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시흥=김경수 기자】 경기 시흥시는 기후위기 대응 우수 시책으로 선정돼 환경부장관상을 받았다고 25일 밝혔다. 시흥시는 전날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Vision 2035! 기후위기 대전환’ 포럼 본행사에서 ‘폐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을 주제로 발표해 우수 시책에 선정됐다. 지역 기반의 자원 순환 및 에너지 전환 노력이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된다. 시는 지역 특성에 맞는 실천적 기후 정책을 꾸준히 발전시켜 변화를 만들어 나간다는 방침이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지방정부의 기후 리더십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지금, 이번 수상은 더욱 뜻 깊다”라며 “기후위기 대응에는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앞으로도 지역 중심의 실천 정책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지방정부 공동선언문’이 발표됐다. 선언문 내용으로는 △지역 맞춤형 전환전략 수립ㆍ이행 △정의로운 전환 △기후복지와 포용적 거버넌스 실현 △기후 분권과 국제 연대 강화 등이다. 2ks@fnnews.com 김경수 기자
2025-07-25 10:57:16[파이낸셜뉴스] 산미술연구회(SARA회장 박용우)는 오는 29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부산시청 2층 제3전시실에서 'empathy & Justice - 지속가능한 기후환경을 정의하는 부산미술 2025'라는 주제로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기후환경 위기와 관련된 주제에 맞게 준비한 작품을 전시하는 이번 행사는 산미술연구회운영위원회가 주관하고 부산시와 부산문화재단이 후원한다. 이번에 전시되는 작품들은 기후환경 위기 극복을 위한 지속 가능한 관점에서 표현한 것들이다. 오는 30일 오후 4시 열리는 세미나에서는 산미술연구회 해외 정회원으로 도쿄에서 30여년 동안 환경예술가로 활동해 온 환경예술 전문가 ‘쇼코미키(三木祥子)’가 발표한다. 이번 세미나는 전세계적으로 확산하는 미술가의 눈으로 기후환경 위기를 해석하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어서 이날 오후 5시에는 나아가 음악을 통한 미술과 합일되는 예술의 진수를 연출하는 콘서트가 열린다. 이번 전시회 주제에 맞는 클래프 앙상블의 피아노3중주 연주를 시작으로 ‘부산 성악가 협회’ 소속으로 소프라노 정애린 성악가의 연주로 기후환경을 정의하는 주제와 맞는 2곡을 선정, 음악을 통한 울림으로 기후 환경의 위기의 경각심을 상기시켜 ‘글로벌아트 허브도시 부산’으로 인식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산미술연구회 전시회는 올해 제4회째를 맞아 강미령, 川口千奈美(Kawaguchi Chinami), 김옥, 김해연, 김현식, 노영설, 박동채, 박미정(Mijeong Field), 박명수, 박상미, 박시현, 박영숙, 박용우, 박이영그네, 예유근, 이세훈, 이열균, 이영주, 이인숙, 임현주, 정택금, 지경희, 진영섭, 최영아, 최장락, 홍수연, 허명화 국내 작가 27인과 미국1인 Jennifer Hereth, 독일2인 Regina Bode, Gwara Minsa, 루마니아1인 Simona Soare, 노르웨이1인 Hege Beate Stokmo, 일본5인 三木祥子(Shoko Miki), 阿部尊美(Takami Abe), 吉川信雄(Nobuo Yoshikawa), 奥田祥吾(Shogo Okuda), 山本伸樹(Nobuki Yamamoto),중국5 刘鸣谦(Liu MingQian),罗凯(LuoKai),李香琼(Li XiangQiong), 赵明(Zhao Ming), 马亮(Ma Liang) 해외작가 6개국의 15인으로 구성돼 평면100호에 부합하는 작품으로 SARA 42인의 다양한 신작을 선보이게 됐다. lich0929@fnnews.com 변옥환 기자
2025-06-22 09:41:08[파이낸셜뉴스] 조달청은 16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환경부와 '녹색 공공조달 활성화와 녹색 조달기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고 밝혔다. 협약은 공공구매력을 전략적으로 활용, 탄소중립 달성과 녹색 조달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부처 간 협업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환경부와 조달청은 △녹색제품의 공공시장 참여 확대를 위한 혜택(인센티브) 강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혁신수요 발굴 및 조달 연계 △녹색 조달기업 성장을 위한 부처 지원사업 및 홍보 지원 △공공조달 녹색전환과 녹색제품 구매 활성화 협력 △사용 후 배터리 탑재 제품을 비롯한 순환경제 공공조달 제품 발굴·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입찰 평가 때 녹색기술인증 평가 배점을 확대하고, 저탄소제품 및 환경표지인증, 환경부장관 표창 기업 등 환경유공 기업에 대해서도 새로 가점을 부여할 계획이다. 또한, 녹색기업의 판로지원을 위해 전시회 지원, 탄소중립 혁신제품의 시범구매와 해외 진출 지원도 추진된다. 