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메드팩토는 항암제 후보물질 '백토서팁'의 골육종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 1b상 중간 분석 결과, 36.4%의 환자가 부분관해(PR)를 보였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기존 재발성 및 불응성 골육종 치료제의 객관적 반응률(ORR)이 10% 미만인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메드팩토는 지난 26~28일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FACTOR 콘퍼런스 2025’에 참가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이 컨퍼런스는 미국 골육종 연구 분야 대표적 학회로, 2017년부터 매년 골육종 연구자와 임상의, 환자 가족 등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임상 지원 등의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학회에는 김새롬 메드팩토 미국법인장과 공동 연구자인 알렉스 후앙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 교수와 크리스틴 반헤이스트 동 대학 레인보우어린이병원 전문의가 참석했다. 임상 중간 데이터를 공개하고 골육종 환자에서 종양미세환경에 작용하는 TGF-β(베타) 수치 감소가 종양 반응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은 재발성 골육종 환자 11명을 3개군으로 나눠 각기 다른 용량의 '백토서팁'을 단독 투여하고 관찰한 것이다. 그 결과 전체 PR율은 36.4%로 나타났다. 특히 중용량 이상 환자군의 PR은 50%, 12개월 이상 무진행생존률(PFS)은 33%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메드팩토 관계자는 "백토서팁은 골육종 환자 대상 치료목적 사용 승인 사례에서 생존기간 연장 가능성을 보인 데 이어 임상시험에서도 기존 약물을 압도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면서 상용화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면서 "이번 임상은 지난 바이오USA에서도 글로벌 제약사들의 높은 관심을 모았으며 이들과의 공동 연구 등을 통해 골육종 등 희귀암 대상 조기 상업화를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골육종은 뼈, 연골 등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환자 절반가량이 치명적인 폐 전이를 겪고 있으나 기존 면역항암제는 효과가 거의 없어 새로운 치료법이 절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5-06-30 16:28:29[파이낸셜뉴스] 혁신신약 개발 기업 메드팩토는 항암제 후보물질 '백토서팁'의 골육종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 1b상 중간 분석 결과, 36.4%의 환자가 부분관해(PR)를 보였다고 6월 30일 밝혔다. 이는 기존 재발성 및 불응성 골육종 치료제의 객관적 반응률(ORR)이 10% 미만인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메드팩토는 지난 26~28일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FACTOR 콘퍼런스 2025’에 참가,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FACTOR 콘퍼런스'는 미국 골육종 연구 분야 대표적 학회로, 2017년부터 매년 골육종 연구자와 임상의, 환자 가족 등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임상 지원 등의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학회에는 김새롬 메드팩토 미국법인장과 공동 연구자인 알렉스 후앙(Alex Y. Huang)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 교수와 크리스틴 반헤이스트(Dr. Kristen Vanheyst) 동 대학 레인보우어린이병원(UH Rainbow Babies and Children’s Hospital) 전문의가 참석, 임상 중간 데이터를 공개하고 골육종 환자에서 종양미세환경에 작용하는 TGF-β(베타) 수치 감소가 종양 반응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은 재발성 골육종 환자 11명을 3개군으로 나눠 각기 다른 용량의 '백토서팁'을 단독 투여하고 관찰한 것이다. 그 결과 전체 PR율은 36.4%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용량 이상 환자군의 PR은 50%, 12개월 이상 무진행생존률(PFS)은 33%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메드팩토 관계자는 "백토서팁은 골육종 환자 대상 치료목적 사용 승인 사례에서 생존기간 연장 가능성을 보인 데 이어, 임상시험에서도 기존 약물을 압도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면서 상용화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또한 "이번 임상은 지난 바이오USA에서도 글로벌 제약사들의 높은 관심을 모았으며, 이들과의 공동 연구 등을 통해 "골육종 등 희귀암 대상 조기 상업화를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골육종은 뼈, 연골 등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환자 절반가량이 치명적인 폐 전이를 겪고 있으나 기존 면역항암제는 효과가 거의 없어 새로운 치료법이 절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5-06-30 10:25:35[파이낸셜뉴스] 메드팩토는 뼈질환 신약 후보 ‘MP2021’에 관한 연구 결과가 유력 국제학술지 ‘본 리서치’에 게재됐다고 26일 밝혔다.