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오일뱅크가 연산 13만t 규모의 바이오 디젤 전용 공장을 상업 가동하고 본격 생산에 돌입했다고 18일 밝혔다. 3만9669㎡ 공장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디젤은 동·식물성 기름 등을 원료로 생산되는 연료다. 석유 기반 연료와 성상이 유사하고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크다. 특히 바이오 디젤은 바이오 항공유나 바이오 선박유 등 바이오 기반 연료 중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상용화된 연료 중 하나로 국내에서는 현재 4%인 의무 혼합 비율이 2030년에는 8% 수준까지 높아질 예정이다. 이번에 준공된 HD현대오일뱅크의 바이오 디젤 공장은 국내 최초로 초임계 공정이 도입된 바이오 디젤 공장이다. 초임계 공정은 기존 바이오 디젤 공장과 달리 고온?고압 조건에서 촉매 없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용 원료인 대두유와 팜유는 물론, 팜 잔사유와 같이 산도가 높아 처리가 까다로운 비식용 원료도 투입 가능해 기존 공법 대비 식량 자원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홍요은 기자
2024-04-18 18:06:48[파이낸셜뉴스] HD현대오일뱅크가 연산 13만t 규모의 바이오 디젤 전용 공장을 상업 가동하고 본격 생산에 돌입했다고 18일 밝혔다. 3만9669㎡ 공장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디젤은 동·식물성 기름 등을 원료로 생산되는 연료다. 석유 기반 연료와 성상이 유사하고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크다. 특히 바이오 디젤은 바이오 항공유나 바이오 선박유 등 바이오 기반 연료 중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상용화된 연료 중 하나로 국내에서는 현재 4%인 의무 혼합 비율이 2030년에는 8% 수준까지 높아질 예정이다. 이번에 준공된 HD현대오일뱅크의 바이오 디젤 공장은 국내 최초로 초임계 공정이 도입된 바이오 디젤 공장이다. 초임계 공정은 기존 바이오 디젤 공장과 달리 고온∙고압 조건에서 촉매 없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용 원료인 대두유와 팜유는 물론, 팜 잔사유와 같이 산도가 높아 처리가 까다로운 비식용 원료도 투입 가능해 기존 공법 대비 식량 자원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함께 HD현대오일뱅크는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 확보를 위해 롯데웰푸드와 협력, 폐자원 순환 경제에 적극 나선다. HD현대오일뱅크는 롯데웰푸드로부터 폐식용유 등의 바이오 디젤 원료를 공급 받고 이를 기반으로 생산한 바이오 디젤 제품은 롯데그룹 계열사의 운송용 트럭 등에 다시 공급할 예정이다. 주영민 HD현대오일뱅크 대표이사는 "바이오 디젤 공장 준공을 시작으로 바이오 항공유, 선박유 생산의 초석을 다졌다"며 "향후에는 해외 바이오 디젤 수출 사업 등 친환경 종합 에너지 기업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2024-04-18 09:19:54[파이낸셜뉴스] 국내 정유업계가 오는 2030년까지 수소첨가 바이오디젤(HBD) 등 친환경 연료 분야에 6조원 이상을 투자한다는 소식에 에코바이오 등 관련주가 장중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24일 오후 2시 16분 현재 에코바이오는 전 거래일 대비 5.59% 오른 6420원에 거래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남호 2차관 주재로 이날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 달개비에서 국내 정유 4사 대표들과 만나 석유업계 주요 현안과 미래 발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오종훈 SK에너지 대표와 김정수 GS칼텍스 부사장, 류열 에쓰오일(S-Oil) 전략·관리총괄사장, 주영민 HD현대오일뱅크 대표가 참석했다. 이에 정유업계 대표들은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과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2030년까지 약 6조원을 친환경 연료 분야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수소첨가 바이오디젤과 바이오항공유에 약 3조614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고 폐플라스틱·폐윤활유 등 친환경 원료 투입 공정에 2조4500억원이 들어간다. 바이오디젤에도 390억원이 투자되는 등 투자금은 6조78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에코바이오는 업사이클링(Up Cycling)을 통한 에코체인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매립지 등에서 발생하는 바이오 가스를 기반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수혜 기대감이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4-01-24 14:17:01HD현대오일뱅크가 탄소중립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핵심사업인 차세대 바이오디젤 제조공장이 다음 달 상업가동에 들어간다. 