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막대한 유산을 상속받고도 검소한 삶을 살아가는 억만장자 미치 퍼듀(84)의 삶이 화제가 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지 포춘은 두 개의 미국 대기업으로부터 막대한 유산을 물려받은 퍼듀의 삶을 소개했다. 세계적인 호텔 체인 '쉐라톤 호텔'을 창립한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26세 때 아버지의 사망으로 형제·자매들과 함께 회사의 지분을 상속받았다. 퍼듀 가문이 운영하는 쉐라톤 호텔은 약 122억 달러(약 16조60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뿐만 아니라 퍼듀는 미국 최대 규모 닭고기 생산업체 '퍼듀 팜스'의 프랭크 퍼듀 회장과 결혼했고, 남편이 사망한 뒤 또 하나의 거대 유산을 물려받았다. 퍼듀 팜스는 지난해 100억 달러(약 13조6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바 있다. 억만장자로 불릴 만한 재산을 보유하고 있으나, 퍼듀는 화려한 생활을 즐기는 대신 검소한 생활을 선택했다. "헨더슨 가문과 퍼듀 가문 모두 사치를 권하지 않았다. 명품 옷을 입는다고 점수를 따는 게 아니었다"고 말한 퍼듀는 아파트에 살면서 헌 신발을 고쳐 신고 지하철을 타고 다니며, 비행기를 탈 때도 이코노미석을 이용한다. “전용기만 타고 다니면 세상 돌아가는 걸 어떻게 알 수 있겠나"는 것이 퍼듀의 주장이다. 퍼듀는 일찍부터 남다른 행보를 보여왔다.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2022년부터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취재했고, 세상을 떠난 남편에게 받은 120만 달러(약 16억3000만원) 상당의 약혼반지를 팔아 전쟁 피해자를 위한 인도주의 기금에 기부하기도 했다. 현재 퍼듀는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자를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트라우마 치료 시스템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퍼듀는 "받기만 하는 삶에는 공허함이 있지만, 주는 삶엔 끝없는 기쁨이 있다"며 "행복해지고 싶다면 누군가를 위해 뭘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라. 불행해지고 싶다면 세상이 내게 뭘 해줘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라"고 자신의 삶의 철학을 전했다. bng@fnnews.com 김희선 기자
2025-06-18 07:18:40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올해의 최고 지도자로 선정됐다. 2011년 스티브 잡스 사망 이후 그의 빈자리를 대신해 애플의 혁신을 추구, 기업가치를 높인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26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지 포춘은 사회 각 분야에서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한 지도자 50인을 선정, 발표했다. 이날 포춘은 아이폰6의 성공을 이끌고 애플페이, 애플워치 등 신제품을 끊임없이 내놓은 쿡 CEO를 올해 최고의 지도자 1위로 선정했다. 2위에는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뽑혔다. 유럽의 경기침체 탈출을 위해 양적완화(QE) 등 경기부양책을 밀어붙인 리더십이 부각됐다.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이 3위에 올랐다. 부정·부패와의 전쟁을 선언한 이후 국가 개혁에 나선 그의 지도력이 인정받았다. 지난해 1위였던 프란치스코 교황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각각 4,5위를 차지했다. 또 미국의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 국경 없는 의사회 회장 조앤 리우 등이 뒤를 이었다. '우산 혁명'으로 불렸던 홍콩의 민주화 시위 학생 대표 조슈아 웡은 10위에 올랐다. 이밖에 빌 게이츠 부부가 18위, 엘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가 23위, 페이스북 최고경영자인 마크 저커버그가 25위, 제프 베조스 아마존 창업자가 27위, 레이 쥔 샤오미 설립자가 29위를 차지했다. 한국인은 지도자 50인에 한 명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한편, 쿡 CEO는 최근 포춘과 인터뷰에서 "현재 10살인 조카의 교육을 마치면 나의 재산을 모두 기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단순히 수표를 써주는 것이 아니다. 그 이상으로 좀 더 체계적인 자선 방식을 찾겠다"고 했다. 다만 재산을 어디에, 어떤 방식으로 기부할지는 밝히지 않았다. 쿡 CEO는 현재 재산이 7억8500만달러(약 8667억원) 규모로 포춘은 추산했다. 1억2000만달러 어치의 애플 주식과 당장에 현금화할 수 없는 제한부 주식 6억6500만 달러 어치를 보유하고 있다. 다음은 포춘이 선정한 올해의 최고 지도자 50인 명단이다. <올해의 최고 지도자 50인> 1 팀 쿡 애플 CEO 2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 총재 3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4 프란치스코 교황 5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6 테일러 스위프트 팝 스타 7 조앤 리우 국경없는 의사회 회장 8 존 로버츠 미국 대법원장 9 메리 바라 제너럴모터스(GM) CEO 10 조슈아 웡 홍콩 민주화 운동 학생대표 11 존에타 엘지, 드레이 맥 케슨 미국 퍼거슨시 비폭력시위 운동 12 제레미 파라 웰컴 트러스트 이사 13 제임스 코미 미국 연방수사국(FBI) 국장 14 아이 젠 푸 시민운동가, 전국가사노동자연대 15 마크 카니 영국은행 총재 16 엘렌 존슨 설리프 라이베리아 대통령 17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회장 겸 CEO 18 빌, 멜린다 게이츠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 설립자 19 피트 플래이트 전 보스턴대학 야구선수(루게릭병 환자로 아이스버킷 도전) 20 마이크 더간, 케빈 오르 디트로이트 시장, 비상재정담당관 21 헬레나 모리세이 뉴턴 인베스트먼트 CEO 22 베아트리체 음테트와 변호사(짐바브웨 인권 운동가) 23 엘론 머스크 테슬라, 스페이스엑스 창업자 24 트리 리즈마하리니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시장 25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설립자 겸 CEO 26 야오밍 동물 권리 운동가(전 NBA 스타) 27 제프 베조스 아마존 설립자 겸 CEO 28 카일라시 사티야티 바차판 바차오 안돌란(아동인권 비정부기구) 설립자 29 레이 쥔 샤오미 테크 설립자 30 바얀 마흐무드 알 자흐란 사우디아라비아 변호사 31 르브론 제임스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32 마크 베르톨리니 애트나 CEO 33 응고지 오콘조 이웰라 나이지리아 재무장관 34 라즈 판자비 라스트마일헬스(비영리 보건의료조직) 대표 35 윌리엄 맥레이븐 미국 특수전 사령부(US SOCOM) 사령관 36 캐롤린 마일 세이브 더 칠드런 대표 37 프랜시스 헤셀베인 프랜시스 헤셀베인 리더십연구소 대표 38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 39 안토니 파우치 국립 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NIAID) 이사 40 패트릭 아우아 Ashesi대학 설립자 41 미치 다니엘스 퍼듀 대학 총장 42 리처드 파즈두어 FDA 약물평가연구센터(CDER) 혈액학 및 종양부문 책임자 43 코트니 방가르트 프린스턴대 농구팀 코치 44 트래비스 칼라닉 우버 창업자 45 지미 팰론 NBC방송 더 투나잇 쇼 진행자 46 대니얼 바렌보임 베를린 국립 오페라 음악감독 47 아담 실버 미국프로농구(NBA) 총재 48 리처드 리우 JD닷컴 설립자 49 존 맥키 홀푸드마켓(유기농 전문 유통업체) 설립자 50 아키라 미야와키 생태학자·전 요코하마국립대 명예교수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2015-03-27 1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