‘MP2021’은 파골세포 등에 작용하는 유전자 ‘TM4SF19’를 저해하는 물질이다. 골다공증, 골소실 질환, 암으로 인한 뼈 전이 등을 적응증으로 KDDF(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 중이며 연내 임상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메드팩토는 재단법인 길로와 공동으로 콜라겐 유도 관절염(CIA, Collagen-Induced Arthritis) 동물 모델에 ‘MP2021’을 투약한 결과, ‘TM4SF19’ 저해로 인해 비정상적인 파골세포의 활성이 억제되고 염증 및 골 파괴가 유의미하게 개선된다는 것을 입증했다. 또한 ‘MP2021’에 의한 ‘TM4SF19’ 저해가 염증 및 골 파괴를 동반한 질환 진행을 억제하는 치료 효과와 예방 효과를 모두 갖추고 있음을 밝혀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메드팩토 관계자는 “이번 연구에서 대조약으로 사용한 엔브렐 등 기존 치료제가 염증 개선에 치중하는 반면 ‘MP2021’은 소실된 뼈를 회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TM4SF19’ 저해 전략이 염증성 뼈질환뿐 아니라 골다공증 등 퇴행성 뼈질환까지 포괄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것이 중요한 성과”라고 밝혔다. ‘TM4SF19’는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등의 원인이 되는 파골세포 다핵화 형성에 영향을 주는 신규 표적 단백질로, 김성진 메드팩토 대표가 세계 최초로 작용기전을 규명해 발표한 바 있다. ‘본 리서치’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로, 뼈 대사 및 뼈 질환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학술지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5-03-26 14:21:50[파이낸셜뉴스] 세계 최고 권위의 암 연구기관 'MD앤더스 암센터'에서 메드팩토의 항암제 후보물질 '백토서팁'의 골육종 치료 성공 가능성을 주목했다.메드팩토는 지난 7일 미국 MD앤더스 암센터에서 열린 '클라이너만(Kleinerman) 심포지엄'에서 TGF-베타(β) 억제 항암제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시험 계획 및 가능성 등이 발표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학회에는 메드팩토의 공동 연구자인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 알렉스 후앙(Alex Y. Huang) 교수가 참석해 '소아 및 청소년, 청년 골육종의 새로운 치료법을 위한 종양-면역 상호작용 활용(Exploiting Tumor-Immune Interactions for New Therapies in Pediatric and AYA Sarcoma)'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후앙 교수는 골육종 환자에서 TGF-베타 수치가 높은 환자의 생존률이 그렇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다는 임상 데이터를 제시하며, 골육종 치료에서 종양 미세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해 MD앤더슨 의료진 및 연구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또한 전임상시험에서 '백토서팁'의 단독 투여로도 종양의 크기가 줄어들고 폐 전이가 감소하는 등의 효과를 확인했다며, 이들 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스탠포드대 병원 등 북미 ‘POETIC’ 컨소시엄 병원 12곳에서 연구자임상 2상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메드팩토 관계자는 "세계적 권위의 연구자들 사이에서 백토서팁의 특징이 소개되고 가능성이 높게 평가됨에 따라 현재 준비 중인 임상시험이 더욱 기대를 모으게 됐다"며 "이번 학회를 계기로 MD앤더슨과의 협업 임상 등 공동 연구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골육종은 뼈, 연골 등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어린이와 청소년 발병률이 높은 대표적 소아암이다. 특히 환자의 절반가량이 치명적인 폐 전이를 겪고 있으나 기존 면역항암제는 효과가 없어 새로운 치료법이 절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5-03-11 16:59:14[파이낸셜뉴스] 김성진 메드팩토 대표( 사진)가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겸임교수(Professor Adjunct)'로 임용됐다고 6일 밝혔다. 예일대 교수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자문을 맡은 사례는 있지만,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대표가 예일대 의과대학 겸임교수로 임명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대표는 현재 메드팩토에서 개발하는 혁신신약 후보물질 임상에 관해 예일대 의대팀과 다양한 협력관계를 마련해 갈 예정이다. 또 예일대 소속 세계적 암 전문 교수들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혁신적인 암 치료법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TGF-β(형질전환증식인자) 수용체 유전자의 결손과 돌연변이가 인간 주요 암의 암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해 ‘네이처’지 등에 발표했을 뿐 아니라, 한국인 최초, 세계 5번째로 인간의 개인 게놈지도를 해독했으며 한국인 위암 유전체 해독 등 총 320여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5-03-06 10:43:57[파이낸셜뉴스] 메드팩토는 김성진 대표 및 우정원 사장 등 임원들이 약 10만 주의 자사 주식을 장내 매입했다고 5일 밝혔다.