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BNK투자증권은 20일 LIG넥스원에 대해 향후 미국향 신궁 수출을 기대했다. 이상현 연구원은 "UAE향에 이어 사우디향 천궁-II 수주로 수주잔고가 대폭 상승한 가운데 향후 루마니아 대공망 방어 관련 유도무기, 미국향 신궁 수주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LIG넥스원의 천궁-II 관련 대규모 수주는 UAE향(2022년 1월 2.6조원)에 이어 사우디향(2024년 2월 4.3조원)으로도 성사됐다. 사우디향 수주 공시만 늦어졌을 뿐 수주는 2023년 4분기 반영됐다. 이 연구원은 "결과적으로 2023년말 수주잔고는 19.6조원으로 2022년 12.3조원대비 대폭 상승했다. 높아진 수주잔고는 2023년 매출액 기준 대략 8.5년치의 일감에 해당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년간 두자리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1분기말 기준으로도 수주잔고는 19.3조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추가적으로 기대하는 해외 수주는 루마니아다. 대공망 방어체계에 관심이 많아 유도무기 수주를 기대하고 있다"며 "미국에서 해외 비교시험(FCT: Foreign Comparative Test)사업으로 테스트 중에 있는 비궁(해안방어용 유도무기체계인 2.75인치 유도로켓)의 경우에도 수출 가시성이 높아진 것으로 평가된다. 성사시 미국으로 수출되는 최초의 국산무기체계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2023년 12월 8일 LIG넥스원은 2015년 설립된 미국 필라델피아 소재 로봇 개발 및 제조업체인 Ghost Robotics Corporation(GRC)의 지분 60%를 2.4억 달러(약 3150억원)에 인수한다고 공시했다. 취득 예정 일자는 6월 30일이다. 현재 승인 절차를 기다리고 있고 승인 이후 잔금 등 인수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GRC의 지분 60% 인수 추진으로 로보틱스 분야로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가 가능해졌다. GRC의 대표적인 모델 ‘비전60’은 경쟁사 로봇 대비 긴 배터리 지속시간, 부품 모듈화(다리는 5분내 교체 수리 가능, 배터리·센서 등은 15분내 교체수리 가능), 높은 IP 등급, 뛰어난 기동성 등의 장점을 보유해 군사적 활용에 가장 부합하는 사족보행 로봇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원은 "향후 국내 방산용 다족보행 로봇분야에서 LIG넥스원-GRC, 현대로템-레인보우로보틱스 등이 양강구도를 형성할 것"으로 봤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4-05-20 05:39:03[파이낸셜뉴스] 한화솔루션은 27일 열린 올해 1·4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지난해 미국향 태양광 모듈 판매 비율은 전체 생산분의 40~50%"라며 "2025년까지 전체 비율의 70%로 올리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는 지난해와 2025년의 중간치를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한화솔루션은 올해 1·4분기 영업이익에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관련 생산세액공제(AMPC) 금액을 229억원 반영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2023-04-27 14:24:57미래에셋증권은 씨에스윈드는 베트남법인의 미국 반덤핑 판결에서 9월 9일 최종으로 무혐의 판정을 받아 미국향 풍력타워 생산 및 공급 재개가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또 캐나다법인의 오타리온주 및 미주지역 등의 신규 공급 계약 체결 및 성장성 높은 유럽 해상풍력 구조물 시장 진출 등 중장기 수익원이 확보됐다. 이학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풍력시장은 경제성보다는 정부지원 및 규제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가 하락 영향도 미미할 것"이라며 "씨에스윈드의 업황 개선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2015-11-24 07:39:43신한금융투자는 6일 휴스틸에 대해 유정용 강관 및 송유관 매출의 80%가 미국향 수출이며 미국 설비 투자 지표가 개선됨에 따라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홍진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휴스틸은 국내 대표적인 강관 생산 업체로 전체 매출액의 50%를 차지하는 유정용 강관 및 송유관은 가장 수익성이 뛰어난 제품"이라며 "유정용 강관 및 송유관 매출의 80%가 미국향 수출인 덕분에 미국 설비 투자 지표가 개선됨에 따라 동사의 실적 개선도 기대된다"고 전했다. 홍 연구원은 "비용 측면에서 핵심변수는 열연 코일 가격으로 전체 매출원가의 8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라며 "국내 열연 설비 공급 과잉 심화로 중장기 열연 코일 가격은 하향 안정화 될 전망으로 동사의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진 공장 설비 투자가 작년 12월 마무리 됨에 따라 올해에는 설비 투자 효과가 온기에 반영될 전망으로 출하량은 전년대비 20% 증가한 60만톤으로 예상된다"며 "설비 투자에도 부채비율은 2012년말 기준 42%로 업종 평균 97%를 하회하고 연간 순이자비용은 29억원에 불과해 재무구조 역시 안정적"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토대로 배당성향이 높은 점도 긍정적"이라며 "2013년 예상 배 당금은 1000원이며, 전일 종가 기준 배당 수익률은 4.1%"라고 덧붙였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
