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애플이 아이폰15 시리즈와 관련해 발열 문제가 종종 발생하자, 차기작인 아이폰16 시리즈부터 방열판을 탑재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아이폰15 구리 방열판 발열문제로 이슈 16일(현지시간) 해외 정보기술(IT) 전문매체 GSM아레나는 IT 팁스터 '@KosutamiSan(X 사용자)'를 인용해 아이폰16 시리즈에 열 방출 목적의 그래핀 방열판이 탑재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출시된 아이폰15 시리즈의 경우 구리 소재의 방열판을 사용하고 있다. 기기의 경우 전작보다 확실히 가벼워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구리 방열판의 소재 탓에 발열 문제가 이슈로 불거졌다. 아이폰16 시리즈에 탑재될 그래핀 소재는 구리에 비해 우수한 열전도성을 갖고 있다. 또, 냉각 기능 또한 향상된다. 그래핀 소재의 방열판이 탑재될 경우 금속 쉘을 갖춘 배터리가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애플은 애플워치 제품에서, 이미 검은색 호일케이스에서 금속 케이스로 전환한 바 있다. 다만, 매체는 해당 소식이 이제 막 전해지기 시작한 터라, 변수의 가능성도 생각해볼 것을 당부했다. 그래핀 소재 채택 소식에.. 아이텍 주가 강세 한편, 애플의 그래핀 소재 방열판 소식이 전해지면서 그래핀 소재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를 둔 아이텍의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아이텍은 자회사로 네오엔프라를 두고 있는데, 이 자회사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그래피너스 페브릭스(Graphinus Fabrics)와 그래핀 폴리 복합 섬유 원사 200톤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그래핀 소재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아이텍의 주가 역시 16일(한국시간) 1시 36분 기준 전일 대비 380원(+5.05%) 상승한 7900원에 거래됐다. 다만, 17일 오후 2시 기준 주가는 7390원을 유지 중이다. helpfire@fnnews.com 임우섭 기자
2023-11-17 13:59:18[파이낸셜뉴스] 내년에 출시될 아이폰16의 발열 문제 해결을 위해 그래핀 방열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소식에 아이텍이 강세다. 16일 오후 1시 36분 현재 아이텍은 전일 대비 380원(+5.05%) 상승한 7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애플 관련 루머를 다루는 해외 매체 애플인사이더(Appleinsider)는 16일(미국 현지시간) 애플이 아이폰16에 대한 열 전달 개선 해결책으로 그래핀 방열판과 금속 배터리 케이스로 교체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소식으로 아이텍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아이텍은 그래핀 소재 사업을 영위하는 네오엔프라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네오엔프라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그래피너스 페브릭스(Graphinus Fabrics)와 그래핀 폴리 복합 섬유 원사 200톤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그래핀 소재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네오엔프라 관계자는 “그래핀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으로 생활용품 시장에 진출해 그래핀 상용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3-11-16 13:37:04[파이낸셜뉴스]아이텍의 자회사인 첨단복합소재전문기업 네오엔프라가 글로벌 첨단소재그룹인 영국 헤이데일(Haydale)과 그래핀 공동연구 및 상용화에 나선다. 전세계 최초로 케미칼 범용 그래핀소재의 상업화에 성공한 네오엔프라와 미국, 유럽, 아시아 등 6개국에 지사와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는 헤이데일이 손잡고 혁신적인 소재, 제품군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겠다는 목표다. 네오엔프라는 영국 헤이데일(Haydale Graphene Industries PLC)사와 그래핀 복합소재 공동개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양사는 EMI Solution(전자파차폐 솔루션), 그래핀 장·단섬유 원단, 그래핀 필름, 의료용 그래핀 소재, 그래핀 산업용 소재 등 산업 전반에 필요한 다양한 소재를 세계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탄소입자인 그래핀은 뛰어난 물리적 강도, 전기적 특성, 열 전도성 등으로 자동차, 반도체, 바이오,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의 적용이 진행 중이다. 양사의 기술이 적용될 EMI Solution은 LED마스크, TV패널 등 전자제품을 비롯해 전기자동차의 전자파 차단을 위해 폭넓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래핀 장·단섬유와 원단은 PET와 나일론 등 소재 각각의 특장점은 그대로 살리면서 원적외선 방사, 정전기방지, 안티 박테리아, 전자파 차폐 등의 특성까지 더할 수 있다. 