고 있다. 저소득층과 서민, 중산층을 겨냥한 것으로 추가경정예산안에서도 10조원 정도 잉여금이 남는다는 점에서 재분배 보다 처음부터 세율을 낮춰 세 부담을 낮추는게 필요하다는 것이 정 의원 측 설명이다. 8800만원 초과 구간을 비롯해 1억5000만원 초과, 3억원 초과, 5억원 초과 구간 등 고소득자 세율은 건드리지 않아 부자감세 논란도 피했다. 법인세율도 전세계적으로 법인세를 낮추는 상황에서 기업들의 부담 경감을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민주당 측은 이번 세법개정안으로 세수가 줄어드는 만큼 전체적은 틀을 흔들 수 있는 법인세, 소득세 세율 인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기재위 관계자는 "지난해 법인세와 소득세율 인상으로 늘어난 세수로 근로장려세제 등 감세할 여지가 생겼다"며 "한국당 내에서도 감세안에 대한 이견차가 있을 수 있어 좀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2018-07-30 16:06:0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법인세를 21%에서 20%로 낮추고 중산층을 위한 세제감면을 포함한 추가 세제개편안을 올해 가을 발표하겠다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 올해 초부터 1조5000억달러 규모의 감세정책을 시행중인 가운데 '감세정책 2탄'을 내놓겠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2단계 세제개편안을 준비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것(감세안)은 중산층에 보다 집중될 것"이라며 "고려중인 것 중 하나는 법인세를 21%에서 20%로 낮추는 것이며 그 외 대부분은 바로 중산층으로 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대단한 부양책"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세제개편안을 오는 10월이나 가능하면 더 빠른 시일 내에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발효된 감세법에 따라 미국의 법인세 최고세율은 35%에서 21%로 영구적으로 낮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기에서 1%포인트를 추가로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중산층을 위한 감면안에는 개인소득세 인하와 은퇴를 대비해 저축을 유도하는 안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지난 3월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추가 세재개편안의 대부분이 개인소득세 인하와 관련돼있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 발효된 감세법에 따라 개인 소득세 최고세율은 39.6%에서 37%로 떨어졌지만 2025년까지여서 한시적이다. CNBC는 2차 감세안에 한시적인 소득세 인하를 법인세처럼 영구화하는 안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미 의회에서 감세안을 총괄하는 캐빈 브래디 하원 세입위원장은 지난달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정부는 가정들이 더 일찍 (은퇴에 대비해) 저축하길 원한다"고 말해 은퇴 대비 저축을 유도하는 감세안이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브래디 세입위원장은 추가 감세안이 오는 11월 중간선거 이전에 완료될 수 있다고 밝혔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2018-06-30 11:56:44경제종합지 中 제일재경일보는 2일 보도에서 "중국이 2018년도를 기점으로 세금 줄이기에 전면적으로 나서면서 기업부담을 줄이는데 힘을 쏟을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이 올해 감세에 전면 나섬으로써 미국의 최근 감세 기조에 대응하는 움직임이 나올 것으로 분석했다. 시장에선 올해 감세안이 중국당국이 추진하는 공급측 개혁의 일환으로써 법인 비용 감소 필요성에 따른 것이란 의견도 제기냈다. '미국의 대대적인 감세 기조에 대항하는 국제 경쟁 차원'으로 볼 필요도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사실 중국은 다른 국가들보다 선제적인 감세 행보를 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3~16년 기간에 걸쳐서 기업들의 세 부담을 2조위안(약 328조원) 이상 줄여줬다. 지난해엔 감세 목표치인 1조위안을 달성했다. 미국이 기업, 경제 살리기를 이유로 촉발시킨 감세 행보는 올해 들면서 전세계에 감세 기조를 형성할 것이라고 제일재경일보는 전망했다. 일본, 영국 등 선진국을 비롯해 중국 역시도 감세를 통해 경기를 살리는 것에 적극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kmkim@fnnews.com 김경목 기자
