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서울 내 공유 숙박업소에서 닷새간 물 120톤과 평소의 5배가 넘는 가스를 사용하고 출국해 비난을 받았던 중국인 커플 관광객이 황당한 해명을 내놨다. 18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스트(SCMP)에 따르면 이 중국인 부부는 에어비앤비를 통해 서울 마포구에 있는 숙소를 예약했다. 25일간 장기 예약한 이들은 위치를 확인하지 않고 결제했고, 숙소가 서울 중심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됐다. 그러자 중국인 부부는 주인에게 예약을 취소해 달라고 요구했고, 주인이 이를 거절하자 앙심을 품었다고 한다. 에어비앤비 계정 이름과 국적을 바꾼 이들은 숙소 안 CCTV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 모든 수도꼭지의 물을 틀었다. 조명 등 모든 전기 제품도 켜놓고, 외출 시에도 창문을 열어두고 보일러를 작동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이 상태로 집을 나와 다른 지역을 여행하고, 3~4일마다 한 번씩 숙소에 돌아와 5분이 안 되는 시간 동안 머물렀다. 두 사람은 예약 기간 중 5번 정도만 숙소에 머문 것으로 알려졌다. 그 결과 가스 요금 64만원, 수도와 전기요금 20만원 등 공과금은 84만원에 달했다. 이에 숙소 주인 이모씨는 이들에 연락을 시도했으나 되레 “계속 문제 삼으면 중국 대사관에 연락할 것”이라고 적반하장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씨는 공유 숙박업소 측에 도움을 청했지만 ‘장기 숙박의 경우 집주인과 손님이 관리비를 협의할 수 있다'는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주인은 이들 부부와 협의를 하지 않았기에 피해를 구제 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씨는 부부에게 메시지를 보냈지만, 한국을 떠났다는 답만 받았다. 재차 연락을 했지만, 이들은 “우리 사용에는 문제가 없었다. 계속 이러면 중국 대사관을 통해 사안을 문제 삼겠다”며 적반하장의 태도를 보였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2023-04-18 19:56:22[파이낸셜뉴스] 공유 숙박 플랫폼으로 집을 빌려 국내에 묵은 중국인 관광객들이 120t에 달하는 물을 쓰고 가버렸다는 집주인의 하소연이 전해졌다. 가스도 평소의 5배가 넘는 양이 사용됐다. 9일 SBS에 따르면 지난달 6일 중국계 여행객인 두 남녀가 에어비앤비를 통해 서울 마포구에 있는 독채 숙소를 25일간 예약했다. 이들의 계약이 만료되기 나흘 전 집주인은 ‘가스가 새는 것 아니냐’는 가스검침원의 연락을 받았다. 계량기를 보니 평소 사용량의 5배가 넘는 645루베가 사용된 상태였다. 집주인은 “불이 다 켜져 있고 보일러가 돌아가고 있는데 창문을 다 열려 있었다. 가스 누수가 아니었던 것”이라고 매체에 말했다. 해당 여행객들이 머무는 동안 물 사용량은 120t을 넘었다. 이는 물을 쉬지 않고 6일 내내 틀어놔야 쓸 수 있는 양이라고 한다. 집주인은 결국 가스 요금 64만원과 수도와 전기 요금 20만원 등 모두 84만원의 공과금을 내게 됐다. 숙소 외부 CCTV를 보면 두 사람이 숙소에 머문 것은 닷새 정도였졌다. 짐을 싸서 나간 뒤에는 사나흘에 한 번씩 5분 정도 들른 게 전부였다. 집주인은 ‘고의성’을 의심하고 있다. 이들이 입실 3~4일 전 취소를 문의하기에 거절했더니 앙심을 품고 이 같은 일을 벌였다는 게 집주인의 주장이다. 집주인은 “에어비앤비 프로필 사진을 바꾸고, 집 안에 CCTV가 있냐고 물어봤던 것도 의아스럽다”고 토로했다. 집주인은 에어비앤비 측에 중재를 요청했으나 “기물을 파손한 것도 아니어서 이용객과 직접 해결해야 한다”는 답변을 들었다. 하지만 이들은 이미 출국해 연락도 닿지 않는 상황이라 협의할 방법도 없는 상황이다. 집주인은 “얼마나 나쁜 마음을 먹어야 이런 식으로 할 수 있나”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2023-04-09 09:30:09[파이낸셜뉴스] 최근 수년간 기상이변의 원인으로 지구온난화가 지목되면서,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₂)를 포집해 연료 등으로 재활용하는 탄소포집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뜨거워진 지구의 온도상승을 멈추거나 되돌리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이 필수적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다만 탄소포집 기술이 아직 초기 단계라는 점에서 풀어야할 과제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지구온난화에 탄소 포집 기술 필요성 제기 지난 2016년 체결된 파리기후협약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2도 이하로 유지하고 1.5도를 넘지 않도록 노력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구의 온도가 상승 시 발생할 악영향에 대한 우려때문이다. 기상학자들은 1.5도가 올라가면 과거엔 10년에 한 번꼴이던 폭염의 발생 확률이 4배로, 폭우의 가능성은 1.5배로, 가뭄의 가능성은 2배로 늘어난다고 보고 있다. 2도가 된다면 폭염의 확률은 6배, 폭우의 확률은 1.7배 증가한다. 올해까지 이미 1.1도가 올랐고, 2030년이 되기 전 1.5도에 도달할 것으로 기상학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같이 지구의 기온상승이 현실적 위험으로 다가오자 전세계는 '탄소제로(Carbon Zero)'에 집중하고 있다. 