이외에도 최소녹색기준제품을 확대하고 탄소성적표지 도입 검토, 공공조달의 녹색전환 체계 전환 연구 등 미래 대비 과제까지 전방위로 협력할 예정이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 녹색소비의 확대가 필요하다”라면서 “환경보전과 경제성장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도록 녹색제품 시장을 조성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전략조달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가 탄소중립과 기후대응”이라며, “이번 환경부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중소·벤처·혁신 기업이 탄소중립의 길로 성큼성큼 나아가는데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5-05-16 11:11:35[파이낸셜뉴스] 방송인 타일러 라쉬가 오는 27일 부산을 찾아 기후위기를 주제로 한 환경명사 초청 특강을 진행한다. 19일 부산환경공단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부산시청 1층 대강당에서 환경을 주제로 한 ‘열린 시민 환경아카데미’가 무료로 열린다. 이번 행사는 환경명사 초청 강연과 환경생태작가 작품 전시, 시민참여 환경이벤트를 비롯한 여러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먼저 환경명사 강연은 총 2부로 나눠 열린다. 오후 2시 진행되는 1부 강연에는 KNN 진재운 기획특집국장이 나서 ‘영화, 기후위기 그리고 생각의 오염’을 주제로 마이크를 잡는다. 진 국장은 현재 ‘하나뿐인 지구영상제’의 영화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는 인물이다. 이어 오후 3시부터 방송인이자 베스트셀러 ‘두 번째 지구는 없다’ 저자 타일러 라쉬가 강연에 나선다. 그는 ‘기후위기, 내 삶·내 사람의 위기’를 주제로 부산시민과 소통할 예정이다. 이날 행사장 앞 로비에는 심승보 환경생태작가가 참여한 환경작품 전시가 상시로 열린다. 이는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현 상황을 작품으로 표현해 기후위기에 대한 경종을 울린다. 한편 이번 행사는 부산시가 주최하고 부산시환경교육센터가 주관하는 행사로 시민 누구나 무료로 참석할 수 있다. lich0929@fnnews.com 변옥환 기자
2024-11-19 11:48:24기후위기론을 부정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글로벌 기후 변화 대응에도 상당한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가 또다시 파리협정에서 탈퇴할 것임을 공언한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란 전망이다. 그러나 이미 탄소중립으로 간다는 것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기 때문에 이를 막을 순 없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7일 외신 등에 따르면 오는 11~22일 아제르바이잔에서 열리는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9)에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물론 미국, 중국, 브라질 등의 지도자들이 불참을 예고했다. 트럼프의 재집권이 확정됨과 동시에 이번 총회에서 합의를 도출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예측이 나오는 이유다. 올해 주요 의제로는 개발도상국의 녹색 에너지시스템 구축과 온난화 적응을 돕기 위한 새 기후금융 목표를 합의할 예정이었다. 우리 정부는 8일 COP29 참석을 위해 출국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트럼프가 재집권하는 것은 이미 예상됐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미 대선 결과를 놓고 큰 동요는 없다"면서 "그동안 바이든이 리더십을 발휘해 이끌어왔다면 이제 미국이 빠진 자리에서 EU와 중국이 리더십 경쟁을 하게 될 것이란 전망만 주로 이야기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다만 올해 중요한 이슈인 재원 마련 등에 있어 미국이 안 내게 되면 기존 목표 대비 약화될 수는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트럼프는 기후위기론을 부정하고, 재생에너지를 폄하하며 화석에너지의 무제한 생산을 옹호하는 입장이다. 특히 앞선 집권 시절에는 195개국이 기후변화 속도를 늦추기 위해 협력하기로 한 파리협정에서도 탈퇴한 바 있다. 이번 선거 기간에도 재집권 시 다시 파리협정에서 탈퇴할 것임을 공언했다. 미국이 재탈퇴할 경우 다른 국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흐름을 막진 못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미국은 재생에너지를 비롯한 친환경 산업 기틀이 많이 만들어져 있어서, 앞서 기후협정 등에서 탈퇴했을 때도 정부 대신 산업계가 당사국 총회에 참석하는 등 자발적인 이니셔티브를 만들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에 트럼프는 탄소중립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 전략보다는 탄소중립과 관련된 정부의 지원을 중단하고 모든 것이 철저히 시장에서 결정되도록 하는 우회적 전략을 쓸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트럼프 노믹스 2.0과 한국 경제'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는 이전 바이든 행정부의 탄소중립 관련 지원 정책에 대해 단계적으로 그 규모를 축소 또는 폐지하는 프로세스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aber@fnnews.com 박지영 기자