2013-05-06 08:37:31[파이낸셜뉴스] 이수그룹 계열사 이수페타시스가 미국 통신사 합병에 따른 수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수페타시스에 따르면 최근 미국 3·4위 이동 통신사 ‘T모바일(T-Mobile)’과 ‘스프린트(Sprint)’ 합병 성사로 미국 이동 통신시장은 1위 버라이즌, 2위 AT&T, 3위 신생 합병 법인의 3강 체제로 재편됐다. 특히 미국 법무부 합병 승인 조건이 ‘6년 내 미국 인구 99% 사용 가능 5G(5세대)망 구축’인 만큼 3사는 차세대 5G 시장 선점을 위해 더욱 경쟁적으로 투자에 나설 전망이다. 이수페타시스는 주요 고객사가 미국 유선 통신장비 업체다. 또한 미국 현지법인을 통해 5G 통신 핵심 장비 MLB(고다층 인쇄회로기판, Multi Layer Board) 등 통신 장비용 PCB(인쇄 회로 기판, Printed Circuit Board)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어 현지 투자 수요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직접적인 수혜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이수페타시스 관계자는 “이수페타시스 고객사 중 전세계 네트워크 장비 분야 선도 기업 ‘주니퍼 네트웍스(Juniper Networks)’향 수주가 전년 대비 46%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과거 4G(4세대) 이동 통신망 구축기에도 실적 상승을 경험한 바 있어 이번 5G망 구축에도 기대감이 높다”고 말했다. 이수페타시스는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구글의 온라인 강의 플랫폼 ‘구글 클래스룸(Google Classroom)’ 데이터 트래픽 증가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증가하는 트래픽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구글은 다량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PCB 확충 등을 통해 데이터센터 투자를 늘리고 있다.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PCB 교체가 필수적이다. 이수페타시스는 네트워크 장비용 초고다층 PCB 전문 제조기업으로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제조기업에 초고다층 MLB를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미국 유선 통신 장비 업체이자 고객사인 ‘주니퍼 네트웍스’로부터 ‘TOP Direct Component Supplier’에 선정됐고, 2010년에는 20년 거래 파트너사인 ‘시스코(Cisco)’ 로부터 ‘최고 파트너상(Supplier of the year)’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map@fnnews.com 김정호 기자
2020-03-30 11:10:21한양증권은 27일 나이키와 H&M 그리고 워크웨어 1위 기업 칼하트 등에 스포츠 및 캐주얼 의류를 OEM 수출하는 국동에 대해 한양증권이 실적 모멘텀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양증권은 해외 고객사 수요 증가에 따른 증설효과로 2·4분기부터 실적 모멘텀이 강화될 것이라고 국동에 대한 추천 이유를 밝혔다. 지난해 매출 1974억원에 영업이익 106억원을 올린 국동은 기존 바이어들과 신규 바이어들의 요청에 따라 생산라인 확대에 들어갔다. 국동은 인도네시아 스마랑 공장에 모두 15개의 신규 생산라인 구축을 완료하고 6월부터 본격적인 상업생산에 진입했다. 신규 생산라인 확충으로 국동의 생산능력은 3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국동은 추가적인 생산라인 증설도 고려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경 인도네시아 바땅지역에 신규공장을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MLB를 생산하는 마제스틱, 파나틱스 등이 국동의 신규 바이어로 합세했고 글로벌 스포츠웨어 세계 2위로 올라선 언더아머도 샘플생산에서 넘어선 규모의 주요 바이어로 자리잡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난 4월 하나대투는 국동에 대해 신규 생산설비 확충에 따라 올해 최대 실적이 기대된다며 100% 무상증자 이전 기준 목표주가 1만7500원을 제시했다 kjw@fnnews.com 강재웅 기자
