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은 정원주 회장이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아프리카 모잠비크를 방문해 다니엘 프란시스쿠 샤푸 대통령을 예방하고 현안을 논의했다고 19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정 회장은 지난 18일 모잠비크 수도 마푸토에서 샤푸 대통령을 예방했다. 그는 "대우건설은 1977년 아프리카에 처음 진출한 이후 약 280개 프로젝트를 통해 총 320억달러 규모의 공사를 수행한 경험과 기술력을 갖춘 대한민국의 대표 건설기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츠와나~잠비아 카중굴라 교량공사와 에티오피아 고속도로 공사 등을 통해 아프리카 국가의 경제 발전에 이바지한 경험을 바탕으로 모잠비크가 세계적인 천연가스 수출국으로 도약해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이뤄낼 수 있도록 대우건설이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 정 회장은 기 수주했던 액화천연가스(LNG) 플랜트 공사의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한 협력을 요청하고, 추가 수주를 추진 중인 LNG 프로젝트 입찰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샤푸 대통령은 "모잠비크는 독립 50주년을 맞아 큰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으며, LNG 사업뿐 아니라 신도시개발·관광개발사업에도 대우건설의 다양한 개발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큰 관심을 가져주기 바란다"고 지원을 약속했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
2025-06-19 18:16:02[파이낸셜뉴스] 대우건설은 정원주 회장이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아프리카 모잠비크를 방문해 다니엘 프란시스코 챠포 대통령을 예방하고 현안을 논의했다고 19일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정 회장은 지난 18일 모잠비크 수도 마푸토에서 다니엘 챠포 모잠비크 대통령을 예방했다. 그는 "대우건설은 1977년 아프리카에 첫 진출한 이후 약 280여개 프로젝트를 통해 총 320억 달러 규모의 공사를 수행한 경험과 기술력을 갖춘 대한민국의 대표 건설기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츠와나~잠비아 카중굴라 교량공사와 에티오피아 고속도로 공사 등을 통해 아프리카 국가의 경제 발전에 이바지한 경험을 바탕으로 모잠비크가 세계적인 천연가스 수출국으로 도약해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이뤄낼 수 있도록 대우건설이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 정 회장은 기 수주했던 액화천연가스(LNG) 플랜트 공사의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한 협력을 요청하고, 추가 수주를 추진 중인 LNG 프로젝트 입찰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다니엘 챠포 모잠비크 대통령은 "모잠비크는 독립 50주년을 맞아 큰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으며, LNG 사업 뿐 아니라 신도시개발·관광개발사업에도 대우건설의 다양한 개발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큰 관심을 가져주기 바란다"고 지원을 약속했다. 모잠비크는 전 세계가 16년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한 대표적인 아프리카의 천연가스 보유 국가이다. 회사 관계자는 “정 회장의 모잠비크 방문을 계기로 아프리카 시장 확대를 위한 중요한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LNG 플랜트 분야에 대한 글로벌 경쟁력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
2025-06-19 09:51:59[파이낸셜뉴스] 한국가스공사의 모잠비크 개발 사업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 2007년 모잠비크 Area4 광구 지분 10%를 투자한 사업이 지난해부터 수익을 내고 있다. 가스공사는 모잠비크 사업 외에 다수의 사업이 본격 생산 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오는 2032년 해외 사업을 통해 투자비를 전액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0일 가스공사에 따르면 모잠비크 Area4 광구는 국내 연간 천연가스 소비량을 기준으로 약 30년간 사용할 수 있는 매장량(약 1억3000만t)을 가진 대규모 천연가스전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외 자원 개발 성공 사례로 꼽힌다. 가스공사는 지난 2007년 Eni사로부터 지분 10%를 매입하며 사업에 참여했고, 2022년 11월 코랄 사우스 해상부유식 액화플랜트(FLNG)에서 LNG 생산을 처음 시작해 상업 운전을 본격화했다. 2023년에는 안정적인 생산 단계에 진입해 총 266만t의 LNG를 판매했으며, 이중 가스공사 지분 10% 기준으로 약 1억2000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했다. 