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에어프레미아는 화물사업의 다각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특수 화물 시장을 본격 공략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기존 ‘중국 S&A(Sea and Air, 통칭 C커머스) 물량’ 중심의 판매 구조에서 벗어나, 의약품, 기업물류, 신선식품 등 고부가가치 특수 화물 수송에 집중하면서다. 양대 국적 항공사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의약품 수송을 수행한 항공사다. 에어프레미아는 지난 4월말 의약품의 항공 운송 전문성과 우수성을 증명하는 국제 표준인증인 ‘CEIV pharma(Center of Excellence for Independent Validators in Pharmaceutical Logistics) 기준을 준수해 성공적으로 운송을 완료했다. 현재 CEIV Pharma 및 CEIV Fresh(신선식품) 인증 취득을 추진 중이다. 향후 ‘이글루(Igloo)’라 불리는 특수 운송 용기를 활용한 서비스 확대도 계획하고 있다. 에어프레미아는 미국 본사의 글로벌 물류플랫폼 기업과 협업을 시작해 E커머스 운송 프로세스를 단순화했다. 양극재, 휴대폰, 자동차부품 등 미국 시장으로 수출되는 일반 항공로 화물의 품목 다변화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에어프레미아는 지난 1월 자체 화물 영업을 개시했다. 4월 기준 미국도착 화물구성에서 C커머스 물량 50.9%, 미주 커머스 물량 9.5%, 휴대폰, 자동차부품 등 고부가치 물량 29%, 신선식품 3.3%, 의약품 등 특수화물 5.2%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C커머스 물량 비중이 85%에 달한 것과 비교해 화물 포트폴리오가 크게 다양화된 것을 보여준다. 화물사업 고도화를 위한 조직 개편도 단행했다. 2024년 하반기부터 조직을 전면 개편해 2025년 1월부로 ‘화물사업팀’, ‘화물영업팀’, ‘화물운송팀’으로 세분화해 운영하고 있다. 급변하는 글로벌 수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인력 확충 및 IT 시스템 강화에도 주력하고 있다. 현재 에어프레미아는 LA, 뉴욕, 샌프란시스코, 방콕, 나리타, 다낭, 홍콩 등 7개 주요 노선에 취항 중이다. 인터라인 네트워크를 포함해 총 90여 개 노선에서 글로벌 화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오는 7월에는 하와이 신규 취항을 통해 미주 및 태평양 노선의 화물 운송 역량도 한층 확대할 예정이다. 에어프레미아 관계자는 “화물사업 다변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및 특수 화물 시장에서의 입지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노선 전략, 조직 역량, 화물 인프라 혁신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화물사업 모델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5-05-09 08:46:18[파이낸셜뉴스] 에어프레미아는 현재 보유한 항공기(B787-9) 7대 가운데 6대의 운항을 재개했다고 7일 밝혔다. HL8388 항공기는 기체 수리 문제로 지난 3월 말 운항이 중단된 바 있다. 이 기체는 지난달 30일부터 인천발 다낭 노선에 투입돼 정상 운행 중이다. 남은 HL8387도 이달 말까지 수리를 마치고 내달부터는 정상 운항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에어프레미아는 글로벌 공급망 붕괴로 수리용 엔진 수급이 지연된 데 따라 올해 들어 한 때 항공기 7대 중 3대의 운항이 중단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에어프레미아는 올해 1분기 항공기 정비로 제시간에 출발·도착하지 못한 비율(정비 지연율)이 작년 동기의 약 4배인 7.46%까지 치솟기도 했다. 에어프레미아는 영국 롤스로이스사로부터 B787-9 전용 예비 엔진인 '트렌트 1000 TEN'을 도입했다. 오는 3·4분기 이내에 예비엔진을 추가 구매해 연말까지 들여올 항공기 2대를 포함, 총 9대의 항공기에 4기의 예비엔진을 구비한다는 계획이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5-05-07 10:35:53[파이낸셜뉴스] 장거리 하이브리드 항공사 에어프레미아는 온라인 면세점 서비스를 공식 오픈했다고 2일 밝혔다. 에어프레미아 온라인 면세점은 국제선 탑승객을 대상으로 간편하게 면세품을 구매하고, 기내에서 직접 수령할 수 있는 서비스다. 고객은 사전에 여유롭게 면세품을 주문하고, 비행 중 상품을 수령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쾌적한 쇼핑 경험을 누릴 수 있다. 온라인 면세점 서비스는 모든 항공편에서 이용 가능하며, 항공편 출발 72시간(일본 노선은 48시간) 전까지 주문할 수 있다. 