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가 올해부터 미니태양광 설치비 지원 대상에 기존 공동주택에 단독주택을 추가하는 등 지원 사업을 확대한다. 또 자부담률을 30%에 20%로 하향 조정해 최소 9만원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했다. 9일 광주시에 따르면 미니태양광 보급 지원 사업은 '2045 탄소중립 전환 사회' 실현을 목표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미니태양광 설치 비용을 지원하는 것으로, 지난 2015년부터 추진해 지난해까지 총 5007세대에 설치비(30억원)를 지원했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지원 대상은 물론 인센티브를 확대해 추진한다. 기존에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지원됐지만 올해부터는 단독주택도 신청 가능하다. 자부담도 기존 30%에서 20%로 경감됐다. 또 기존 설치 세대에 추가 설치도 지원하는 등 인센티브도 확대됐다. 미니태양광(390~445W) 1개소 설치비는 84만~95만원으로, 광주시가 80%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즉, 신청가구는 20%(16만8000원~19만원)만 부담하면 된다. 단지 내 다수 세대가 참여할 경우 세대당 최대 10만원의 인센티브를 추가로 받을 수 있어 8~9%(6만8000원~9만원)의 자부담만으로도 설치할 수 있다. 현재 일반 4인 가구 기준 월평균 전기 사용량은 약 307㎾h(6만90원)로, 미니태양광을 설치할 경우 월 45㎾h 내외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900L 냉장고 1대 전기 소비량(약 46kwh/월)을 생산할 수 있는 정도로, 월 8000원을 절감하는 셈이다. 신청은 오는 11월 30일까지 광주시 누리집 '고시·공고'에 게시된 '2025년 광주시 미니태양광 보급 지원 사업 참여 세대 모집 공고'를 통해 광주시가 선정한 전문 참여(시공)업체 보급제품과 자부담 금액 등을 확인한 후 업체를 통해 선착순으로 신청하면 된다. 신청 자격은 단독주택의 경우 기존 또는 신축 주택의 소유자나 소유예정자여야 한다. 공동주택은 건축법상 공동주택으로 관리사무소 등 관리주체의 설치 동의를 받고, 발코니 및 경비실 옥상에 미니태양광을 설치할 수 있는 우수한 일조권 장소를 보유한 시민이어야 한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참여(시공)업체로 문의하면 된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5-04-09 10:43:17[파이낸셜뉴스] 서울 관악구가 7일 단독주택 50곳에 올해 '주택형 태양광 미니발전소' 설치비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집에서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해 에너지 자립 실현과 전기요금 부담과 온실가스 발생량을 모두 줄이겠다는 취지다. 3㎾ 기준 총 설치 비용 493만1000원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을 포함 총 279만7000원을 보조한다. 주민이 실제로 부담하는 금액은 213만4000원이다. 주택형 태양광 미니발전소는 옥상, 지붕 등에 설치하는 소규모 발전설비로 월평균 288㎾h의 전기를 생산한다. 미니발전소에서 나온 전기를 우선 사용하고, 초과해 활용하는 전기만 한국전력공사에서 공급 받아 부담하는 방식이다. 관악구는 4인 가족 연간 평균 전기 사용량을 기준으로 약 60만원의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역시 연간 1.52tCO2eq의 저감 효과가 기대된다. 설치비 지원을 희망하는 주민은 구청 녹색환경과로 문의한 뒤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홈페이지에서 '그린홈'을 눌러 신청하면 된다. 한국에너지공단의 사업 승인 이후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고, 관악구청 녹색환경과로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해 보조금 지원서 등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단 단독주택 소유자가 자가발전용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만 지원이 가능하다. 박준희 구청장은 "태양광 미니발전소를 통해 전기요금 부담을 줄이고 친환경 에너지 생산에도 동참할 수 있다"며 많은 참여를 당부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5-04-07 14:46:07【파이낸셜뉴스 광명=장충식 기자】 경기도 광명시는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에 미니태양광 설치비 90%를 최대 175가구에 지원한다고 12일 밝혔다. 설치 단가의 90%(경기도 40%, 광명시 50%)를 지원하며 자부담률은 10%이다. 이는 도내 미니태양광 보급지원 사업을 진행하는 23개 시·군 중 지원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다른 지자체의 경우 일반적으로 80%를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의 베란다 난간이나 옥상에 미니태양광을 설치해 가정 내 필요 전력을 생산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실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 미니태양광을 설치하면 세대별 전기요금을 월 8천 원에서 1만 9천 원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 혜택도 얻을 수 있다. 설치 가능한 미니태양광 용량은 390W, 445W, 780W, 890W 등으로, 설치 자부담비는 용량별 최소 8만4000원부터 최대 20만원이다. 올해 12월 12일까지 선착순 170여 가구를 모집하며,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광명시청 누리집 고시공고 게시판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 후 열린시민청 2층 탄소중립과로 방문하거나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사업 신청 상담은 탄소중립과나 참여기업 솔라테라스㈜, ㈜두리에너지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박승원 시장은 "이번 지원 사업으로 시민들이 신재생에너지를 쉽게 활용하고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했다"며 "앞으로도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