가스공사는 모잠비크 사업의 상업 생산이 본격화됨에 따라 2047년까지 25년간 연간 337만t 규모의 LNG를 생산·판매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Area4의 막대한 부존량을 토대로 후속 LNG 사업 추진을 검토하고 있으며, 공사 재무 여력과 사업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발견된 자원의 상업화를 가속화할 예정이다. 향후 코랄 노스 등 후속 가스전 개발을 통해 LNG 생산량 증산 시 이를 운반할 LNG 운반선의 발주가 예상돼, 현재 글로벌 LNG 운반선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국내 조선사의 매출 증대에도 큰 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가스공사는 모잠비크 Coral Ⅰ FLNG에서 디젤 발전기 사용 제한, 소각가스 최소화 같은 설비 최적화를 통해 2023년 대비 약 9만t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했다. 기후 위기의 심각성이 커지면서 탄소 중립이 세계 공통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가스공사는 저탄소 해외 사업 추진을 통해 글로벌 탄소 중립 정책의 중요한 지원군으로 활약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모잠비크 외 다수의 사업이 본격 생산 단계에 진입하면서 투자 회수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2032년까지 투자비를 전액 회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투자비 회수액 일부를 신규 사업에 재투자해 2050년까지 해외 사업에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2025-01-09 15:38:18[파이낸셜뉴스] 한국가스공사의 주가가 장중 강세다. 모잠비크에 매장된 천연가스의 가치가 1000억달러(약 138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오전 9시 15분 현재 한국가스공사는 유가증권시장에서 전 거래일 대비 6.70% 오른 4만69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한 매체는 영국 컨설팅 회사 딜로이트의 보고서를 인용해 모잠비크의 천연가스 매장량이 최대 1000억달러에 달하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딜로이트는 "모잠비크는 막대한 가스 매장량 덕분에 2040년까지 대륙 생산량의 20%를 차지하는 세계 10대 가스 생산국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며 "모잠비크가 재생 에너지로 전환하는 동안 전 세계 에너지 수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모잠비크는 카보 델가도(Cabo Delgado) 연안의 로부마 분지에서 천연가스 매장량을 탐사하기 위해 3개의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를 승인했다. 이 중 한국가스공사는 모잠비크의 펨바시 북동 250㎞ 해상에 위치한 제4광구에 있는 코랄 가스전 지분을 약 10% 보유하고 있다. 해당 프로젝트는 지난 2022년 8월부터 가동 중이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4-06-12 09:17:30[파이낸셜뉴스] 엑스페릭스는 아프리카 모잠비크 정부가 추진 중인 '자동 지문 식별 시스템(Automated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AFIS) 구축 사업 컨소시엄에 참여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엑스페릭스가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진행되는 첫 대규모 프로젝트이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예정이다. 엑스페릭스는 이미 글로벌 130개국 이상에서 인정받은 생체인식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디지털 아이디(ID) 솔루션을 제공해온 바 있다. 이번 모잠비크에서 참여하는 AFIS 구축 사업은 정부 주도의 국가 안보 강화 및 범죄 예방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구축된 시스템은 법 집행 기관에 신속하고 정확한 지문 식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범죄자 추적 및 신원 확인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전망이다. 이번 프로젝트 참여로 회사는 모잠비크의 공공 안전과 범죄 대응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으며, 회사가 보유한 기술력과 해외 사업 수행 능력을 인정받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엑스페릭스 윤상철 대표이사는 “모잠비크 AFIS 프로젝트 수주는 우리 기업의 글로벌 역량과 기술력을 입증한 중요 케이스가 될 것”이라며 “모잠비크 외에도 우리 회사의 상품과 기술력이 필요한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협력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4-03-07 15:12:45[파이낸셜뉴스] STX는 전세계 흑연 생산량 2위인 모잠비크에서 흑연과 바나듐의 생산에 참여하는 포괄적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내년 생산을 앞두고 있는 모잠비크 광산은 2019년 STX가 광산 전체 생산량의 40%에 대해 이미 판매권(Off-take) 계약을 체결한 바 있는 카울라 광산으로, 모잠비크 카보델가도 지역에 위치한 약 3000헥타르(ha) 면적의 대규모 광산이다. 