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간은 2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악기다. 장대한 시간을 품은 울림 안에 수 세기 역사와 인간의 기도가 담겨 있다." 박소현 한국오르가니스트협회 이사장(이화여대 건반악기과 교수·사진)은 오는 21일과 23~24일 열리는 '제41회 전국 오르가니스트대회'를 앞두고, 파이프 오르간의 의미와 이번 대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84년 창립된 한국오르가니스트협회는 올해로 41주년을 맞는다. 매년 해외 저명 오르가니스트를 초청해 독주회와 마스터클래스를 개최하고, 인재 발굴을 위한 콩쿠르를 여는 등 한국 오르간 연주의 수준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 올해는 독일 데트몰트 국립음대의 마티아스 노이만 교수를 초청했다. 노이만 교수는 바흐 콩쿠르 입상자 출신 북독일 오르간 음악 전문가다. 박 이사장은 19일 "오르간은 각각 고유한 구조와 소리를 갖고 있다"며 "바로크 시대 음악·악기에 정통한 노이만 교수는 오르간 연주법과 음색 조정에 대한 깊은 통찰을 지녔다. 노이만 교수의 풍부한 지식과 경험은 한국 오르간 전공자와 음악 애호가 모두에게 큰 영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회는 오는 21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에서 열리는 마스터 클래스를 시작으로, 23~24일 중구 남대문교회에서 특강과 연주회로 이어진다. 23일에는 '북독일 오르간 악파'에 대한 노이만 교수의 특강과 함께 올해 8회째를 맞은 협회 콩쿠르 입상자 연주회가 열린다. 24일에는 양하영 교수의 '서양음악사 속 오르간 이야기', 최혜진 교수의 '오르가니스트로서의 슈바이처 박사' 등 의미있는 강의와 함께 노이만 교수의 오르간 독주회가 예정돼 있다. 특히 박 이사장은 "많은 사람들이 슈바이처를 의사나 인도주의자로 기억하지만, 그는 동시에 바흐 음악을 깊이 연구하고, 오르간 개혁운동을 주도한 위대한 오르가니스트였다"며 "올해는 슈바이처 박사의 탄생 150주년이다. 그의 예배음악 정신과 오르간 개혁 운동을 조명할 특강도 주목해달라"고 덧붙였다. 또 협회는 부산콘서트홀과 '2025 파이프오르간 마스터 클래스'를 공동 주최한다. 20일 개관하는 이곳은 비수도권 유일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된 공연장으로 정명훈 지휘자가 총괄 예술감독을 맡아 클래식계의 관심이 뜨겁다. 오는 7월 11일 열리는 마스터 클래스에서는 독일 명장 오르가니스트 크리스티안 슈미트의 1대 1 레슨과 함께 오르간 제작자인 틸만 슈패트의 해설 특강, 부산콘서트홀 오르간 연습 기회, 연주회 관람 등이 포함된 실속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박 이사장은 "전공자라면 부산콘서트홀의 웅장한 파이프 오르간을 직접 연주해볼 드문 기회"라며 "일반인은 단 2만원에 마스터클래스를 청강하고, 슈미트 교수의 연주회도 감상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오르간은 건반악기의 시초로, 기원전 3세기부터 존재한 악기이며 예배음악의 중심에 있었다"며 "기도와 찬양의 소리를 가장 깊고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는 악기가 바로 오르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독일에는 아직도 바흐가 연주했던 오르간이 남아있고, 그 앞에 서면 시간의 흐름이 멈춘 듯한 감동을 느낀다"며 "오르간은 공간과 시간을 초월해 사람의 마음을 울리는 악기"라고 덧붙였다. 한국오르가니스트협회는 국내 최초로 오르가니스트 중심으로 조직된 단체로, 그동안 한국 오르간 음악의 발전을 위해 꾸준히 힘써 왔다. 연장선상에서 박 이사장은 오는 8월 31일 인천 엘림아트센터에서 슈바이처를 기리는 독주회를 연다. 박 이사장은 "오르간이라는 악기가 지닌 역사적·예배적 가치, 그리고 이를 지켜온 수많은 연주자들의 열정을 기억하고, 함께 그 가치가 이어지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강조했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2025-06-19 18:38:48[파이낸셜뉴스] "오르간은 2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악기다. 