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넷플릭스가 ‘오징어게임 시즌 3’ 흥행에 힘입어 지난달에도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월간활성이용자수(MAU) 1위를 기록했다. 4일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넷플릭스의 6월 MAU는 1449만9273명에 달했다. 넷플릭스는 지난달 중순께 한 때 일간활성이용자수(DAU)가 300만명에 못 미쳤다. 하지만 '오징어게임 시즌 3'가 공개된 같은 달 27일 DAU가 414만2663명으로 급증했고 이튿날인 28일에도 412만6065명을 기록하면서 그 빈틈을 채워줬다. 이는 지난해 연말 오징어게임 시즌 2 공개 직후 이틀간 DAU(412만8302명, 372만8758명)보다 높은 수치이며, 오징어게임 시즌 3를 뛰어넘은 작품은 '더 글로리 파트 2'(524만3642명, 539만5064명)가 유일하다. 넷플릭스 공식 사이트 ‘투둠(TUDUM)’에 따르면 지난달 23~29일 오징어게임3은 약 6000만회의 시청 수를 보이며 비영어권 TV쇼 부문 1위를 차지했다. 국가별로는 미국과 일본, 아르헨티나 등 대륙을 가리지 않고 전 세계 93개국에서 1위를 질주했다. 지난달 20일 개봉한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역시 전 세계적 인기를 끌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DAU에 큰 영향을 주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티빙은 꾸준한 MAU 상승세를 드러냈다. 티빙의 6월 MAU는 728만3168명으로, 전달 대비 12만 4368명(1.7%) 증가하면서 3위 쿠팡플레이와의 격차를 벌렸다. 두 회사의 MAU 차이는 5월 7764명에서 지난달 32만6456명으로 벌어졌다. 티빙 관계자는 “야구가 시즌 중반에 접어들며 인기가 고조돼 티빙 야구 중계에 시청자가 많이 몰렸다”며 “오리지널 콘텐츠와 tvN 드라마 시청률도 매우 좋은 편이고 지난달 2일부터 시작한 ‘배달의민족’과의 통합 멤버십 상품도 호응을 얻었다”고 밝혔다. 실제로 드라마 ‘미지의 서울’ 마지막 두 회차가 방송된 지난달 28일과 29일 티빙의 DAU는 각각 약 219만명과 197만명에 달했다. 미지의 서울 최종회 시청률은 전국 가구 평균 8.4%를 기록하며 자체 최고 시청률을 경신했다. 5월 27만4706건이던 신규 앱 설치 건수는 지난달 35만4969건으로 29.22% 늘었다. 쿠팡플레이는 전달 대비 19만4324명 줄어든 728만3168명의 6월 MAU를 기록했다. 쿠팡플레이는 지난달 중순부터 스포츠 경기 중계 전용 요금제인 '스포츠패스'를 운영하기 시작해 이에 대한 소비자 반응이 관건이다. 기존 이용자들은 쿠팡 와우 멤버십 요금 7890원에 스포츠패스 9900원을 합쳐 매달 1만7790원을 내야하는 상황이 됐다. 스포츠 패스를 이용하면 잉글랜드, 스페인, 독일, 스페인 등 유럽 축구는 물론 F1, F1 아카데미, 나스카, LIV 골프, PGA 챔피언십, NFL 등 총 48개 리그 및 대회 중계를 볼 수 있지만 소비자 부담이 커진 상태다. 4위인 웨이브는 지난달 MAU가 430만1300명으로 전월(412만5283명)보다 증가했다. 5위인 디즈니+ 역시 249만3872명으로 전달(243만4607명)보다 이용자 수가 늘었다. 반면 최근 490억원 규모 전환사채(CB) 상환에 어려움을 겪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 거절'을 통보 받은 왓챠는 지난달 MAU가 45만522명으로 올해 들어 최저치를 보였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박성현 기자
2025-07-03 16:39:14쿠팡플레이가 지난 15일부터 스포츠 경기 시청 부가 서비스 '스포츠 패스'를 9900원에 판매하면서 이용자들의 불만이 나오고 있다. 쿠팡플레이가 중계하는 경기를 보려면 기존 쿠팡 와우멤버십(월 7890원)에 스포츠 패스까지 총 1만7790원을 내야 해 다소 비싸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해외 사례들과 비교해 보면 쿠팡플레이가 여전히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계에 따르면 쿠팡플레이는 올 시즌부터 영국 프리미어리그(EPL), 미국프로농구(NBA) 중계권을 확보했다. 이로써 축구(K리그·분데스리가·라리가·리그 1 등), 레이싱(F1·나스카), 미식축구(NFL), 골프, 격투기(원챔피언십) 등 다양한 스포츠를 중계해온 쿠팡플레이는 시청자들에게 더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게 됐다. 