탄소제로는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해 발생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탄소제로를 위한 가장 대표적인 움직임이 태양광,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다. 하지만 당장 모든 전원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수 없는데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산업이 여전한 만큼, 화석연료 시대와 미래세대를 연결하는 기술로 탄소 포집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탄소 포집 기술은 산업 현장에서 배출되거나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CO₂)를 포집해 지하에 영구히 저장하거나, 연료나 화학제품 등으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탄소포집, 지구온난화 속도 늦출수 있을까 탄소포집 방식은 크게 △점원 탄소 포집(Point Emission)과 직접 공기 포집 (Direct Air Capture: DAC)으로 구분된다. 점원 탄소 포집은 다시 탄소포집 및 저장(CCS)와 탄소포집 및 활용(CCU)로 나뉜다. 점원 탄소 포집은 화력발전소나 제철소, 시멘트 공장과 같이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나쁜 매연을 뿜는 배출원에서 이산화탄소만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포집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배출원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일반적인 공기보다 CO₂ 농도가 더 짙기 때문에 포집이 더 쉽기 때문이다. 점원 탄소 포집 기술이 장착된 석탄 화력 발전소의 경우 최대 90%의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포집된 CO₂를 해수면 아래 등의 깊은 지하에 영구적으로 저장하면 CCS, 재활용해 사용하면 CCU가 되는 셈이다. 국내에서는 석유공사가 지난 2021년 생산을 멈춘 동해 가스전에 CO₂ 연간 120톤을 영구처분하는 실증사업을 추진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지난 6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신청한 상태다. DAC는 이미 대기중에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소시키는 '탄소 내거티브(Carborn Nagative)'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영구적으로 낮출 수 있고, 배출원이 아닌 여러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지난해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15개의 DAC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이 중 스위스의 클라임웍스(Climeworks)와 캐나다의 카본 엔지니어링(Carbon Engineering)이 가장 앞선 DAC기술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다만 DAC 운용에 필요한 에너지와 물소비량은 상당히 큰 편이며, 이산화탄소 포집에 들어가는 비용도 여전히 높다는 점은 숙제다. DAC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유형도 고려해야 한다. 연구자들은 DAC 기술이 상용화되면 2100년까지 전 세계 에너지 수요의 최대 4분의 1가량이 사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DAC에 신재생 에너지 및 폐열을 활용하지 않는다면 탄소포집 기술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의미가 사라진다는 지적이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2023-08-10 16:13:50[파이낸셜뉴스]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경북 포항과 경주 지역의 복구작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14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 6일부터 이날까지 소방공무원 870명, 의용소방대원 5231명이 태풍 피해 현장에 동원됐다. 이들은 급수·배수·세척 등 급수 지원과 안전조치 등을 실시하고 있다. 펌프차보다 차체가 높아 침수지역 접근이 용이한 산불전문진화차와 분당 최대 4만5000ℓ배수가 가능한 대용량포 방사 시스템 등 장비는 1082대 투입됐다. 주택·상가시설 등 침수된 시설 393개소에 대해선 5948톤의 배수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이번 태풍피해로 가동 중단사태가 발생된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대상으로는 현재까지 188만톤을 배수하고, 120톤 가량의 물로 장비들을 세척했다. 이흥교 소방청장은 "앞으로 소방당국은 피해복구가 완료돼 경북지역 주민의 일상 업무가 회복되는 그날까지 복구에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전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2022-09-14 15:2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