2018-01-02 08:06:2319일(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세제개혁안의 하원 통과에도 이틀 만에 동반 하락했다. 감세안의 장기적 효과를 두고 의구심이 계속됐다. 투자의견 하향에 애플이 1% 넘게 떨어지며 기술주가 하락한 점도 부담이었다. 나스닥종합지수 낙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7.45포인트(0.15%) 하락한 2만4754.75에 장을 마쳤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8.69p(0.32%) 떨어진 2681.47을 기록했다. 나스닥지수는 30.91p(0.44%) 내린 6963.85에 거래됐다. 혼조세로 출발한 3대 지수들은 기술주 부진을 따라 일제히 약세로 방향을 잡았다. S&P500 11개 종목 가운데 8개가 하락했다. 유틸리티와 통신업종이 각각 1.8% 및 1% 떨어졌다. 기술업종은 0.5% 밀렸고 금융주는 0.4% 낮아졌다. 반면 에너지업종은 유가상승을 따라 0.1% 높아졌고, 필수소비재주도 0.2% 올랐다. 개별종목 중 애플이 1.1% 하락했다. 노무라인스티넷은 아이폰X 판매가 기대를 밑돌 우려가 있다며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제너럴모터스와 월마트는 증권사 투자의견 상향에 약 1% 올랐다. ■미 증시 주요 재료들 공화당이 추진해온 세제개혁 최종안이 227대203으로 하원을 통과했다. 민주당 의원은 전원 반대표를 행사했다. 미치 맥코넬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세제안의 상원 표결이 이날 저녁 진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일 마이크 리와 수전 콜린스 상원의원이 지지의사를 밝히면서 공화당은 법안 통과에 필요한 득표수를 모두 확보했다. 공화당은 상·하원 투표를 거쳐 21일 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서명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지난달 미 주택착공이 예상과 달리 증가해 13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2개월 연속 증가세다. 단독주택 착공이 10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11월 주택착공은 전월보다 3.3% 늘어난 연율 129만7000건으로 집계됐다. 시장에서는 125만건을 예상했다. 전월 수치는 129만건에서 125만6000건으로 하향 수정됐다. 단독주택 착공이 5.3% 확대됐다. 지난 2007년 9월 이후 가장 많다. 선행지표격인 건축허가는 전월비 1.4% 줄어든 129만8000건을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127만3000건을 기대했다. 미 주택지표 호조가 4분기 견조한 성장 기대를 뒷받침했다. 미 경제성장률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모델이 4분기 성장률을 3.3%로 0.2%포인트 높였다. GDPNow는 이날 나온 11월 주택착공 결과를 반영해 실질주거투자 증가율 예상치를 4.8%에서 8.2%로 상향 조정했다. 미국이 연방정부 셧다운 위기를 또다시 맞고 있다. 다음 달 19일까지 재정지원을 연장할 임시예산안 논의가 진통을 겪고 있다. 국방비 지출과 의료 등에서 이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한 처리 시한은 오는 22일 자정이다. 하원은 이르면 20일 임시예산안 표결을 진행할 예정인 가운데, 민주당 의원들은 대부분 반대표를 행사할 전망이다. 옌스 바이드만 분데스방크 총재가 유럽중앙은행(ECB)이 이달 회의에서 양적완화를 언제 끝낼지 분명히 밝혔어야 했다고 거듭 강조했다. 임금 증가율이 개선됨에 따라 물가 압력도 강해지고 있다며 자산매입을 더 일찍 끝내는 편이 합리적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산매입 종료 후에도 통화정책 기조는 완화적으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14일 ECB는 월간 자산매입을 내년 1월부터 300억유로로 줄여 9월까지 시행하겠다면서도 필요하면 양적완화를 계속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바 있다. godblessan@fnnews.com 장안나 기자