최근에는 170만달러(약 23억원)에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 월드컵 중계권 계약도 체결해 이를 중계하고 있다. 그동안 사실상 무료로 스포츠 중계를 보던 사용자들 입장에서는 ‘스포츠 패스’ 도입이 아쉬울 법 하지만 유료화는 어느 정도 예정된 수순이었다. 중계권 확보에 드는 비용이 한두푼이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유료 스포츠 콘텐츠 시장이 활발한 미국, 영국 대비 '스포츠 패스'는 훨씬 저렴한 편이다. NBA와 미국프로야구(MLB)·NFL, 나스카, 골프 등 다양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보(Fubo) TV의 한 달 요금제(푸보 프로)는 월 11만6000원(84.99달러)에서 시작한다. ESPN 등 미국 주요 채널 100개를 모두 관람할 수 있는 유튜브TV도 월 11만3000원(82.99달러)에 달한다. 영국에서 EPL·F1 등 12개 스카이 스포츠 채널을 볼 수 있는 ‘나우 TV 스포츠 멤버십’은 하루 2만7000원(14.99파운드), 월 6만4500원(34.99파운드)이다. NFL이나 NBA 리그 패스 등 개별 스포츠 리그만 시청할 수 있는 ‘리그 패스 OTT’도 월 1~2만원대다. 미국 대표 스포츠채널인 ESPN의 OTT인 ‘ESPN+’의 월 요금은 1만6300원(11.99달러)이지만, 주요 스포츠 콘텐츠가 적고 광고를 시청해야 한다. 이에 ESPN은 올 하반기 스포츠 라인업을 확대한 ‘ESPN’ OTT를 월 요금 4만원(29.99달러)에 출시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스포츠 OTT 시장은 이제 걸음마 단계”라며 “미국·영국 등 선진국에선 스포츠 OTT 구독요금이 월 10만원대를 호가하고 일일 사용권도 2만원 중후반대를 받는 사례가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25-06-16 17:41:21티빙과 쿠팡플레이가 '스포츠 생중계'에 열을 올리는 가운데 네이버까지 참전하면서 중계권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스포츠 중계가 흥행 콘텐츠임이 입증되면서 관련 기업들이 중계권 확보에 열을 올리며 소송전까지 벌어지고 있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2026~2032년 동·하계 올림픽과 2026~2030년 월드컵의 국내 독점 중계권이 있는 중앙그룹의 뉴미디어 중계권 부문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네이버는 전 경기 실시간 생중계, 인공지능(AI) 기반 하이라이트 영상, '치지직' 같이 보기 등의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네이버는 KBO 프로야구 중계권을 티빙에 내주면서 과거보다는 스포츠 중계권에 관심을 덜 갖는 듯 했다. 하지만 최근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중계권이 있는 SPOTV와 협력해 치지직 첫 프라임 콘텐츠로 MLB 주요 경기를 제공하기로 했으며, 미국 US오픈 골프 대회도 치지직에서 중계하기로 했다.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인 쿠팡플레이도 최근 2025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 월드컵 중계권을 확보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법정 싸움이 벌어졌다. 쿠팡플레이는 올해 초 영국 OTT 다즌(DAZN)과 170만달러(약 23억원)에 클럽 월드컵 중계권 계약에 합의했으나, 다즌이 일주일 만에 이를 번복하려 하자 소송전에 들어갔다. 쿠팡플레이는 "다즌이 더 나은 제안을 받자 후회하고 계약을 철회하려 한다"며 다즌을 고소한 끝에 1심, 2심에서 모두 승소하면서 클럽 월드컵 중계권을 갖게 됐다. 이처럼 플랫폼 업체들이 스포츠 중계권 경쟁을 벌이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 실시간 시청이라는 특성 덕에 스포츠 팬들을 확실한 자사 플랫폼 이용자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CJ ENM의 OTT 티빙은 지난해부터 한국야구위원회(KBO) 리그를 중계한 결과 작년 평균 월간 활성 이용자수(MAU)가 전년 대비 31% 급증했다. KBO 리그가 인기를 누리면서 티빙 시청자들의 야구 사랑은 통계로 확인된다. 