메드팩토 임원들이 자사 주식을 매입한 것은 지난 2022년 1월, 김성진 대표가 10억 원 상당의 자사 주식을 매수한 이래 3년만이다. 이번 자사 주식 매입에 참여한 임원은 6명이며, 김성진 대표의 부인 김영원 여사도 동참했다. 김성진 대표가 3만1882주, 우정원 사장이 3만주, 그 외 본부장급 임원들과 김영원 여사가 4만3946주 등 메드팩토 임원 및 관계자들은 총 10만5828주의 자사 주식을 매입했다. 이에 대해 메드팩토 관계자는 "이번 주식 매입은 책임경영과 기업가치 제고를 경영과 연구개발의 주요 목표로 삼겠다는 회사의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며 "주가 부양을 위해 적극적인 시장 소통에 나서는 한편 주주 친화정책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상 경영진의 주식 매입은 기업의 성장성에 대한 자신감을 표현하는 것으로, 시장에 긍정적인 시그널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메드팩토는 이중 타깃으로 종양 미세환경에 작용하는 항암제 ‘TME-DP(TARGETi)’ 및 뼈질환 치료제 'MP2021' 등 신규 파이프라인의 임상 개발 및 기술수출을 적극 추진하면서 기존 TGF-베타(β) 억제 항암제 ‘백토서팁’의 적응증 확대에 나서고 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5-03-05 14:43:55[파이낸셜뉴스] 메드팩토는 미국 스탠포드대 및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병원 등과 공동으로 현지에서 소아 골육종 대상 연구자 임상시험 제2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메드팩토는 지난 5~7일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린 소아종양학 학회 'POETIC Winter Meeting'에 참가해 TGF-β(베타) 억제 항암제 ‘백토서팁’의 골육종 임상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행사에서 메드팩토는 이미 '백토서팁'의 전임상 및 임상 1상을 통해 안전성과 함께 골육종 암세포 성장 및 폐 전이 억제 가능성을 확인했고, 이제 임상 2상을 통해 이를 검증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발표에서는 소아암 전문가인 크리스틴 반헤이스트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 레인보우어린이병원 전문의와 앨리슨 프립노우 스탠포드대 어린이병원 전문의가 각각 '백토서팁'의 우수성을 소개하고, 미국 내 재발성 소아 골육종 환자를 대상으로 '백토서팁' 단독요법 임상을 실시해 유효성을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스탠포드대 및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병원 등 ‘POETIC’ 소속 12개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실시되며, 연내에 개시될 예정이다. 우정원 사장은 "한국 기업으로 유일하게 이번 학회에 초청돼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에 대한 북미권의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며 "미국 최고 권위 대학병원들과 공동 임상을 실시하게 돼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골육종은 뼈 또는 연골 등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어린이와 청소년 발병률이 높은 대표적 소아암이다. 특히 골육종 환자의 절반가량이 치명적인 폐 전이를 겪고 있으나 기존 면역항암제는 효과가 없어 새로운 치료법이 절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5-02-10 09:42:32[파이낸셜뉴스] 혁신신약 개발기업 메드팩토는 이달 15~19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된 미국간학회(AASLD 2024)에서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 후보물질 ‘MIMERET’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메드팩토는 이번 학회에 김성진 대표가 직접 참석해 포스터 방식으로 해당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해외 기업 및 연구기관들과 공동 개발 등에 대한 협의를 진행했다. AASLD는 간질환 분야의 대표적인 글로벌 학회로, 매년 전 세계 과학자 및 의료 전문가들이 모여 간질환 치료의 최신 동향 및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MIMERET은 지방산의 베타 산화를 자극해 지방간을 개선시켜주는 새로운 미토콘드리아 표적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이번에 공개된 연구 결과는 아밀린(Amylin) 식이를 통해 대사기능 장애 관련 지방간염(MASH)을 유발한 마우스 모델에 8주 동안 1일 1회 경구 투여하고 간 조직과 기능, 염증 및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것이다. Gubra-Amylin NASH(GAN) 식이 유발 MASH 모델은 간 손상과 염증, 지방축적, 섬유화 등 병리적이 측면에서 인간의 MASH와 유사해 약물의 효능 평가 신뢰도가 높은 모델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 MIMERET 투약 시, MASH 감염 모델에서 간 조직병리학적 특징과 간 기능이 향상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도 감소됨을 확인했다. 