글로벌 에너지 산업이 탄소저감을 목표로 하는 지속가능연료 시장으로 전환을 앞두면서 국내 정유사 가운데 관련 생산시설이 처음으로 운영되는 것이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HD현대오일뱅크는 충남 대산공장 1만㎡ 부지에 구축하던 연 13만t 규모의 차세대 바이오디젤 제조공장 건설을 마무리짓고 이르면 연초부터 상업가동에 들어간다. 차세대 바이오디젤은 동식물성 유지에 수소를 첨가해 생산하는 것으로, 현대오일뱅크는 화이트바이오 사업의 첫 단추로 차세대 바이오디젤 상업가동을 추진했다. HD현대오일뱅크는 이어 2024년까지 대산공장 내 일부 설비를 친환경 경유인 연산 50만t 규모 수소화 식물성 오일(HVO) 생산설비로 전환한다. HD현대오일뱅크가 이같이 차세대 바이오디젤 등 지속가능연료 시장에 적극 뛰어드는 것은 해당 시장이 글로벌 탄소중립 추세와 맞물려 급성장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속가능연료는 차세대 바이오디젤을 비롯해 지속가능항공연료(SAF), 재생가능천연가스 및 합성천연가스, 바이오 및 e-메탄올 등을 아우르는 친환경 차세대 연료를 의미한다. 맥킨지에 따르면 지속가능연료는 탈탄소화의 격차를 해소하고 전기차를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수요가 20년 동안 3배 증가해 2050년까지 약 6.02억t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 바이오 선박유와 항공유가 전체 시장에서 2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글로벌 탄소배출 저감에 있어 지속가능연료는 핵심 역할을 할 것이며 바이오연료, 이퓨얼 및 화학부산물 등 광범위한 저탄소연료로 구성돼 있다"면서 "지속가능연료는 탈탄소화의 격차를 해소하고 전기화를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에 20년 동안 3배 증가해 2050년까지 약 6억t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2023-12-25 17:41:17[파이낸셜뉴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석동찬 책임연구원팀이 개발한 플라즈마 기술이 미국 바이오디젤 생산 기업에 기술이전돼 바이오디젤 생산에 활용된다. 이는 국내 플라즈마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글로벌시장 진출 가능성을 확인한 셈이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미국 미네소타에 위치한 '플라즈마 블루'사와 '액상 매질 플라즈마 방전 발생장치' 기술에 대한 기술실시계약을 체결했다. 29일 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따르면, 플라즈마 블루사는 이 기술을 활용해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디젤 생산 시 원료를 가공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개발에 활용할 예정이다. 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이 기술에 대한 국내 및 미국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기술실시계약을 통해 플라즈마 블루사에 미국 지역에 한 해, 바이오에너지 분야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비독점적 기술 실시권을 제공하게 된다. 기술 발명자인 석동찬 책임연구원은 "플라즈마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기업에서 이번 기술을 활용하게 돼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플라즈마 기술이 국내외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플라즈마는 원자핵과 전자가 서로 분리된 이온화된 기체 상태로 주로 기체에 전극을 연결하여 높은 전압을 가해 방전을 일으켜 발생시킨다. 일반 기체와는 다른 전기적·광학적 특성 등으로 인해 물질의 네 번째 상태로 불리며 반도체를 비롯한 환경, 의료, 농업 등 다양한 산업에 관련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반면, '액상 매질 플라즈마 방전 발생 기술'은 기체가 아닌 액체 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방식의 일종으로, 각각 분리돼 있는 액체가 전극 역할을 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이는 적은 전력량으로도 높은 전기장을 인가시킬 수 있고, 전극이 액체에 직접 닿지 않아 부식이 적어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이다. 또한, 매질 역할을 하는 액체의 종류도 제한이 없어 응용 분야가 무한한 것도 특징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3-11-29 09:29:37[파이낸셜뉴스]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SKTI)가 동식물성 유지로 바이오디젤 원료를 만드는 '대경오앤티'를 인수한다. KDB산업은행과 유진PE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그린이니셔티브 2호와 컨소시엄을 통해서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스틱인베스트먼트는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컨소시엄과 동식물성 유지 제조업체 대경오앤티의 경영권 매각을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분 100% 거래로 올해 내 딜 클로징(거래 종결)을 할 것으로 보인다. 