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수리과학과 이지운 교수(사진)가 대한수학회가 주는 ‘2017년 논문상’수상자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이 교수는 준 인(Jun Yin)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교수와 공동저자로 ‘위그너 행렬에서 끝 보편성이 성립할 필요충분조건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edge universality of Wigner matrices)’이라는 주제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해당 논문은 2014년 미국 듀크 대학이 출간하는 듀크 매스(Duke Math)저널에 실렸다. 이 교수는 이 논문에서 위그너 행렬의 최대 고유치가 트레이시 위덤(Tracy-Widom) 분포로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을 찾아냈다. 이 결과는 랜덤행렬 이론분야에서 지난 수십 년간 연구돼 온 난제 중 하나를 해결한 것으로 해당 학문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시상식은 대한수학회 학술기간 중인 오는 29일 오후 6시 조선대학교 전자정보공과대 IT홀에서 열린다. 이 교수는 서울대에서 물리학과와 수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지난 2010년부터 KAIST 수리과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4년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로 선정됐으며 대한수학회가 선정한 ‘상산젊은수학자상’을 수상하는 등 한국을 빛낼 젊은 과학자로 주목받고 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17-04-27 10:16:11삼성은 미래기술육성사업 2014년도 하반기 지원과제로 총 45개 과제를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기초과학 △소재기술 △정보통신기술(ICT) 창의과제 등 3대 분야에 10년간 총 1조5000억원을 출연해 국가 미래기술 육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지원과제는 국내외 석학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에서 엄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된다. 이번에 선정된 기초과학 과제는 양자장론 및 초끈이론 연구(서울대 이상민 교수), 차세대 원자로 중성미자 실험 과제(서울대 김수봉 교수), 랜덤 슈뢰딩거 연산자의 고유치 분포 연구(KAIST 이지운 교수) 등 19건이다. 소재기술 분야에서는 태양광 물 분해 광 전극 개발 과제(서울대 장호원 교수), 초소형 고분자 엑츄에이터 연구(포스텍 박문정 교수) 등 14건이 뽑혔다. 정보통신기술(ICT) 창의과제로는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뉴메모리 플랫폼 개발(홍익대 노심혁 교수), 신개념 MEMS 패키지 연구(KAIST 윤준보 교수) 등 12건이 선정됐다. 이 중 뉴메모리는 플래시메모리의 저장능력과 D램의 빠른 처리속도를 동시에 갖춘 차세대 메모리다. 기존보다 메모리가 차지하는 전력과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정보기술(IT)기기를 획기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사물인터넷에 활용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동시에 개발, 사물인터넷 기기 디바이스에 사용할 수 있는 근거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소재기술 분야 심사위원장으로 참여한 서울대 김성근 교수는 "노벨상 수상자 등 해외심사에 참여한 해외 석학들도 한국 과학자들의 제안과제 질이 향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치열한 토론을 통해 창의적이고, 도전적 과제를 선정하도록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일반 지원과제는 인터넷을 통해 수시 접수해 연 2회 선정하고 있으며, 별도의 지정테마 지원과제는 매년 한 차례 선정하고 있다. 삼성은 지난해 8월 미래기술육성사업 시행 이후 현재까지 일반 지원과제 111건, 지정테마 지원과제 10건 등 총 121개 지원과제를 선정했다. 내년도 상반기 사업은 오는 12월 19일까지 과제를 접수, 2015년 1월에 서면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winwin@fnnews.com 오승범 기자
2014-10-09 10:23:4550여년 묵은 수학계의 난제가 서울대 교수와 미국 유타대 교수의 공동연구로 해결됐다. 서울대는 강현배 수리과학부 교수와 그램 밀턴 미국 유타대 석좌교수가 ‘폴야-세고 예측’과 ‘에슐비 예측’을 공동으로 해결했다고 4일 밝혔다. 학계는 이들의 연구 성과가 합성구조의 성질 연구나 저주파 파동 연구 등에서 나타나는 고전적 개념인 편극텐서에 대한 중요한 예측과 관련된 만큼 의료 영상관련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폴야-세고 예측은 같은 부피를 가지는 영역 중에서 편극텐서 고유치의 합이 최소가 되는 모양은 구면체뿐이라는 이론이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교수인 폴야와 세고가 1951년 제시했으며 이 둘을 포함한 수많은 학자들이 이를 증명하기 위해 매달렸으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에슐비 예측은 평등한 벡터장이 걸려 있을 때 내부에서 역시 평등한 벡터장이 형성되는 구조는 타원체밖에 없다는 내용으로 이론 역학자인 에슐비가 1961년 제시했다. 