2017-06-27 10:38:06\r\r\r\r\r\r\r\r\r\r풍력타워 개발업체 씨에스윈드가 베트남 법인의 미국 향 타워에 대한 미국 상무성의 반덤핑 최종판정 결과 무혐의 판정을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씨에스윈드에 따르면 베트남 법인의 미국 향 풍력타워 반덤핑 관세 부과와 관련 미국 상무성이 지난 3월 9일 기존의 반덤핑 관세율을 기존 51.54%에서 0%로 내리도록 결정했던 덤핑 무혐의 예비 판정과 동일한 최종 판정을 내렸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2013년 1월 당사의 베트남 법인에서 생산 및 공급한 미국 향 풍력타워에 대해 반덤핑 관세 51.54%를 부과하는 판정을 내린 바 있다. 씨에스윈드는 이러한 판정에 불복해 연례 재심을 신청했으며, 미국 상무성은 2013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당사 베트남산 타워에 대한 재심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2015년 3월 9일에 덤핑 무혐의 예비 판정을 발표 후 8일(현지시간)에 예비 판정과 동일한 최종 판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지난 2012년 기준 씨에스윈드 베트남 법인의 연 간 풍력타워 대미 수출액이 약 1200억원에 달했지만 반덤핑 관세 부과 판정으로 2013년부터 대미 수출이 중단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최종 판정을 통해 씨에스윈드 베트남 법인의 미국 향 풍력타워 생산 및 판매가 재개될 예정이다. 미국 풍력시장은 전통적으로 씨에스윈드의 최대 시장이었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내 육상풍력발전 신규설치 용량은 총 13GW로 전망 된다. 특히 씨에스윈드의 미국 내 기존 최대시장인 텍사스주에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총 5.6GW의 신규 풍력발전단지 건설이 예정되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씨에스윈드의 베트남 법인의 실적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씨에스윈드 김성섭 대표는 "이번 최종 판정을 통해 지난 2013년부터 중단되었던 미국 향 수출이 재개되어 베트남 법인의 매출 향상이 전망된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며 "최근 유럽 해상풍력구조물(Offshore Foundation) 수주에 이어 금번 최종 판정에 따른 미국 풍력시장 재진입을 통해 베트남 법인은 물론 전사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고 전했다.sane@fnnews.com 박세인 기자
2015-09-10 10:23:59[파이낸셜뉴스] 고려아연은 국내 화학 제조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오는 10월 안티모니 50t을 미국에 수출한다고 9일 밝혔다. 온산제련소에서 아연·연 제련 시 발생한 부산물에서 안티모니를 회수해 국내 화학사에 공급하면 해당 기업이 이를 삼산화안티모니로 가공해 미국에 판매하는 구조다. 고려아연은 지난 6월과 8월에도 안티모니 잉곳 40t을 미국에 직접 수출한 바 있다. 안티모니는 탄약·방호 합금·방산 전자장비 등에 필수적으로 쓰이는 전략광물이다. 미국은 '에너지법 2020'과 '국가방위비축법'을 통해 안티모니를 전략자원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국 역시 '국가자원안보 특별법'에서 핵심광물로 지정하고 있다. 문제는 공급 편중이다. 지난 2023년 기준, 세계 안티모니 광산 생산의 58.8%를 중국이 차지했으며 미국도 수입의 76%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해 8월 중국이 수출 허가제를 도입한 데 이어 같은해 12월부터는 미국 수출도 통제하면서 글로벌 공급망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우방국들은 탈중국 공급망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안티모니를 생산하는 고려아연이 공급 다변화의 해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올해 미국향 안티모니 공급량이 100t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으며 내년에는 240t 이상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고려아연은 전략광물 게르마늄 생산을 통해 수출 확대에도 나선다. 최근 고려아연은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 경제사절단에 포함돼 록히드마틴과 게르마늄 공급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오는 2028년 상반기 생산을 목표로 수출처를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게르마늄은 적외선 렌즈, 열화상 장비 등에 쓰이는 전략자원으로 미국 역시 자국 전략비축 품목으로 관리 중이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내 유일의 전략광물 생산기지로서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에 필요한 역할을 충실히 해나갈 것"이라며 "이번 안티모니 수출은 단순한 수출을 넘어 글로벌 전략광물 허브로서 고려아연의 위상이 확대되고 있음을 방증한다"고 전했다. moving@fnnews.com 이동혁 기자