그래핀 원단은 코로나19 마스크(안티 박테리아)뿐만 아니라 의류(원적외선 방사 및 정전기 차단)로 각광을 받고 있다. 네오엔프라는 최근 생분해성 섬유와 플라스틱의 기능 강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의료기기, 화장품, 2차전지, 자동차 내장재 등으로 적용범위를 확대 중이다. 이번 MOU는 헤이데일이 네오엔프라의 그래핀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면서 성사됐다. 네오엔프라는 그래핀 복합소재 개발전문 기업으로서 세계 최초로 케미칼 기반의 범용소재에 그래핀을 결합해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 그래핀 복합신소재 양산에 성공했다. 회사는 그래핀 원사, 자율주행차량의 전자파 차폐 소재와 방열판, 반도체 수송에 사용하는 트레이, 도전성 필름 등 케미컬에 적용하는 그래핀 상업화를 준비하고 있다. 헤이데일은 2003년도에 설립돼 6개국에 지사를 운영 중이다. 항공 우주, 자동차 등 하이테크 산업 전반에 적용되는 그래핀 및 나노물질 등 첨단소재를 개발하는 영국계 글로벌 기업이다. 2014년도에 런던 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회사는 비행 시 낙뢰를 보호하기 위해 전도도를 600%까지 끌어올린 실리콘 섬유와 차량용 경량 소재의 개발을 에에어버스사 및 BAC와 협업 중이다. 내마모성 세라믹 블랭크, 열가소성 복합재료, 잉크 및 코팅 및 3D프린팅 부문을 위한 기능성 나노 강화 첨가제 등을 개발했다. 영국 정부 산하의 첨단추진시스템기술센터(APC)의 지원을 받아 친환경, 저탄소 자동차 소재 관련 R&D를 진행 중이다. 네오엔프라 관계자는 "세계 톱티어 그래핀 전문 기업인 헤이데일이 네오에프라를 파트너로 정한 것은 그래핀 선도기업인 것을 인정한 것"이라며 "네오엔프라의 다양한 소재제품군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kmk@fnnews.com 김민기 기자
2022-01-10 16:25:02【 울산=최수상 기자】 스마트폰 제작에 쓰이는 '고품질 흑연'이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에 의해 새로 개발했다. 배터리 전극이나 스마트폰의 방열판에는 '흑연'이 쓰이는데 흑연 품질이 높아지면 제품 성능도 좋아진다.UNIST는 6일 로드니 루오프 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사진)가 이끄는 연구팀이 단결정 그래핀(Graphene)을 사용한 열처리 공정으로 흑연 결정이 나란하게 정렬된 '고품질 흑연'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UNIST에 따르면 흑연을 포함한 대부분의 재료는 다결정 구조를 가진다. 루오프 교수는 "흑연의 수많은 응용 분야와 수요를 감안했을 때, 품질이 좋은 대면적 단결정 흑연 필름은 중요한 기술"이라며 "지금까지 작은 조각(Flake) 형태로 제조됐던 흑연을 대면적 필름 형태로, 더 나아가 단결정으로 합성하게 되면 산업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ulsan@fnnews.com
2019-02-06 18:28:11【울산=최수상 기자】 스마트폰 제작에 쓰이는 ‘고품질 흑연’이 UNIST 연구진에 의해 새로 개발했다. 배터리 전극이나 스마트폰의 방열판에는 ‘흑연’이 쓰이는 데 흑연 품질이 높아지면 제품 성능도 좋아진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6일 로드니 루오프(Rodney S. Ruoff) 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가 이끄는 연구팀이 단결정 그래핀(Graphene)을 사용한 열처리 공정으로 흑연 결정이 나란하게 정렬된 ‘고품질 흑연’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흑연을 포함한 대부분의 재료는 다결정 구조를 가진다. 재료를 이루는 결정 속 원자 배열이 다양하다는 뜻이다. 각각 다른 원자 배열을 가진 작은 결정들이 연결돼 하나의 물질을 이룬다고 생각하면 쉽다. 이런 다결정 재료는 결정들이 만나는 경계면에 결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물질 고유의 특성도 저하된다. 자연에서 발견되는 흑연은 물론 인공적으로 합성한 인조 흑연도 다결정 구조다. 아직까지 대면적 단결정 흑연을 만드는 기술은 개발되지 못했다. 현재 기술 수준은, 단결정에 가까운 ‘고배향성 열분해 흑연(Highly Oriented Pyoytic Graphite, HOPG)’가 연구 목적으로 중요하게 사용되는 수준이다. 하지만 HOPG도 고온.고압 조건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비가 비쌌다. 현재 대면적 단결정 흑연 합성은 굉장히 도전적인 과제다. 이번 연구는 이를 위한 선행기술로서의 의미도 가진다. 루오프 교수는 “흑연의 수많은 응용 분야와 수요를 감안했을 때, 품질이 좋은 대면적 단결정 흑연 필름은 중요한 기술”이라며 “지금까지 작은 조각(Flake) 형태로 제조됐던 흑연을 대면적 필름 형태로, 더 나아가 단결정으로 합성하게 되면 산업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 분야에서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인 머티리얼즈 호라이즌스(Materials Horizons) 게재됐다. 연구 수행은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2019-02-06 11:4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