장대한 시간을 품은 울림 안에 수 세기 역사와 인간의 기도가 담겨 있다." 박소현 한국오르가니스트협회 이사장(이화여대 건반악기과 교수)은 오는 21일과 23~24일 열리는 '제41회 전국 오르가니스트대회'를 앞두고, 파이프 오르간의 의미와 이번 대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84년 창립된 한국오르가니스트협회는 올해로 41주년을 맞는다. 매년 해외 저명 오르가니스트를 초청해 독주회와 마스터클래스를 개최하고, 인재 발굴을 위한 콩쿠르를 여는 등 한국 오르간 연주의 수준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 올해는 독일 데트몰트 국립음대의 마티아스 노이만 교수를 초청했다. 노이만 교수는 바흐 콩쿠르 입상자 출신 북독일 오르간 음악 전문가다. 박 이사장은 19일 "오르간은 각각 고유한 구조와 소리를 갖고 있다"며 "바로크 시대 음악·악기에 정통한 노이만 교수는 오르간 연주법과 음색 조정에 대한 깊은 통찰을 지녔다. 노이만 교수의 풍부한 지식과 경험은 한국 오르간 전공자와 음악 애호가 모두에게 큰 영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회는 오는 21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에서 열리는 마스터 클래스를 시작으로, 23~24일 중구 남대문교회에서 특강과 연주회로 이어진다. 23일에는 '북독일 오르간 악파'에 대한 노이만 교수의 특강과 함께 올해 8회째를 맞은 협회 콩쿠르 입상자 연주회가 열린다. 24일에는 양하영 교수의 '서양음악사 속 오르간 이야기', 최혜진 교수의 '오르가니스트로서의 슈바이처 박사' 등 의미있는 강의와 함께 노이만 교수의 오르간 독주회가 예정돼 있다. 특히 박 이사장은 "많은 사람들이 슈바이처를 의사나 인도주의자로 기억하지만, 그는 동시에 바흐 음악을 깊이 연구하고, 오르간 개혁운동을 주도한 위대한 오르가니스트였다"며 "올해는 슈바이처 박사의 탄생 150주년이다. 그의 예배음악 정신과 오르간 개혁 운동을 조명할 특강도 주목해달라"고 덧붙였다. 또 협회는 부산콘서트홀과 '2025 파이프오르간 마스터 클래스'를 공동 주최한다. 20일 개관하는 이곳은 비수도권 유일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된 공연장으로 정명훈 지휘자가 총괄 예술감독을 맡아 클래식계의 관심이 뜨겁다. 오는 7월 11일 열리는 마스터 클래스에서는 독일 명장 오르가니스트 크리스티안 슈미트의 1대 1 레슨과 함께 오르간 제작자인 틸만 슈패트의 해설 특강, 부산콘서트홀 오르간 연습 기회, 연주회 관람 등이 포함된 실속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박 이사장은 "전공자라면 부산콘서트홀의 웅장한 파이프 오르간을 직접 연주해볼 드문 기회"라며 "일반인은 단 2만원에 마스터클래스를 청강하고, 슈미트 교수의 연주회도 감상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오르가니스트협회가 이같은 실속 프로그램을 마련한 데는 클래식 음악계 전반의 어려움과 관련이 있다. 특히 오르간 분야는 갈수록 인지도가 높아지는데 반해 전공자 수가 줄고, 교회 내 오르가니스트의 역할도 축소되는 추세다. 박 이사장은 "클래식계 스타 음악가의 출현으로 클래식계가 호황인 것처럼 보이나, 정작 클래식 전공자 수는 줄고 있다"며 "오르간 분야 역시 설자리가 좁아지고 있어 순수예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특히 오르간은 단순한 악기를 넘어서는 의미를 지닌다. 그는 "오르간은 건반악기의 시초로, 기원전 3세기부터 존재한 악기이며 예배음악의 중심에 있었다"며 "기도와 찬양의 소리를 가장 깊고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는 악기가 바로 오르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독일에는 아직도 바흐가 연주했던 오르간이 남아있고, 그 앞에 서면 시간의 흐름이 멈춘 듯한 감동을 느낀다"며 "오르간은 공간과 시간을 초월해 사람의 마음을 울리는 악기"라고 덧붙였다. 