2024-11-07 18:26:39[파이낸셜뉴스] "기후위기나 사회 영향을 환경부가 주도해나가는 컨트롤타워가 돼야 한다.”김완섭 신임 환경부 장관은 2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6동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1대 환경부 장관 취임식’에서 “일상화된 기후위기 속에서 국민이 환경부에 거는 기대와 관심이 갈수록 커지고 환경부의 역할과 책임 역시 막중해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환경부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 조성이라는 본연의 목표를 확고히 지키는 것은 물론, 사회·경제의 다양한 가치를 균형 있게 조율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신임 장관은 환경정책 목표를 완수하기 위해 ‘배우는 자세’와 ‘기후위기 시대에 컨트롤타워로서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유연하고 수평적 조직문화’, ‘활발한 안팎 소통’을 바탕으로 국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들겠다고 취임 포부를 밝혔다. 그는 이어 환경부가 앞으로 중점을 둬야 할 3대 환경정책 방향으로 ▷안전한 환경 조성 ▷탄소중립 이행으로 성장동력 창출 ▷흔들림 없는 환경가치를 제시했다. 김 장관은 수평적 의사결정과 외부와의 소통을 강조하면서 “환경가치를 높이고 국민의 삶이 보다 나아지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함께 만들자”며 “직원들이 일하는 보람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모든 것을 쏟아붓겠다”고 다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2024-07-26 13:45:20국내 대표 건강기능식품 ODM기업 콜마비앤에이치(대표이사 윤여원)가 기후 및 환경 위기 해결 동참을 위해 환경경영을 강화한다고 19일 밝혔다. 콜마비앤에이치는 2025년 연질네트의 순환자원 인정과 세종2공장의 폐알코올 자체 처리를 달성하는 목표를 세우고 에너지 사용량 감축 및 재생에너지 사용, 친환경 제품/서비스 개발, 수자원 관리 및 지역 생태계 보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환경경영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을 통해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하는 한국형 ‘K-RE 100’에 가입해 글로벌 RE100 캠페인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바 있으며, 세종공장에 지붕형 태양광을 설치해 2024년에는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10%까지 늘릴 계획이다. 아울러, 생산되는 제품의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을 통해 재활용성을 높이고 있다. 헤일리온 한국법인과 협력해 올 초부터 판매된 센트룸 6종 제품의 용기와 뚜껑을 모두 재생 플라스틱 소재인 PCR로 변경하며 연간 약 41톤의 플라스틱 감축을 기대하고 있다. 콜마비앤에이치 관계자는 “향후 원자재 수급부터 제품의 포장, 유통 등 공급망 전 과정에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보다 지속가능한 제품 개발에 앞장설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콜마비앤에이치는 건강기능식품 ODM업계 최초 녹색기술인증-녹색제품확인-녹색기업확인, 녹색인증 3관왕을 획득했으며, 23년 자원순환 선도기업 대상에서 환경부장관 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콜마비앤에이치의 환경경영 관련 보다 자세한 사항은 콜마비앤에이치 홈페이지의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24-06-19 13:13:31"예술의 감동과 힘을 통해 환경에 대한 깊은 성찰을 이끌어내고 싶었다. 단순히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우리 모두가 직면한 기후 위기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촉구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조세현 중구문화재단 사장은 18일 오후 서울 충무아트센터 열린 '갤러리 신당' 개관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기후환경'이라는 주제로 첫 기획전을 여는 소감에 대해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충무아트센터 갤러리 신당에서는 이날부터 오는 9월 8일까지 ‘CCPP 기후환경 사진 프로젝트-컨페션 투 디 어스(Confession to the Earth)’를 개최한다. 