2025-03-12 11:23:11【파이낸셜뉴스 성남=장충식 기자】 경기도 성남시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미니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공동·단독주택 소유자나 세입자에게 설치비 90%를 지원한다고 2일 밝혔다. 이를 위해 9500만원을 투입하며 자금소진 때까지 200가구를 지원한다. 미니태양광은 베란다나 옥상에 모듈 전지판을 설치해 생산된 전기를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발전시설이다. 설치비용은 난간 거치형, 건물 옥상 앵커형 등 설치 방식과 용량에 따라 60만~70만원(330~355W 모듈 1장 기준)이다. 설치비 90%를 지원받으면 자부담금 6만~7만원으로 '내 집을 미니태양광 발전소'로 만들 수 있다. 가구당 태양광 발전설비 용량 800W까지 설치를 지원해 330~355W 모듈 2장을 보조금으로 설치할 수 있다. 용량 355W의 미니태양광 발전설비는 한 달에 34㎾(킬로와트)의 전기를 생산한다. 이는 900ℓ짜리 양문형 냉장고를 한 달 동안 가동할 수 있는 전력이다. 전기요금으로 환산하면 한 달에 7000원씩 연간 8만4000원을 절감할 수 있다. 설치를 희망하는 가구는 성남시 홈페이지(일반공고 제2022-1151호)에 게시된 업체와 태양광 모델을 선택·계약한 뒤 지원 신청서를 시청 5층 기후에너지과에 직접 내거나 등기우편으로 보내면 된다. 시는 지난해 공동·단독주택 215가구에 1억1500만원을 보조해 325~330W 용량의 미니태양광 설치를 지원했다.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
2022-05-02 10:23:31【파이낸셜뉴스 광명=강근주 기자】 광명시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가정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도록 공동주택 및 단독주택을 대상으로 미니태양광 보조금 지원 사업을 시작한다. 이번 사업은 오는 25일부터 주택 약 300가구를 선착순 모집해 총 1억7285만원(도비 6300만원, 시비 1억985만원)의 예산 내에서 지원하며,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 마감될 수 있다. 미니태양광 설치 용량은 330~710W로 2021년까지 이미 설치한 가구는 355W까지 추가 설치할 수 있으며, 보조금은 용량별 설치비 90%까지 지원된다. 미니태양광 710W를 설치할 경우 발전용량은 한 달에 75kWh 정도이며, 이는 양문형 냉장고 1대와 스텐드형 김치냉장고 1대를 돌릴 수 있는 전력이다. 가정용 전기요금은 누진제라 사용 전력량이 많아질수록 전기요금 부담이 늘어나는데 월평균 전기를 300kWh~500kWh 사용하는 가구가 미니태양광을 설치할 경우 월 1만5000~2만원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가구 자부담은 업체별로 제품 용량-사양 등에 따라 6만원부터 13만원까지 차이가 있으니, 사전에 면밀히 비교-검토한 뒤 신청해야 한다. 지원사업 내용 및 업체 정보는 광명시 누리집(gm.go.kr) 고시공고란을 참고하면 된다. 광명시는 올해 보급사업 추진을 위해 5개 참여 기업을 선정했으며, 참여를 원하는 시민은 업체에 직접 연락해 신청하면 업체가 광명시에 신청서 제출 및 보조금 신청까지 일괄적으로 대행 처리한다. 박민관 기후에너지과장은 24일 “당면한 기후위기 극복과 에너지 복지 실현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지속 추진해 에너지 자립도시 조성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2016년부터 총 923가구에 299kW 규모의 미니태양광 발전소 보급을 지원해왔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2022-04-24 12:35:22【파이낸셜뉴스 화성=장충식 기자】 경기도 화성시는 관내 공동주택 경비실에 700W이하 미니태양광 설비의 설치를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참여할 공동주택 경비실 24개소를 모집한다고 18일 밝혔다. 화성시가 실시하는 경비실 미니태양광 설비지원 사업은 공동주택 경비실에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미니태양광 설비의 설치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총 설치비의 90%를 지원한다. 미니태양광 설비의 설치비는 700W 기준 140만7000원이며, 설치를 희망하는 공동주택에 126만6300원을 지원하게 된다. 공동주택 경비실 미니태양광은 650W(325W, 2장) 설치 시 벽걸이 에어컨(6평형)을 1일 3.5시간 가동이 가능하다. 설치를 희망하는 관내 공동주택은 오는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입주자대표회의 의결 등 주민의견 수렴 절차를 사전에 완료하고 입주자대표 명의로 참여기업을 통해 신청 서류를 접수하면 된다. 화성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경비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을 통한 에너지 복지 실현은 물론 공용 전기요금 절감 효과 및 분산형 전원 확대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철 신재생에너지과장은 “에너지 취약시설 지원을 통해 에너지 복지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확대되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이뤄지길 기대한다”며 “화성시의 에너지 복지 실현과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