2025-09-09 15:23:26[파이낸셜뉴스] SNT에너지, SNT모티브가 미국 내 첫 통합 제조 거점을 만든다. 5940만달러를 투자, 과거 트리니티 마린 제품 공장을 개보수해 활용한다. 이를 위해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소재한 33만578㎡ 규모 부지 공장 인수를 완료했다. 2026년 상반기에 가동할 예정이다. 30일 조정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A/S 리드타임 단축이 있을 것이다. 걸프코스트 중 루이지애나에는 착공 및 승인 후 미착공 상태인 LNG 액화·수출 프로젝트가 40% 밀집돼 있다. 해당 권역 내 거점 확보는 선택이 아닌 필수에 가깝다"며 "납기 한번으로 끝나지 않고 고객의 운영 단계까지 동행하면서 점유율 상승을 도모하는 것이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장기적으로는 SNT에너지의 미국 포트폴리오가 LNG 액화 설비용 에어쿨러 중심에서 미국향 HRSG(배열회수보일러)·가스발전용 에어쿨러 확장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SNT에너지가 과거 미국 델탁, 지멘스 벤손과 기술 제휴를 통해 HRSG 설계·제작 역량을 축적해와서다. AI·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확대로 북미 가스발전 자본적지출(설비투자)이 늘어나는 구간에 진입했다는 것도 수요 증가를 예상할 수 있는 부분이다. 조 연구원은 "사우디 현지 자회사를 통해 중동 레퍼런스도 유지된다. 미주 거점 신설로 글로벌 양대 수요지인 걸프, 걸프코스트를 양쪽에서 커버하는 구조가 완성된다"고 말했다. SNT그룹은 공장 생산이 시작되면 SNT모티브는 모터 등의 자동차 부품을 미국 현지에서 만들어 납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봤다. SNT에너지는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필요한 에어쿨러와 복합화력 발전소에 필요한 HRSG의 생산 및 공급 체계를 현지화해 미국 내 고객 대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5-08-30 10:49:55국내 에스테틱·재생 바이오 시장의 쌍두마차인 휴젤과 파마리서치가 상반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보툴리눔 톡신·필러, 피부 재생물질 '피디알엔(PDRN)' 등 주력 제품군의 높은 글로벌 수요와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세를 기반으로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26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휴젤은 올해 2·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1103억원, 영업이익 567억원, 순이익 38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5.5%, 영업이익은 33.6% 늘어난 수치로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이다. 상반기 누적 매출은 2001억원, 영업이익은 956억원을 기록했다. 실적을 견인한 것은 보툴리눔 톡신과 히알루론산(HA) 필러다. 2·4분기 해외 매출은 전년보다 21% 늘어난 698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63%를 차지했다. 특히 보툴리눔 톡신 '보툴렉스(수출명 레티보)'는 61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0% 성장했다. 필러 부문 역시 아시아 태평양과 유럽 시장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며 34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여기에 화장품(웰라쥬, 바이리즌) 부문 매출은 136억원으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해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 성과도 확인됐다. 파마리서치의 경우 상반기 매출은 257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000억원을 넘어섰다. 2·4분기 매출 1406억원, 영업이익 559억원으로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 호실적 중심에는 PDRN 피부 재생 브랜드 '리쥬란'이 있다. 파마리서치는 올해 초부터 유럽 신규 진출과 미국향 판매 증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리쥬란은 이미 동·북유럽에서 판매 중이며, 서유럽 진입도 추진하고 있다. 올해 파마리서치는 연결 기준 매출 5600억원, 영업이익 240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0% 이상 늘어나 수익성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두 회사 모두 해외 매출 비중이 가파르게 확대되고 있다. 휴젤의 해외 매출 비중은 60%에 육박하며, 파마리서치는 상반기 기준 37.7%로 40%에 근접하고 있다. 최근 3년간 해외 매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는 "휴젤과 파마리서치 모두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가 강화되면서 국내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장기적 성장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해외 진출 전략을 강화하면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2025-08-26 18: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