기존 248㎡에서 992㎡으로 확장된 갤러리 신당의 개관을 기념하는 첫 전시회다. 이번 전시는 배우 이병헌이 오디오 도슨트 참여로 더욱 화제를 모았다. 전시 작품 중 총 16여점에 달하는 대표 작품의 설명을 이병헌의 목소리로 들을 수 있다. 프로젝트 명칭인 CCPP는 'Climate Change Photo Project'의 약자다. 세계적인 기후 위기의 심각성에 공감하며 사진을 매개로 환경 변화에 직면한 인류에게 공감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CCPP는 조직위원장인 조세현 중구문화재단 사장을 필두로 '2023 부산국제사진제'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석재현 예술감독이 총괄을 맡는다.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최재천 생명다양성재단 대표, 홍정욱 올가니카 회장, 이미경 환경재단 대표,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 송길영 작가를 조직 위원으로 위촉했다. 석재현 예술감독은 "기후 환경에 대한 전 세계인의 관심이 말할 수 없이 중요한 상황"이라며 "공공기관으로서 이렇게 의미 있는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돼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컨페션 투 디 어스’는 지구에 대한 고백이라는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시한부 인생을 사는 우리별 지구를 돌아보고자 한국, 독일, 미국, 영국 사진가 5명이 함께한다. 잉마르 비욘 놀팅, 이대성, 맨디 바커, 닉 브랜트, 톰 헤겐이 평생 살던 보금자리를 잃은 사람들과 장기 구호가 필요한 동물들, 플라스틱으로 오염된 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개발을 멈추지 않은 인간의 탐욕을 각자의 시선으로 담아냈다. 갤러리 신당의 관람 동선 순으로 먼저, 마이클 잭슨 뮤직비디오의 감독이자 오랜 시간 사진 작업을 이어온 닉 브랜트의 작품이 전시된다. 그는 몰입감을 높이는 영화 같은 연출로 인간과 동물의 모습을 극적이고 압도적으로 표현해내는 작가다. 동일한 시간과 장소에서 촬영된 하나의 프레임은 지치고 무기력해 보이는 인간과 동물의 모습을 보여주며 지구에 닥친 위협적인 변화를 경고한다. 이어 섬뜩한 아름다움을 지닌 해양 플라스틱 사진으로 유명한 맨디 바커의 작품이 소개된다. 14년차 환경운동가이자 국제사진전 수상 경력을 지닌 그녀는 그린피스 과학자들과 협력해 해양 오염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인간의 행동을 촉구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바닷속 플라스틱 오염의 현실을 담은 작품 시리즈를 선보인다. 인터내셔널 포토그래피 어워드, 라이카 오스카 바르낙 어워드 등 국제적인 사진상을 수상하며 독일을 기반으로 활발히 활동 중인 톰 헤겐의 작품도 펼쳐진다. 지구 표면에 남겨진 인간의 다양한 흔적과 인류의 거대한 욕망이 개입한 항공사진의 기록은 현실이 아닌 듯한 추상적 아름다움으로 우리를 사로잡지만 결국 극도의 죄책감에 빠져들게 한다. 독일 프리랜서 사진작가로 활동하는 잉마르 비욘 놀팅의 다큐멘터리 사진도 소개된다. 그는 단순히 시대를 기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문제를 제기하며 세상을 변화시킨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늘어난 석탄 채굴에 반대하는 환경운동가와 경찰의 계속되는 충돌, 지구 기온 상승 저지선 1.5˚도를 지키기 위한 공간, 그 치열한 낮과 밤이 생생하게 펼쳐진다.유명 패션 브랜드 ‘생로랑 프로젝트’에서 한국 대표 작가로 참여해 주목을 받은 한국 사진가 이대성의 작품도 만나볼 수 있다. 그는 최대 규모의 사진 대회인 ‘소니 월드 포토그라피 어워드’에서 한국인 최초로 두 번 연속 수상한 작가다. 이번 전시에서는 변해버린 지역과 인간을 사진 한 장에 담아 아름다운 풍경에 숨겨진 비극적인 상황을 나타낸 작품 시리즈를 공개한다. 석재현 예술감독은 "세계적인 기후 위기 심각성을 알리고 공감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마련된 이번 전시는 현재의 지구를 자세히 들여다보는 안타깝고 치열한 고백"이라며 "오늘의 작은 고백이 푸른별 지구에서 다시 살아가기 위한 커다란 희망의 고백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