2017-12-20 06:40:1619일(현지시간) 뉴욕 채권시장에서 미국 국채수익률이 동반 급등했다. 독일 분트채 영향으로 일찍부터 뛰더니, 미 주택지표 호조와 감세안 하원 통과로 상승속도가 더 빨라졌다. 플래트닝 이익실현이 이틀째 이어지며 수익률곡선도 한층 가팔라졌다. 미 국채 벤치마크인 10년물 수익률은 장 초반부터 빠르게 올라 2.4%선을 넘어섰다. 전장보다 6.2bp(1bp=0.01%) 상승한 2.455%에 거래됐다. 7주 만에 최고치이자, 2거래일 기준 올해 최대 상승폭이다. 금리정책 전망에 민감한 2년물 수익률은 전장보다 2.5bp 높아진 1.853%를 기록했다. 장기 물가전망에 민감한 30년물 수익률은 7.1bp 급등한 2.812%를 나타냈다. 5년물 수익률은 5.4bp 오른 2.221%에 거래됐다. 한 시장전문가는 “연말 연휴를 앞두고 거래가 한산한 가운데 지난주까지 전개된 흐름을 되돌리는 이익실현 움직임이 계속됐다”며 “투자자들이 양호한 성장 기대 속에 세제안이 채권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유럽 수익률도 일제히↑…미 세제안 기대 + 독일 분트채 영향 유럽 국채 수익률도 일제히 뛰었다. 미국 감세안 통과 기대와 함께 독일이 내년 국채발행을 늘린다는 보도가 시장 분위기를 좌우했다. 독일 분트채 10년물 수익률은 0.38%로 전일보다 7bp 올랐다. 2주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영국 길트채 10년물 수익률은 6bp 높아진 1.205%를 기록했다. 독일 재무부는 차환용으로 내년 국채발행 규모를 1830억유로로 올해보다 65억유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30년물 발행규모를 올해 110억유로에서 160억유로로 확대한다. 그 여파로 분트채 30년물 수익률이 현지 오후 거래에서 7bp 뛰며 유로존 채권시장 매도세를 견인했다. 일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전장보다 0.1bp 높아진 0.041%를 기록했다. 오는 21~22일 일본은행 통화정책회의를 앞두고 움직임이 제한됐다. 시장에서는 일본은행이 정책 변화 없이 내년 양적완화 축소 계획 등을 논의할 수 있다고 관측한다. 중국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3.907%로 0.1bp 떨어졌다. 뉴욕시간 오후 3시 달러/위안 역외환율은 0.06% 내린 6.6050위안에 거래됐다. ■글로벌 채권시장 주요 재료들 공화당이 추진해온 세제개혁 최종안이 227대203으로 하원을 통과했다. 민주당 의원은 전원 반대표를 행사했다. 미치 맥코넬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세제안의 상원 표결이 이날 저녁 진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일 마이크 리와 수전 콜린스 상원의원이 지지의사를 밝히면서 공화당은 법안 통과에 필요한 득표수를 모두 확보했다. 공화당은 상·하원 투표를 거쳐 21일 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서명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지난달 미 주택착공이 예상과 달리 증가해 13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2개월 연속 증가세다. 단독주택 착공이 10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11월 주택착공은 전월보다 3.3% 늘어난 연율 129만7000건으로 집계됐다. 시장에서는 125만건을 예상했다. 전월 수치는 129만건에서 125만6000건으로 하향 수정됐다. 단독주택 착공이 5.3% 확대됐다. 지난 2007년 9월 이후 가장 많다. 선행지표격인 건축허가는 전월비 1.4% 줄어든 129만8000건을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127만3000건을 기대했다. 미 주택지표 호조가 4분기 견조한 성장 기대를 뒷받침했다. 미 경제성장률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모델이 4분기 성장률을 3.3%로 0.2%포인트 높였다. GDPNow는 이날 나온 11월 주택착공 결과를 반영해 실질주거투자 증가율 예상치를 4.8%에서 8.2%로 상향 조정했다. 미국이 연방정부 셧다운 위기를 또다시 맞고 있다. 다음 달 19일까지 재정지원을 연장할 임시예산안 논의가 진통을 겪고 있다. 국방비 지출과 의료 등에서 이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한 처리 시한은 오는 22일 자정이다. 하원은 이르면 20일 임시예산안 표결을 진행할 예정인 가운데, 민주당 의원들은 대부분 반대표를 행사할 전망이다. 옌스 바이드만 분데스방크 총재가 유럽중앙은행(ECB)이 이달 회의에서 양적완화를 언제 끝낼지 분명히 밝혔어야 했다고 거듭 강조했다. 임금 증가율이 개선됨에 따라 물가 압력도 강해지고 있다며 자산매입을 더 일찍 끝내는 편이 합리적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산매입 종료 후에도 통화정책 기조는 완화적으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14일 ECB는 월간 자산매입을 내년 1월부터 300억유로로 줄여 9월까지 시행하겠다면서도 필요하면 양적완화를 계속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바 있다. godblessan@fnnews.com 장안나 기자
2017-12-20 06:1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