특히 MASH 치료 효과 측정 지표인 NAS스코어는 5단계 이상에서 2단계 이하로 감소했으며, 총 4단계인 섬유화 등급도 1단계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산화에 관련된 유전자를 조절해 지방간을 감소시키고 체중 감량을 촉진함을 확인했다. 기존 약물과 달리 체중 감소(18%)와 함께 내장 및 피하지방도 각각 64%, 54% 감소시키는 등 지방간을 포함한 체내 지방 조절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메드팩토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MASH 및 비만 치료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MIMERET은 이미 임상 1상을 완료해 안전성이 입증된 물질로, 임상 2상부터 신속한 임상개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학회에 참석 중인 메드팩토 관계자는 “최근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기반 약물에 대한 한계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물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며, “학회 현장에서 ‘MIMERET은 유수의 글로벌 기관들로부터 MASH뿐만 아니라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PBC) 및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PSC) 등의 희귀질환치료제로의 공동 개발을 제안받는 등 참가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고 밝혔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4-11-19 14:01:07[파이낸셜뉴스] 메드팩토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NSCLC) 대상 ‘백토서팁’ 병용요법의 임상 데이터를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공개했다고 11일 밝혔다.이번 SITC는 11월 6일부터 10일까지 개최됐으며, 메드팩토는 지난 8일에 ‘백토서팁’과 아스트라제네카 면역항암제 ‘임핀지(성분명 더발루맙)’의 병용 임상 1b/2a상 결과를 발표했다. 메드팩토에 따르면, 이날 데이터 공개와 함께 다수의 해외 제약사 및 연구기관 등에서 ‘백토서팁’의 연구 과정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특히 일부와는 공동 연구 등에 대해 추가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메드팩토 외에도 미국 국립암연구소, 호주 피터 맥컬럼 암센터, 멜버른 대학 등 다양한 기관에서 TGF-β 관련 발표를 진행, TGF-β의 항암치료 가능성에 대한 세계적인 높은 관심을 확인하기도 했다. 이번에 공개된 임상 1b/2a상 결과는 PD-L1 발현율에 따른 치료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병용요법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 특히 PD-L1 발현율이 25% 이상인 환자군에서 객관적 반응률(ORR)은 45.83%,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mOS)은 41.92개월을 기록했다. 메드팩토 관계자는 “임핀지 단독투여 시 ORR은 20% 내외, mOS는 16.8개월 정도임을 감안하면 백토서팁은 매우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고 강조하며 “다양한 병용요법에서 백토서팁의 효과가 확인되고 있는 만큼 글로벌 파트너링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백토서팁은 종양 미세환경 조절과 관련된 TGF-β1 신호전달계를 표적으로 하는 혁신 신약으로 기존 항암치료제들과 병용투여 시, 면역을 활성화하고 전이 및 항암제 내성을 억제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새로운 항암치료제다. SITC는 면역항암분야에서 가장 큰 규모의 글로벌 학회로 전 세계 63개국, 약 4,600명 이상의 임상의, 과학자, 연구자들을 회원으로 보유하고 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4-11-11 14:11:28[파이낸셜뉴스] 메드팩토는 경영 관리 및 대외 업무 강화를 위해 장민후 경영본부장(전무)을 영입했다고 5일 밝혔다. 장민후 본부장은 현대중공업(현 HD한국조선해양) 문화부, 메디포스트 전략기획부, 테라젠이텍스 및 테라젠바이오 경영기획본부 이사, 제넨셀 경영기획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테라젠이텍스 재직 시 계열 회사인 메드팩토의 코스닥 상장 및 대외전략 업무를 담당한 바 있다. 2021년 테라젠바이오에서 사임한 후 3년 만에 다시 그룹 계열 회사로 복귀한 셈이다. 장민후 본부장은 "메드팩토는 경쟁력 있는 파이프라인을 다수 갖추고 있고 그간의 기초 연구 및 임상 개발 성과도 매우 뛰어나다"며, "대외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기업가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메드팩토는 TGF-β 억제 항암제 ‘백토서팁’과 ‘TME-DP’ 및 뼈질환 치료제 'MP2021' 등의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면역항암제와의 병용 요법에서 우수한 데이터를 확보, 차단계 임상 및 기술수출 등을 추진 중이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4-11-05 13:3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