당장 이달 야구 경기가 있는 날에는 평균 일간 활성 이용자수(DAU)가 110만명이 넘는 반면 경기가 없는 월요일에는 84만명에 그쳐 야구 경기 유무에 따라 이용자 수가 30% 이상 차이가 난다. 쿠팡플레이는 올해부터 EPL, NBA 리그까지 생중계하면서 15일부터 스포츠 경기 시청 부가 서비스 '스포츠 패스'를 9900원에 판매한다. 쿠팡플레이가 중계하는 스포츠 경기를 보려면 기존 쿠팡 와우멤버십(월 7890원)에 스포츠 패스까지 총 1만7790원을 내야 하는데, 이를 통한 이용자 락인 효과와 수익 개선을 노리는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스포츠 중계권은 충성도 높은 고객들을 유입시킬 수 있는 확실한 흥행 카드"라며 "업체들 간 경쟁이 붙을수록 중계권료는 인상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중계권을 살 수 있는 곳이 제한적이어서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25-06-15 18:22:36티빙과 쿠팡플레이가 ‘스포츠 생중계’에 열을 올리는 가운데 네이버까지 참전하면서 중계권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스포츠 중계가 흥행 콘텐츠임이 입증되면서 관련 기업들이 중계권 확보에 열을 올리며 소송전까지 벌어지고 있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2026~2032년 동·하계 올림픽과 2026~2030년 월드컵의 국내 독점 중계권이 있는 중앙그룹의 뉴미디어 중계권 부문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네이버는 전 경기 실시간 생중계, 인공지능(AI) 기반 하이라이트 영상, '치지직' 같이 보기 등의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네이버는 KBO 프로야구 중계권을 티빙에 내주면서 과거보다는 스포츠 중계권에 관심을 덜 갖는 듯 했다. 하지만 최근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중계권이 있는 SPOTV와 협력해 치지직 첫 프라임 콘텐츠로 MLB 주요 경기를 제공하기로 했으며, 미국 US오픈 골프 대회도 치지직에서 중계하기로 했다.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인 쿠팡플레이도 최근 2025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 월드컵 중계권을 확보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법정 싸움이 벌어졌다. 쿠팡플레이는 올해 초 영국 OTT 다즌(DAZN)과 170만달러(약 23억원)에 클럽 월드컵 중계권 계약에 합의했으나, 다즌이 일주일 만에 이를 번복하려 하자 소송전에 들어갔다. 쿠팡플레이는 “다즌이 더 나은 제안을 받자 후회하고 계약을 철회하려 한다”며 다즌을 고소한 끝에 1심, 2심에서 모두 승소하면서 클럽 월드컵 중계권을 갖게 됐다. 이처럼 플랫폼 업체들이 스포츠 중계권 경쟁을 벌이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 실시간 시청이라는 특성 덕에 스포츠 팬들을 확실한 자사 플랫폼 이용자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CJ ENM의 OTT 티빙은 지난해부터 한국야구위원회(KBO) 리그를 중계한 결과 작년 평균 월간 활성 이용자수(MAU)가 전년 대비 31% 급증했다. 드라마 히트작이 안 나오면서 올해 티빙의 야구 의존도는 더 높아졌다. 당장 이달 야구 경기가 있는 날에는 평균 일간 활성 이용자수(DAU)가 110만명이 넘는 반면 경기가 없는 월요일에는 84만명에 그쳐 야구 경기 유무에 따라 이용자 수가 30% 이상 차이가 난다. 쿠팡플레이는 올해부터 EPL, NBA 리그까지 생중계하면서 15일부터 스포츠 경기 시청 부가 서비스 '스포츠 패스'를 9900원에 판매한다. 쿠팡플레이가 중계하는 스포츠 경기를 보려면 기존 쿠팡 와우멤버십(월 7890원)에 스포츠 패스까지 총 1만7790원을 내야 하는데, 이를 통한 이용자 락인 효과와 수익 개선을 노리는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스포츠 중계권은 충성도 높은 고객들을 유입시킬 수 있는 확실한 흥행 카드”라며 "업체들 간 경쟁이 붙을수록 중계권료는 인상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중계권을 살 수 있는 곳이 제한적이어서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25-06-14 17:3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