2021-05-18 11:20:46【파이낸셜뉴스 성남=장충식 기자】 경기도 성남시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325~660W의 미니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공동·단독주택 소유자나 세입자에게 설치비 90%를 지원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를 위해 9768만원을 투입하며 자금소진 때까지 180가구를 지원한다. 미니태양광은 베란다나 옥상에 모듈 전지판을 설치해 생산된 전기를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발전시설이다. 미니태양광 설치비용은 난간 거치형, 건물 옥상 앵커형 등 설치 방식과 용량에 따라 51만6000원~63만원(325~330W 모듈 1장 기준)이다. 이 중 46만4400원~56만7000원을 성남시가 지원해 자부담금은 5만1600원~6만3000원이다. 미니 태양광 발전시설은 자부담금 5만1600원의 용량 330W급 설치를 기준으로 한 달에 최대 35㎾의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 이는 900ℓ짜리 양문형 냉장고를 한 달 동안 가동할 수 있는 전력이며, 월 최대 7000원의 전기 요금을 아낄 수 있다. 올해 시는 용량 700W까지 지원해 모듈 2장(325~330W)을 설치하면 그 효과를 2배 높인다. 설치를 희망하는 가구는 성남시 홈페이지(새소식)에 게시된 업체와 태양광 모델을 선택·계약한 뒤 지원 신청서를 시청 5층 기후에너지과에 직접 내거나 등기우편으로 보내면 된다. 성남시 기후에너지과장은 “기후 변화 위기 대응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시민들의 설치비 부담을 줄이는 미니태양광 보급지원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지난해 공동·단독주택 184가구에 9661만원을 보조해 325~335W급 미니태양광 설치를 지원했다.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
2021-05-12 12:19:59【목포=황태종기자】전남 목포시가 공동주택 미니태양광 설치비를 지원한다. 15일 시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일환으로 '2018년 공동주택 미니태양광 발전설비 보급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260W 미니태양광 설치비 일부를 지원하는 것으로, 가구 당 한달 평균 5000~6000원의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시는 올해 3억6300만원을 확보해 576가구에 지원할 계획이다. 가구 당 미니태양광 설치비 76만원 중 보조금 63만원을 지원함에 따라 신청자는 13만원만 부담하면 미니태양광을 설치할 수 있다. 신청자격은 공동주택 거주자로 10가구 이상 공동신청 세대를 우선으로 하며, 시는 사업비가 소진될 때까지 선착순 접수한다. 신청을 희망하는 가구는 신청서를 작성해 관리사무소에 제출하고, 관리사무소장은 단지별로 취합해 시에 오는 7월 31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18-06-15 11:42:43서울시는 한 달 전기요금을 가구당 최고 1만3000원까지 절약할 수 있는 미니태양광 시설 설치비를 8000가구에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이에 따라 오는 6월 20일까지 베란다가 남향인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각 구청에서 시설 지원비용 신청을 접수한다. 미니태양광은 아파트 베란다 난간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해 하루 3시간 정도 가동해 전기를 생산하고, 플러그를 통해 가정에서 쓸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발전용량 250W짜리 미니태양광을 설치하면 900L짜리 양문형 냉장고를 1년 내내 가동할 수 있는 양의 전력(약 292㎾h)을 생산할 수 있게 돼 한 달 평균 최대 1만3310원의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서울시는 설치비가 65만원 이하인 200∼210W 모듈과 68만원 이하인 250∼260W 모듈에 대해 설치비의 50% 내에서 최대 30만원까지 지원한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2014-05-18 17:38:25서울시는 한 달 전기요금을 1만3000원까지 절약할 수 있는 미니태양광 시설 설치비를 8000 가구에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미니태양광은 아파트 베란다 난간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해 하루 3시간 정도 가동해 전기를 생산하고, 플러그를 통해 가정에서 쓸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발전용량 250W짜리 미니태양광을 설치하면 900ℓ짜리 양문형 냉장고를 일 년 내내 가동할 수 있는 만큼의 전기(약 292kWh)를 생산할 수 있고, 한 달 평균 최대 1만3310원의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는 설치비가 65만원 이하인 200∼210W 모듈과 68만원 이하인 250∼260W 모듈에 대해 설치비의 50% 내에서 최대 30만원까지 지원한다. 시는 지난해 50세대에 미니태양광을 시범 설치한 결과 최소 30개월(3년)에서 최대 80개월(7년) 정도면 초기 설치 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시내 아파트 중 베란다가 남향인 아파트에 사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설치비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다. 신청은 구청에서 하면 되고, 마감일은 내달 20일이다. 시는 미니태양광 보급 사업에 참여할 기업과 제품도 30일까지 모집한다. 참여 기업은 설치 제품에 대해 5년간 무상 사후관리를 보장해야 하고, 생산물배상책임보험에도 가입돼 있어야 한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2014-05-18 12:2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