2024-04-18 15:35:14[파이낸셜뉴스] 롯데칠성음료가 해양경찰청, 환경재단과 함께 기후 위기 극복 및 맑고 깨끗한 바다 조성을 위한 ESG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협약식은 지난 27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롯데칠성음료 나한채 음료영업본부장, 해양경찰청 오상권 차장, 이미경 환경재단 대표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롯데칠성음료는 협약식을 시작으로 다음달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바다를 부탁해 칠성사이다!' 캠페인을 진행한다. 전국 392개 소매점에서 '칠성사이다', '칠성사이다 제로', '칠성사이다 제로 그린플럼'을 판매하고 ESG 사회 공헌 매대를 운영한다. 소비자는 사회 공헌 매대 행사 제품을 구매한 후 제품 넥택의 QR코드에 접속해 기부 펀딩에 참여할 수 있다. 조성된 기부금은 충청남도 태안 지역에 탄소흡수원인 '잘피'를 이식하는 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다. 롯데칠성음료는 캠페인 참여 건당 5000원을 적립해 누적 금액을 해양경찰청과 환경재단에 기부할 계획이다. 행사에 응모한 소비자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업사이클링 보냉백, 칠성사이다 제로 모바일 교환권을 증정하는 행사도 진행한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소비자와 소매점 점주가 동참하는 참여형 캠페인을 통해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맑고 깨끗한 바다를 만드는 활동에 앞장설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리 사회를 이롭게 하는 ESG 경영 실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2024-03-28 09:48:39[파이낸셜뉴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이 기후위기 시대에 전세계에서 활동할 '국제환경전문가' 양성에 적극 지원하고 있다. 올해로 16번째를 맞는 '국제환경전문가 양성과정(Global Environmental Leaders Program, 이하 GELP)'이 그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청년들은 유엔환경계획(UNEP), 유엔개발계획(UNDP), 국제 녹색성장기구(GGGI) 등 67개 환경 분야 국제기구에서 인턴 경험을 쌓고 있으며, 이는 국제기구 내 한국인 환경전문가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국제기구 취업 디딤돌 'GELP' 12일 환경부와 환경공단에 따르면 오는 '2024년 GELP'교육생을 내년 1월 2일까지 모집한다. 교육 대상자는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대학교 4학년과 대학원생(석·박사), 대학 및 대학원 졸업 후 1년 이내인 자(2024년 1월 2일 기준)이며, 서류와 영어 면접 등의 심사를 거쳐 총 45명을 교육생으로 선발한다. 환경관련 전문교육을 국내 교육기관에서 이수한 수료생에게는 유엔 등 국제기구에서 인턴으로 근무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이 과정은 국제 환경협력 수요에 대응하고 우리나라 우수 인재들의 국제기구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09년부터 시작됐다. 이후 매년 파견기구가 늘어나면서 이 과정은 국내 환경 분야 인재들의 국제기구 취업 등 녹색 일자리 창출에 디딤돌 역할을 했다. 지난해 말까지 총 659명이 동 과정을 수료했고, 이중 375명이 환경 관련 국제기구에 파견된 바 있다. 올해에는 40명의 수료생 중 27명이 국제기구에 파견됐다. 올해 과정을 수료한 조얼 씨(35세)는 "대부분 UN 국제기구 인턴십은 석사학위를 갖춰야하지만 GELP를 통해선 학사학위자도 근무 기회를 누릴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라며 "저의 경우 해외파견으로 선발돼 한국-스웨덴 왕복항공료와 6개월간의 일정 체제비 및 보험료까지 지원받을수 있었던 점이 경제적부담을 덜수 있던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국제기구 파견 위한 교육·지원금 제공 내년도 과정으로 선발하는 교육생은 4주에 걸쳐 총 100시간 동안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환경통상 등 국내·외 환경정책과 국제기구 근무에 필요한 각종 실무과정으로 구성된 전문교육을 받는다. 이 동 과정을 수료하면 국내·외 환경 관련 국제기구에서 최대 6개월 동안 인턴으로 근무하는 기회가 주어진다. 올해 해외 파견 예정자는 총 25명이다. 환경공단은 해외 소재 국제기구 파견자에게 왕복항공료, 보험료 및 최대 월 140만원의 체재비를 지원하며, 국내 소재 국제기구는 월 90만원을 각각 지원할 예정이다. 다수의 국제기구에서 인턴을 무급으로 채용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재정적인 부담으로 인턴 근무를 지원하지 못했던 청년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4년 GELP' 지원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 누리집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원서는 2024년 1월 2일 오후 5시까지 한국환경공단 국제협력부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안병옥 환경공단 “GELP는 국내 우수 인재들의 국제기구 취업 등 청년 해외 진출의 가교 역할을 수행해 왔다"며 “공단은 국제환경 협력 수요 대응을 위해 계속해서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2023-12-12 13:2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