이 지역은 품질 좋은 흑연이 풍부하게 매장돼 있는 곳으로 유명하며, 같은 광맥을 쓰고 있는 인근 발라마 광산은 테슬라에 흑연을 공급하기로 지난해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카울라 광산의 생산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지연돼 왔는데, 내년 생산을 앞두고 STX가 생산 과정에 본격 참여함으로써 채굴부터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구축하고 흑연의 공급파워를 더욱 강화하게 됐다. 카울라 광산에는 흑연 3700만t이 매장돼 있고, 선광 후 음극제용 고순도 제품 판매 기준은 약 500만t이다. STX 관계자는 "이번 계약으로 기존 니켈, 리튬 공급망 확보에 이어 음극재 주요 원자재인 흑연까지 주도적으로 확보해 양극재와 음극재를 통합하는 이차전지 소재 핵심광물 공급 인프라를 성공적으로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2023-12-04 09:12:00[파이낸셜뉴스] 기아의 '그린라이트 프로젝트'가 짐바브웨와 모잠비크에서 신규 거점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지원 활동을 시작한다. 그린라이트 프로젝트는 경제, 교육, 보건, 환경 등 분야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지역사회에 인프라와 자립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 궁극적인 자립을 돕고자 하는 기아의 글로벌 대표 사회공헌 활동이다. 기아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짐바브웨 웨자 지역에서 농·광업 1호 인프라의 완공식을 진행하고 그린라이트 프로젝트의 14번째 거점을 개소했다. 이를 기점으로 기아는 국제구호개발 NGO 희망친구 기아대책과 함께 2025년 12월까지 짐바브웨의 주요 산업인 농업 및 광업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활동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짐바브웨의 웨자 지역을 포함한 전국 18개 지역에 △태양광발전 우물, 그린하우스 등 농업 인프라 15개 설치 △근로자 휴게공간 등 광업 인프라 3개 설치 △사업 운영 차량 지원 등을 통해 주민들의 농업·광업 역량 향상 및 경제적 자립을 돕는다. 기아는 모잠비크에서도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비전과 함께 2027년까지 미래세대의 음악 역량 향상을 위한 그린라이트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지난 22일(현지시간)에는 15번째 거점인 모잠비크의 수도 마푸토 시에서 음악교육센터 건립 선포식을 개최했다. 기아는 선포식 직후 착공에 들어가 내년 상반기 중 지역 최초의 음악교육센터를 완공해 지역사회 문화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2023-08-23 16:10:57[파이낸셜뉴스] 모잠비크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가 지연되면서 국내 조선사들이 기다려왔던 LNG선 17척에 대한 최종 수주 계약도 한번 더 미뤄질 예정이다. 다만 조선사들은 협상이 늦어지면서 전보다 높은 선가에 계약할 수 있고, 향후 5~6년치 일감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쁘지 않다는 입장이다. 24일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현대삼호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와 관련해 수주할 예정이던 17척의 LNG선 발주 최종 계약이 한번 더 연기될 전망이다. 모잠비크는 내전 등의 영향으로 광구 개발이 지연되면서 현재까지 5차례 계약이 미뤄졌다. 모잠비크 LNG프로젝트는 프랑스 에너지업체 토탈(TOTAL)이 주도하고 있다. 모잠비크 해상 가스전을 개발하고 부유식액화설비(FLNG)를 통해 LNG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사업으로 준공이 완료되면 연간 1290만t 규모의 LNG를 생산할 수 있다. 지난 2020년 말 현대삼호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선주로부터 각각 9척과 8척의 LNG선 건조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조선소 내 선박 제조 공간을 선점하는 슬롯 계약은 맺었지만 최종 계약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다만 국내 조선업계는 해당 프로젝트가 엎어질 가능성이 희박해 수주 불발 가능성에 대해 크게 걱정하지 않는 분위기다. 오히려 향후 5~6년치 LNG선 일감이 생겨나고 애초 예상됐던 선가보다 가격을 올려 계약하게 될 것이란 점은 긍정적이라는 입장이다. 당초 LNG선은 2027년에 인도될 예정이었지만, 협상이 미뤄지면 인도 시점은 2028~2029년 정도가 될 전망이다. LNG선 선가도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타 지난 2020년 1억8000만달러 수준에서 현재 2억6000만달러까지 오른 상황이다. 조선사들은 향후 시세를 반영해 해당 LNG선 가격을 협상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모잠비크 광구 개발이 확정적이고 이에 따라 LNG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발주가 취소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이미 3년치 이상의 일감을 수주하면서 인력 문제로 공정 진행이 빡빡한 상황이라 건조 일정이 미뤄지는 것이 나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까지 슬롯만 예약된 상황이라 계약이 연기되더라도 실적에도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2023-08-23 15:54:29국제구호개발 NGO 플랜이 2022년 사이클론 곰베로 큰 피해를 입은 모잠비크에서 진행한 교육 지원활동에 대한 성과를 공유했다. 