에슐비 예측은 최적의 합성구조에 대한 이론적·실험적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1971년에 이 예측이 2차원 평면에서는 참이라는 것이 증명됐으나 그 해법이 3차원으로 확장되지는 못했다. 강 교수와 밀턴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폴야-세고의 예측과 에슐비의 예측이 수학적 동치(同値) 관계, 즉 어느 한 쪽이 참이면 나머지 한 쪽도 참이라는 것을 규명했으며 이를 토대로 두 예측이 참이라는 것을 동시에 증명했다. 강 교수는 “오랜 난제가 해결된 자체로 의미가 있다. 연구 성과가 편극텐서의 성질을 이용한 의료영상장비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들의 공동 논문은 수학과 역학 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아카이브 포 내셔널 미케닉스 앤 애널리시스’ 188호에 올해 초 게재됐다. /economist@fnnews.com 이재원기자
2008-03-04 22:25:5650여년 묵은 수학계의 난제가 서울대 교수와 미국 유타대 교수의 공동연구로 해결됐다. 서울대는 강현배 수리과학부 교수와 그램 밀턴 미국 유타대 석좌교수가 ‘폴야-세고 예측’과 ‘에슐비 예측’을 공동으로 해결했다고 4일 밝혔다. 학계는 이들의 연구 성과가 합성구조의 성질 연구나 저주파 파동 연구 등에서 나타나는 고전적 개념인 편극텐서에 대한 중요한 예측과 관련된 만큼 의료 영상관련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폴야-세고 예측은 같은 부피를 가지는 영역 중에서 편극텐서 고유치의 합이 최소가 되는 모양은 구면체뿐이라는 이론이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교수인 폴야와 세고가 1951년 제시했으며 이 둘을 포함한 수많은 학자들이 이를 증명하기 위해 매달렸으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에슐비 예측은 평등한 벡터장이 걸려 있을 때 내부에서 역시 평등한 벡터장이 형성되는 구조는 타원체밖에 없다는 내용으로 이론 역학자인 에슐비가 1961년 제시했다. 에슐비 예측은 최적의 합성구조에 대한 이론적·실험적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1971년에 이 예측이 2차원 평면에서는 참이라는 것이 증명됐으나 그 해법이 3차원으로 확장되지는 못했다. 강 교수와 밀턴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폴야-세고의 예측과 에슐비의 예측이 수학적 동치(同値) 관계, 즉 어느 한 쪽이 참이면 나머지 한 쪽도 참이라는 것을 규명했으며 이를 토대로 두 예측이 참이라는 것을 동시에 증명했다. 강 교수는 “오랜 난제가 해결된 자체로 의미가 있다. 연구 성과가 편극텐서의 성질을 이용한 의료영상장비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들의 공동 논문은 수학과 역학 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아카이브 포 내셔널 미케닉스 앤 애널리시스’ 188호에 올해 초 게재됐다. /economist@fnnews.com 이재원기자
2008-03-04 16:48:1050여년 묵은 수학계의 난제가 서울대 교수와 미국 유타대 교수의 공동 연구로 해결됐다. 서울대는 강현배 수리과학부 교수와 그램 밀턴 미국 유타대 석좌교수가 ‘폴야-세고 예측’과 ‘에슐비 예측’을 공동으로 해결했다고 4일 밝혔다. 학계는 이들의 연구 성과가 합성구조의 성질연구나 저주파 파동 연구 등에서 나타나는 고전적 개념인 편극텐서에 대한 중요한 예측과 관련된 만큼 의료 영상관련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폴야-세고 예측은 같은 부피를 가지는 영역 중에서 편극텐서의 고유치의 합이 최소가 되는 모양은 구면체뿐이라는 이론이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교수인 폴야와 세고가 1951년 제시했으며 이 둘을 포함한 수많은 학자들이 이를 증명하기 위해 매달렸으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에슐비 예측은 평등한 벡터장이 걸려 있을 때 내부에서 역시 평등한 벡터장이 형성되는 구조는 타원체 밖에 없다는 내용으로 이론 역학자인 에슐비가 1961년 제시했다. 에슐비 예측은 최적의 합성구조에 대한 이론적·실험적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1971년에 이 예측이 2차원 평면에서는 참이라는 것이 증명됐으나 그 해법이 3차원으로 확장되지는 못했다. 강 교수와 밀턴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폴야-세고의 예측과 예슐비의 예측이 수학적 동치(同値) 관계, 즉 어느 한쪽이 참이면 나머지 한쪽도 참이라는 것을 규명했으며 이를 토대로 두 예측이 참이라는 것을 동시에 증명했다. 강 교수는 “오랜 난제가 해결된 자체로 의미가 있다. 연구 성과가 편극텐서의 성질을 이용한 의료영상 장비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한편 이들의 공동 논문은 수학과 역학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아카이브 포 래셔널 미케닉스 앤 애널리시스’ 188호에 올해 초 게재됐다. /economist@fnnews.com이재원기자
2008-03-04 13:4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