온라인 면세점 오픈을 기념해 5월 인기주류 초특가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또 ‘조니워커 블루 뱀띠 에디션’을 한정수량(300개)으로 판매한다.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 면세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에어프레미아 관계자는 “기존 면세 쇼핑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탑승객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온라인 면세점을 오픈하게 됐다”며 “홈페이지에서 면세품을 구매하고, 기내에서 편리하게 상품을 받을 수 있어 고객 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5-05-02 15:24:03[파이낸셜뉴스] 국내 최대 호텔·리조트 기업 대명소노그룹 소노인터내셔널은 JC파트너스와 공동으로 보유한 제이씨에비에이션제1호 유한회사(JC SPC)의 에어프레미아 지분 전량을 타이어뱅크 측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계약의 지분 매각 단가는 주당 1900원이다. JC SPC가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전체를 매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앞서 소노인터내셔널과 JC파트너스는 각각 콜옵션과 풋옵션 권리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양측 모두 옵션 실행을 유예하고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최종 거래 종결일은 2025년 9월 말로 예정돼 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이번 거래를 통해 항공 사업 포트폴리오 정비에 나선다. 최근 티웨이항공 인수 계약을 체결한 소노인터내셔널은 국내 항공사 중 대형항공사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미주 노선을 운항하고 있는 장점을 가진 에어프레미아의 인수에 관심이 있었다. 티웨이항공도 오는 7월 밴쿠버 노선 신규 취항을 시작으로 향후 미주 노선 확대 운항도 가능하기 때문에, 티웨이항공의 항공 사업 운영과 중장기 성장 전략에 집중하기 위해 에어프레미아의 지분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티웨이항공은 국내 및 아시아를 비롯해 파리, 로마 등 유럽 주요 지역까지 안정적인 글로벌 운항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자사가 보유한 국내외 호텔·리조트 인프라와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시너지 전략을 추진할 예정이다. 소노인터내셔널은 “에어프레미아 지분 매각은 전략적인 선택으로, 향후 티웨이항공을 중심으로 더욱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운영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며 “급변하는 항공 시장 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하면서도 내실 있는 성장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5-05-02 10:50:37대명소노그룹 소노인터내셔널이 JC파트너스와 공동 보유하고 있는 에어프레미아 지분 전량을 타이어뱅크 측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계약의 지분 매각 단가는 주당 1900원으로, JC파트너스가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전체를 매각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앞서 소노인터내셔널과 JC파트너스는 각각 콜옵션과 풋옵션 권리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양측 모두 옵션 실행을 유예하고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이번 거래를 통해 항공사업 포트폴리오 정비에 본격 나선다는 계획이다. 소노인터내셔널은 당초 미주 노선을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인수에 관심을 가졌으나, 티웨이항공이 7월 밴쿠버 노선 신규 취항을 시작으로 향후 미주 노선 확대에 나설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됨에 따라 에어프레미아 지분 전량 매각을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에어프레미아 지분 매각은 전략적인 선택으로, 향후 티웨이항공을 중심으로 더욱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운영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며 “급변하는 항공시장 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하면서도 내실 있는 성장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jsm64@fnnews.com 정순민 기자
