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국가유산청은 정부 관보를 통해 국가등록문화유산인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의 등록을 말소한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2008년 등록문화유산이 된 지 약 17년 만에 목록에서 제외하는 것이다.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는 1940년 일본에서 제작된 기관차다.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 공장에서 조립됐으며, 경부선 등 주요 간선에서 운행됐다가 1967년 디젤기관차의 등장으로 운행이 중단됐다. 현재 국립대전현충원 야외 호국철도기념관에 전시돼 있다. 등록 당시 국가유산청은 "1950년 7월 19일 북한군에 포위된 미 제24사단장 윌리엄 F. 딘 소장을 구출하기 위해 적진에 돌진하였던 기관차로 알려져 있다"고 밝혔다. 또 "적의 집중 포격으로 기관사 및 특공대원 대부분이 전사한 가슴 아픈 이력을 지니고 있는 유물로서 철도인의 숭고한 애국·희생정신을 상징"한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이런 설명을 놓고 사실 여부를 검증해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랐다. 일각에서는 실제 작전에 투입된 기관차가 다른 기관차라는 의견이 제기됐고 구출 작전이 아니라 보급품을 운송하는 데 쓰였다는 지적도 나오면서 최근 재논의가 이뤄졌다. 국가유산청은 "관련 사료와 기록을 종합해 보면 (당시 구출) 작전에 투입된 증기기관차는 미카3-219호로 보인다"면서 "129호는 작전 일자와 작전 목적이 1950년 7월 20일 물자 후송으로 기술된 문헌이 있는 점 등에 비춰 등록 사유에 오류가 있으므로 등록을 말소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말소된 문화유산은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사례까지 합치면 총 19건이 된다. 2005년 등록된 '진주 하촌동 남인수 생가'는 근거 자료를 신뢰할 수 없어 등록이 말소됐고, '은제이화문화병'은 왕실 유산이 아니라 일본 제품인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됐다. 올해 초에는 장마와 폭우 등으로 훼손된 '통영 구 석정여인숙'이 등록 말소됐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2025-06-12 09:19:15【 대전=김원준 기자】대전역 주변이 철도관련 문화유산을 활용한 역사문화관광지로 탈바꿈한다. 대전시는 동구 소제동 대전역 일원의 철도보급창고 및 국내 최대의 철도관사촌 등 철도문화 유산을 활용한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키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를 위해 대전시는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을 사업수행자로 선정하고 이달 중 사업 준비를 마친 뒤 다음 달부터 프로그램 운영에 들어간다. 주요 프로그램은 △철도관사촌 레지던스 △철도보급창고 음악회 및 전시회 △철도문화유산 답사 △워크숍 및 세미나 등이다. 철도관사촌 레지던스 프로그램은 다음달부터 오는 12월까지 입주작가를 모집해 관사촌에서 작품 활동을 하도록 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철도보급 창고를 활용한 열린 음악회는 6월과 10월에 열리며 철도문화재 사진전 개최, 옛 충남도청사의 근대문화유산과 철도문화유산을 연계한 투어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대전시는 대전을 대표하는 철도문화유산을 활용한 전시 및 공연 등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원도심 주민들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철도승객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대전은 지난 1904년 경부선 철도부설과 대전역 개통으로 근대 도시로, 급속히 발전한 도시로 철도청 대전지역사무소 보급창고(등록문화재 제 168호), 철도관사촌 30여 채, 다수의 철도 관련 교량 및 터널,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등록문화재 제 415호) 등 많은 유·무형 철도문화유산이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올 상반기에 대전 철도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실시할 계획"이라면서 "용역결과가 나오면 철도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방안 정책 수립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kwj5797@fnnews.com
2013-03-14 13:1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