한국오르가니스트협회는 국내 최초로 오르가니스트 중심으로 조직된 단체로, 그동안 한국 오르간 음악의 발전을 위해 꾸준히 힘써 왔다. 연장선상에서 박 이사장은 오는 8월 31일 인천 엘림아트센터에서 슈바이처를 기리는 독주회를 연다. 박 이사장은 "오르간이라는 악기가 지닌 역사적·예배적 가치, 그리고 이를 지켜온 수많은 연주자들의 열정을 기억하고, 함께 그 가치가 이어지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강조했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2025-06-19 08:21:29[파이낸셜뉴스] 창립 41주년을 맞은 한국오르가니스트협회가 오는 21일과 23~24일 ‘제41회 전국 오르가니스트 대회’를 개최한다. 협회의 연례행사로 마스터클래스, 세미나, 연주회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올해는 독일 데트몰트 국립음악대학의 마티아스 노이만 교수를 초청해 마스터클래스와 연주회를 연다. 노이만 교수는 바흐 콩쿨 입상자로 북독일 오르간 음악의 전문가다. 먼저 오는 21일 노이만 교수가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마스터클래스를 진행한다. 이어 23일 중구 남대문교회에서 ‘북독일 오르간 악파’에 대한 특강을 한다. 이날 협회가 격년마다 개최하는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콩쿠르 입상자 연주회도 열린다. 20일 결선을 통해 고등부와 일반부 대상 우승자가 가려질 예정이다. 최종 심사에는 노이만 교수도 함께한다. 마지막 날인 24일에는 남대문교회에서 전주 기전대 양하영 교수가 ‘서양음악사 속 오르간 이야기’에 대해 강의한다. 이어 전 미국 하딘-시몬스대학 최혜진 교수가 슈바이처 탄생 150주년을 맞아 ‘오르가니스트로서의 슈바이처 박사’를 조명한다. 그리고 노이만 교수의 파이프 오르간 연주회로 대회의 대미를 장식한다. 바흐·바로크음악 전문 노르만 교수 특강 및 독주회 "소중한 기회" 오르간은 2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악기이며, 수세기 동안 기독교 예배 음악의 중심에 있었다. 최초의 건반악기면서 파이프나 리드를 진동체로 하는 기명악기다. 두손뿐만 아니라 두발로 발밑에 설치된 건반을 자유자재로 연주하고 스톱이란 장치를 이용해 천만가지 소리를 조율한다. 협회 18대 이사장인 박소현 이화여대 건반악기과 교수는 16일 파이낸셜뉴스와 만나 “북독일은 바로크시대 황금기를 맞은 오르간 음악의 중심지였다”며 “바흐가 북독일 음악가인 북스테후데를 만나기 위해, 또 연주를 듣기 위해 400여 km를 걸어서 뤼벡을 방문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고 말했다. 뤼벡은 북독일 대표 중심 도시 중 한 곳이다. 그는 "당시 뛰어난 오르간 연주자와 작곡가가 배출됐다. 그때 제작된 수백년 된 악기가 아직도 남아있다”며 노이만 교수를 초청힌 배경을 설명했다. “오르간은 특별한 전문 지식이 요구되는 악기다. 바로크 악기를 많이 접한 노이만 교수가 자신의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나눌 예정이다. 악기 특성에 따른 연주법과 음색 조정법을 배우고, 북독일 오르간 음악에 대해 공부하는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는 또 알베르트 슈바이처 박사의 탄생 150주년이자 서거 60주년이 되는 해다. 그는 “많은 분들이 슈바이처를 의사나 인도주의자로 기억하지만, 그는 동시에 바흐 음악을 깊이 연구하고, 오르간 개혁운동을 주도한 위대한 오르가니스트였다”며 '오르가니스트로서의 슈바이처 박사' 특강에도 관심을 당부했다. 박 교수는 연주자로서 오는 8월31일 인천 서구 엘림아트센터에서 독주회도 연다. 그는 “슈바이처가 오르간을 연주하던 모습, 교회로 연습하러 가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을 보면 늘 마음이 뜨거워진다”며 “오르간이라는 악기가 지닌 역사적·예배적 가치, 그리고 이를 지켜온 수많은 연주자들의 열정을 기억하고, 그 가치가 이어지길 진심으로 바란다"며 오르간 음악과 협회 활동에 관심을 당부했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2025-06-18 10:4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