2025-05-02 10:36:17[파이낸셜뉴스] 타이어뱅크 그룹은 에어프레미아의 지분 70% 이상을 확보했다고 2일 밝혔다. 지분 약 48% 보유한 후 JC파트너스 SPC(특수목적회사)와 소노가 보유하던 지분 22%를 추가로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면서다. 타이어뱅크 그룹은 2018년 에어프레미아 설립 초기부터 간접 투자와 직접 투자를 병행하며 항공사의 성장을 꾸준히 지원해왔다고 설명했다. 지속적인 지분 확보를 통해 약 48%의 지분을 보유 및 유지해왔다고 밝혔다. 타이어뱅크 그룹은 에어프레미아는 창업 이후 여러 경영적 난관과 변화의 시기를 겪고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유례없는 위기 속에서도 좌초되지 않고 꿋꿋이 버텨냈다고 평가했다. 항공 산업에 대한 신뢰와 에어프레미아에 대한 확신으로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갔다는 설명이다. 타이어뱅크 그룹은 "항공사는 한 나라의 품격을 대표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라며 "에어프레미아는 앞으로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고품격 항공사로 도약해 세계 속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5-05-02 09:38:05[파이낸셜뉴스] 타이어뱅크가 하이브리드 항공사(HSC) 에어프레미아의 새주인이 됐다. 타이어뱅크측은 JC파트너스-소노가 확보한 지분 22%를 인수, 경영권 지분 약 65%를 확보한다.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측과 서준혁 대명소노그룹 회장간 경영권 경쟁이 일단락되는 모습이다. 소노측은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만큼 티웨이항공에 집중하는 것으로 보인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타이어뱅크측과 AP홀딩스는 사모펀드(PEF) 운용사 JC파트너스와 소노가 보유한 지분 22%를 인수, 경영권 지분 약 70%를 확보한다. AP홀딩스는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의 자녀들이 지배하고 있다. 당초 에어프레미아를 지배하는 이 특수목적회사(SPC) 지분 관련 JC파트너스와 소노는 각각 풋옵션, 콜옵션을 가지고 있어 이들의 동의 없이는 타이어뱅크측의 인수가 어려웠다. JC파트너스와 소노는 타이어뱅크측에 주당 1900원에 매각키로 결정, 경영권 경쟁이 끝나게 됐다. JC파트너스와 소노가 제시한 에어프레미아 딜(거래) 종료일은 오는 9월 말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타이어뱅크는 계약금 200억원 납입도 완료했다. 이에 따라 JC파트너스와 소노는 각각 풋옵션, 콜옵션 행사를 유예하고 지분 매각전까지 에어프레미아를 공동경영하기로 했다. 앞서 소노인터내셔널은 JC파트너스의 특수목적법인(SPC) ‘JC에비에이션1호’를 통해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16.9% 중 절반, JC파트너스의 우호 지분 3.1% 중 약 80%를 합친 지분을 인수했다. JC파트너스가 보유중인 에어프레미아 지분 22% 가운데 절반인 11%에 해당되는 규모다. 약 537억원에 거래다. 소노는 2025년 6월부터 JC파트너스 SPC의 잔여지분 관련 콜옵션, JC파트너스는 풋옵션을 보유하고 있다. JC파트너스는 2021년 522억원을 에어프레미아에 투자, 지분 약 55.2%를 확보했다. 2022년 유상증자 311억원 규모로 참여, 누적 기준 833억원을 투자했다. 유상증자 후 JC파트너스의 에어프레미아 지분율은 약 56.7%였다. 2022년 12월 도쿄 정기편 취항에 성공하고, 월 기준 영업흑자도 달성한 바 있다. 이후 JC파트너스는 AP홀딩스에 에어프레미아 지분 약 21.4%를 566억원(주당 900원)에 매각했다. 2024년 3월에 약 13.3%를 624억원(주당 1600억원)에 추가 매각했다. 이후 AP홀딩스의 에어프레미아 지분율은 약 43.7%다. 업계 관계자는 "이달부터 타이어뱅크측인 AP홀딩스는 JC파트너스 주도 SPC 지분에 대한 우선매수제안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JC파트너스-소노의 비토가 가능해 이들과 협상하는 것이 중요했다"며 "서준혁 회장이 티웨이항공에 집중하면서 협상에 진척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김경아 기자
