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 옹진군은 덕적도 자연휴양림이 다음달 1일 개장식을 앞두고 오는 26일 오전 9시부터 예약을 접수한다고 24일 밝혔다. 시설 이용은 다음달 4일부터다. 덕적도 자연휴양림의 시설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숙박시설은 산림휴양관 38.5㎡(12평형) 4개실, 숲속의집 57㎡(17평형) 1개실, 52㎡(16평형) 2개실, 93㎡(28평형) 2개실, 야영시설로는 20.5㎡(6평형) 크기의 야영데크 6개소가 마련되어 있다. 덕적도 자연휴양림은 옹진군 덕적면 덕적남로 220에 위치해 있으며, 푸른 바다의 밧지름 해변, 우뚝 솟은 비조봉, 울창한 소나무들이 어우러진 산림휴양시설로 천혜의 자연 속에서 휴식과 힐링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올해 1월 1일부터 시행된 인천시민에게 1500원의 시내버스 요금으로 여객선을 이용할 수 있게 해 덕적도를 보다 저렴하게 방문할 수 있다. 덕적도 자연휴양림 예약 및 이용에 관한 사항은 산림청 통합예약시스템인 '숲나들e' 누리집을 참고하거나 옹진군 산림녹지과 자연휴양림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2025-02-24 12:32:59【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 최초의 국립 자연휴양림인 무의도자연휴양림이 무의도 하나개해수욕장 바로 앞에 문을 열었다. 인천시는 지역 내 최초의 국립자연휴양림인 국립 무의도자연휴양림의 개장식을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무의도자연휴양림은 축구장 약 137개 규모(137ha)로 조성됐으며 숲속의 집 11동과 연립 2동(8실) 등 총 19개의 객실과 산책로(2㎞), 안내센터, 목공예 체험장 등을 갖추고 있다. 총 134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무의도 하나개해수욕장과는 바로 인접해 있어 서해 바다가 한눈에 들어 오는 경관을 자랑한다. 2019년 개통된 무의대교를 이용하면 배편을 이용하지 않고도 도착할 수 있어 지리적 접근성도 뛰어나다. 무의도는 섬의 모양이 장수가 관복을 입고 춤을 추는 것 같이 생겼다고 해 붙여졌다는 전설과 선녀가 하늘에서 내려와 춤을 췄다해 유래했다는 이야기가 내려져 오는 섬이다. 선녀를 춤추게 할 만큼 빼어난 조망 뿐 아니라 우수한 산림자원의 등산 코스가 잘 정비돼 있는 호룡곡산·국사봉과 하나개해수욕장, 큰무리해수욕장, 실미도 유원지 등이 가까이에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한편 인천에는 내년 12월 마무리를 목표로 조성 중인 옹진군 덕적도 자연휴양림 등 8개 자연휴양림이 있다. 안영규 시 행정부시장은 “무의도 자연휴양림은 서해가 품은 아름다운 바다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천혜의 경관을 가지고 있는 등 우수한 지리적 여건을 갖추고 있어 수도권 최고의 휴양명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2022-07-12 11:32:59【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 강화도와 무의도, 덕적도에 내년까지 각각 산림휴양시설이 조성된다. 인천시는 오는 6월 강화도 화개지방정원, 무의도 국립자연휴양림을 조성하고 내년 말까지 덕적도 자연휴양림을 조성해 개방한다고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인천지역 산림휴양림은 기 조성된 석모도 휴양림, 인천수목원(인천대공원), 석모도 수목원, 숲속의 향기(강화도)를 비롯 모두 7곳으로 늘어나게 된다. 화개지방정원은 2019년부터 강화군 교동면에 조성하기 시작한 인천시 제1호 공립정원으로 면적 11ha, 사업비 90억원 규모로 오는 6월 준공 예정이다. 물의정원, 역사문화정원, 추억의정원, 평화의 정원, 치유의 정원 등 5개의 주제정원으로 구성돼 조성 중이며 다양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덕적도 자연휴양림은 옹진군 덕적면에 면적 12ha, 사업비 60억원 규모로 2019년부터 시작해 산림휴양관, 숲속의집, 숲속야영장, 다양한 편의시설 등이 조성된다. 내년 12월에 준공 계획이다. 덕적도 자연휴양림은 석모도 휴양림에 이어 두번째 공립 휴양림으로 조성된다. 덕적도의 수려한 바다조망경관과 더불어 산림휴양의 잇점도 같이 누릴 수 있다. 무의도에는 국립 자연휴양림이 조성 중에 있다. 면적 139ha에 사업비 86억원으로 오는 6월 준공, 하반기에 개장한다. 무의도 국립자연휴양림은 뛰어난 주변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20실의 숙박시설을 갖추고 있다. 시는 산림휴양시설에 다양한 휴양활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시민 만족도 높은 산림휴양시설들을 확충해 나갈 방침이다. 박세철 시 녹지정책과장은 “인천시는 도시와 농촌, 바다와 산을 함께 누릴 수 있는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어 누구나 숲과 바다에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산림휴양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2022-03-27 12:16:08인천 강화군 석모도가 친환경 청정에너지 섬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인천시는 강화군 삼산면 석모도에 도서지역 친환경 에너지자립 섬 조성사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석모도는 지난 10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공모한 ‘2016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강화군 삼산면(석모도)은 관광객 유치의 최적지로서 지난해에만 100만 명의 관광객이 다녀갔다. 휴양림, 수목원, 사찰, 온천수, 해수욕장, 갯벌, 등산코스 등 자연의 보고이자 천혜의 섬이다. 시는 강화군과 함께 석모도에 총 사업비 13억원을 투입해 태양광 136㎾와 지열 516.3㎾ 등의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생산된 에너지는 자연 휴양림 2개소, 수목원, 보건지소 및 온천체험관 등에 공급하게 된다. 특히 현재 공사 중인 삼산 연륙교가 2017년 8월 준공돼 개통되면 석모도를 찾는 관광객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이번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사업을 강화군에서 추진 중인 온천체험 및 헬스케어 사업 등과 연계해 에너지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는 것은 물론 즐거움과 힐링의 체험을 만끽할 수 있는 복합 관광지로 변모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번 사업의 특징은 덕적도 에코아일랜드 조성사업, 백아도 탄소제로 섬 구축사업 등 그동안 추진해 오던 일반 도서지역의 독립형 디젤 발전방식과 달리 육상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도서지역에 신재생에너지 공급 사업을 추진한다는 점이다. 이 사업을 통해 에너지비용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관광지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는 석모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사업과 병행해 주택 태양광 설치사업, 태양광 발전사업 등 주민 참여형 지원 사업도 석모도에 우선 반영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석모도 내 화석에너지원의 50% 이상을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대체해 친환경 에너지 청정 섬 조성과 함께 관광활성화 인프라 시설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2015-11-04 08:5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