플랜의 지원에 따라 모잠비크 주민 약 1,464명이 직접 지원을 받고, 약 7,340명이 간접적으로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업은 KOICA 인도적 지원 민관협력프로그램 긴급재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모잠비크는 남폴라주 카보델가도 분쟁과 연달아 발생한 사이클론 아나와 두마코로 인한 피해가 채 회복되기 전인 2022년 3월 사이클론 곰베의 강타로 큰 피해를 입었다. 곰베로 인해 7만8,685채의 가옥이 완파 되고, 6만3,219채의 가옥이 부분 파괴된 한편 보건소 69개소와 588개의 학교, 전신주 2,764개, 1,008.3km의 도로가 유실됐다. 플랜은 학교의 피해가 상당해 아동 교육이 중단되거나 아동의 교육 받을 권리가 침해 받고, 보호 위협이 크게 증가하는 상황을 파악하고 즉각 지원에 나섰다. 최대 피해지역인 모고볼라스 군 나마체파 초등학교와 무이레케네 초등학교 등 2개 학교를 대상으로 각각 3개 교실과 1개 창고로 구성된 임시 교육 시설과 빗자루·분필·수학교구· 교사 노트 등의 교육기자재를 지원하는 한편 젠더 민감성을 고려한 학교 위생 시설을 구축했다. 또한 3학년부터 7학년까지 여아를 대상으로 속옷, 재사용 면 생리대, 치마, 로션, 비누. 칫솔, 치약 등 위생용품으로 구성된 존엄 키트를 제공했다. 이밖에도 교사의 교육 역량을 강화해 교육 중단 상황을 최소화하며 안전한 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사업학교 대상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계획 및 학습자료 개발 등 젠더 민감성을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제공했다. 플랜 관계자는 “사이클론 곰베에 대응한 모잠비크 지원 활동에 따라 현지에서 건축 기자재 지역 조달 등으로 지역경제가 회복되고, 지역 교육의 회복력 또한 증진되는 효과를 거뒀다”면서 “특히 여아들이 안전하고 위생적인 시설에서 월경 중에도 학업을 지속하게 됐을 뿐만 아니라 교사의 아동보호 및 수업 준비 역량이 강화돼 재난상황에서도 양질의 교육을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플랜은 재난상황에도가장 취약한 계층인 아동이 최우선으로 보호받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아동의 교육이 멈추지 않도록 지원하고 있다.
2023-02-10 09:46:49프랑스 석유업체 토탈에너지스가 진행하는 아프리카 모잠비크의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가 재개되면서 한국 조선사들이 수주했던 LNG선 17척의 재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수주금액은 2020년 당시 발주 선가보다 높게 합의될 가능성이 높아 총 44억 달러(5조7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더욱이 향후 모잠비크 프로젝트발 추가 수주로도 이어질 수 있어 국내 조선사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모잠비크 프로젝트 재가동으로 한국조선해양·삼성중공업의 LNG선 수주에 대한 최종 계약이 내년 7월에 이뤄질 예정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모잠비크 해상 가스전을 개발하고 부유식액화설비(FLNG)를 통해 LNG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사업이다. 완공되면 모잠비크 1구역의 매장가스를 이용해 연간 1280만t의 LNG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지난 2020년 말 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은 선주로부터 각각 9척과 8척의 LNG선 건조 의향서(LOI)를 맺었지만 최종 계약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였다. 이슬람국가(IS)와 연계된 전투기가 건설캠프 인근을 공격하면서 토탈에너지스가 공사 중단을 선언한 탓이다. 이번 최종 계약에서 계약선가도 당초보다 오를 전망이다. 한 척당 신조선가는 2억6000만달러 가량이 될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는 지난 2020년 처음 발주시 선가인 1억8000만달러를 훌쩍 뛰어 넘는다. 이는 국내 조선3사가 4년치 일감을 꽉 채운 상태에서 슬롯 확보를 위한 프리미엄이 붙기 때문이다. 최근 친환경 규제 강화와 글로벌 에너지 안보 기조에 따라 친환경 선박인 LNG선의 선가 자체도 상승 흐름을 타는 것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모잠비크 인도 시점이 미뤄지면서 한국 조선사들에 2027년 인도물 슬롯이 열릴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초 2023년 예정됐던 선박 인도일은 최종 계약 체결 시 2027~2028년으로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LNG선은 통상 계약부터 인도까지 3년 정도가 걸리는데 현재 조선3사는 4년 뒤인 2026년 인도분의 슬롯이 꽉 차 그 이후 인도물부터는 고부가가치 선박 위주로 선별수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모잠비크 프로젝트가 쪼개져서 진행되기 때문에 앞으로도 발주가 더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2022-12-14 18:4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