2025-05-02 07:54:03[파이낸셜뉴스] 서울 강북구 미아동의 한 마트에서 흉기를 휘둘러 1명을 살해하고 1명을 다치게 한 혐의를 받는 김성진(32)이 검찰에 넘겨졌다. 1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 강북경찰서는 김씨를 살인 및 살인미수 혐의로 이날 오전 구속 송치했다. 김씨는 지난달 22일 오후 6시20분께 미아역 인근 마트 내부에서 일면식이 없는 종업원과 행인을 흉기로 찔러 현행범 체포됐다. 이 사고로 마트 직원인 40대 여성이 다쳤고, 마트 손님으로 들렀던 60대 여성이 숨졌다. 인근 정형외과에 입원 중이던 김씨는 환자복을 입은 채 범행을 저질렀다. 범행 직후에는 인근 골목에서 태연하게 담배를 피우며 자진 신고하는 기행을 벌였다. 김씨는 범행 직전 마트에서 술 1ℓ를 마신 뒤 진열대에 있는 흉기 포장지를 뜯어 피해자들을 공격했다. 사용한 흉기는 가게 앞 매대에 진열된 과자 사이에 두고 자리를 떴다. 서울북부지법 형사10단독(최기원 판사)은 지난달 24일 도망할 염려가 있다며 김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경찰은 김씨의 휴대전화 포렌식 결과를 분석하고 프로파일러를 투입해 김씨의 정신질환 여부와 범행동기 등을 조사하고 있다. 김씨는 마약류 간이시약 검사에서는 음성 판정을 받았다.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정밀감정을 의뢰했다. 서울경찰청은 지난달 29일 "범행의 잔인성, 피해의 중대성이 인정되고 범행의 증거가 충분하다. 범죄 예방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해 신상 공개가 필요하다"며 김씨의 얼굴과 이름, 나이를 공개했다. jyseo@fnnews.com 서지윤 기자
2025-05-01 08:53:57[파이낸셜뉴스] 서울 강북구 미아동의 한 마트에서 흉기를 휘둘러 1명을 살해하고 1명을 다치게 한 혐의를 받는 김성진(32)이 검찰에 넘겨진다. 30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 강북경찰서는 김씨를 살인·살인미수 혐의로 내달 1일 구속 송치할 예정이다. 김씨는 지난 22일 오후 6시20분께 미아역 인근 마트 내부에서 일면식이 없는 종업원과 행인을 흉기로 찔러 현행범 체포됐다. 이 사고로 마트 직원인 40대 여성이 다쳤고, 마트 손님으로 들렀던 60대 여성이 숨졌다. 인근 정형외과에 입원 중이던 김씨는 환자복을 입은 채 범행을 저질렀다. 범행 직후에는 인근 골목에서 태연하게 담배를 피우며 자진 신고하는 기행을 벌였다. 김씨는 범행 직전 마트에서 술 1ℓ를 마신 뒤 진열대에 있는 흉기 포장지를 뜯어 피해자들을 공격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용한 흉기는 가게 앞 매대에 진열된 과자 사이에 두고 자리를 떴다. 마약류 간이시약 검사에서는 음성 판정을 받았다. 서울북부지법 형사10단독(최기원 판사)은 지난 24일 도망할 염려가 있다며 김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서울경찰청은 전날 "범행의 잔인성, 피해의 중대성이 인정되고 범행의 증거가 충분하다. 범죄 예방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해 신상 공개가 필요하다"며 김씨의 얼굴과 이름, 나이를 공개했다. jyseo@fnnews.com 서지윤 기자
2025-04-30 14:17:59[파이낸셜뉴스] 지난 22일 오후 서울 강북구 미아동의 한 마트에서 흉기를 휘둘러 1명을 살해하고 1명을 다치게 한 혐의를 받는 피의자 김성진(32)의 신상이 공개됐다. 29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경찰청은 이날 신상정보공개심의위원회를 열고 김씨의 이름과 나이, 사진 등을 서울경찰청 홈페이지에 30일간 공개하기로 했다. 경찰은 "범행의 잔인성 및 피해의 중대성 인정되고, 범행의 증거가 충분하며, 범죄 예방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해 신상정보를 공개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김씨 측은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씨의 신상은 다음 달 29일까지 서울경찰청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김씨는 지난 22일 오후 6시20분께 서울 강북구 미아역 인근 마트 내부에서 일면식이 없는 종업원과 행인을 흉기로 찔러 현행범 체포됐다. 이 사고로 마트 직원인 40대 여성이 다쳤고, 이곳을 지나가던 60대 여성 행인이 숨졌다. 인근 정형외과에 입원 중이던 김씨는 환자복을 입은 채 범행을 저질렀다. 범행 직후 옆 골목에서 태연하게 담배를 피우며 자진 신고했다. 김씨는 범행 직전 마트에서 술 1ℓ를 마셨고, 진열대에 있는 흉기 포장지를 뜯어 피해자들을 공격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용한 흉기는 가게 앞 매대에 진열된 과자 사이에 두고 자리를 떴다. 마약류 간이시약 검사에서는 음성 판정을 받았다. 서울북부지법 형사10단독(최기원 판사)은 지난 24일 도망할 염려가 있다며 김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jyseo@fnnews.com 서지윤 기자
2025-04-29 19: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