매각 주관사는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다. 이번 매각 대상은 스틱인베스트먼트가 펀드를 통해 보유한 대경오앤티 지분 70%와 김창윤 전 대경오앤티 대표의 지분 19.72%를 포함한 지분 100%다. 대경오앤티는 1995년 창립 이후 돼지 부산물 등을 가공해 동물성·식물성 유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 40%로 1위다. 유지(동식물에서 채취한 기름) 생산 과정에서 탄소가 배출되는 만큼 대경오앤티는 폐식용유 등을 수거해 바이오디젤의 원료를 만드는 사업을 기존보다 확대했다. 바이오디젤 사업 덕분에 대경오앤티는 배출되는 탄소보다 더 많은 탄소배출권을 획득했다. 앞서 스틱인베스트먼트는 2017년 대경오앤티를 945억원에 인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틱인베스트먼트는 경영권 인수 이후 글로벌 탄소중립 트렌드를 고려한 중장기 성장전략 하에서 적극적인 볼트온(bolt-on), 관리체계 강화 등 가치제고 활동을 통해 대경오앤티를 기존 사료용 원료 업체에서 지속 가능 에너지 원료 업체로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스틱인베스트먼트가 대경오앤티 매각을 통해 거두게 될 투자원금 대비 수익률(MOIC)은 약 3배 이상일 것으로 전망된다. 스틱 성장동력M&A 펀드를 내부수익률(IRR) 10%대 후반으로 청산하겠다는 목표에도 가까워졌다. SKTI는 2013년 7월 SK에너지의 트레이딩 사업 부문의 인적 분할로 설립됐다. 서석원 SKTI 사장은 2018년 12월 취임해 SK에너지 R&S CIC 대표를 겸직하며 SK에너지와 SKTI 간 사업 시너지를 내는 데 주력해 왔다. 서 사장은 원유·석유 제품 전문 트레이딩 기업의 본업은 물론 탄소 감축 전략을 바탕으로 한 그린 비즈니스 모델 확립을 주도하고 있다. 미래 에너지 트레이딩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3-10-17 08:19:28[파이낸셜뉴스] DS단석(옛 단석산업)이 평택1공장 내 2세대 바이오디젤인 'HVO' 원료 정제 공장을 착공했다. 14일 DS단석에 따르면 지난 13일 진행한 착공식에는 한승욱 회장, 김종완 부사장을 비롯해 시화 본사와 평택 임직원 등 7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평택1공장 이정현 부사장 경과보고를 시작으로 착공식, 안전 기원제 순으로 진행했다. 'HVO(Hydrotreated Vegetable Oil)' 원료 정제 공장은 평택1공장 내 기존 사무동을 철거하고 증축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총 357억원을 들여 내년 7월 완공한 뒤 8월 시험생산을 목표로 한다. 이번 HVO 원료 정제 공장 증축을 통해 생산 가능한 전처리 원료는 연간 약 30만톤에 달한다. HVO 원료 정제 공장은 평택1공장에서 운영하는 기존 바이오디젤 공장과 함께 운영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제조 원가 절감 △공사비용 감소 △인허가 용이 등 효과를 창출할 전망이다. DS단석이 이번 HVO 원료 정제 공장 증축에 나선 배경에는 현재 진행 중인 바이오디젤 세대 교체가 있다. 기존 1세대 바이오디젤(FAME)은 식물성 유지와 회수유를 주원료로 사용하며, 원료 품질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일반 디젤에 비해 품질이 낮다. 이에 비해 2세대 바이오디젤(HVO)은 동물성 유지를 주원료로 확대 사용할 수 있으며, 원료 품질 민감도가 낮고 디젤과 품질이 유사해 혼합이 용이하다. 이 같은 트렌드에 발맞춰 회사는 글로벌 바이오디젤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방침으로 HVO 원료 정제 공장 증설에 나섰다. DS단석은 2세대 바이오디젤 진화를 기반으로 바이오항공유(SAF)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도 진행 중이다. 한승욱 DS단석 회장은 "2세대 바이오디젤인 HVO 원료 공급용 정제 플랜트 착공을 시작으로 오는 2026년 전처리 원료만이 아닌 HVO 자체 생산을 위한 50만톤 규모 플랜트 착공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1세대 바이오디젤 수출 역량을 기반으로 새로운 친환경 성장동력을 확보하면서 글로벌 자원순환 기업으로 입지를 굳힐 것"이라고 말했다. butter@fnnews.com 강경래 기자
2023-09-14 09:43:25【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케이디탱크터미널㈜이 울산 울주군 온산읍 온산국가산업단지에 바이오디젤 생산공장을 신설한다. 4일 울산시에 따르면 부지 면적은 1만 4627㎡이며 연간 9만t 생산규모이다. 375억원이 투입되며 내년 10월 준공할 예정이다. 바이오디젤은 동·식물성 폐유지를 촉매로 메탄올과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합성한 제품이다. 석유제품과 화학적으로 유사해 기존 내연기관의 구조변경 없이 사용가능한 친환경 연료이다. 케이디탱크터미널은 극동유화의 관계회사로 지난 2018년 설립됐다. 자본금 130억원, 매출액 49억원 규모의 중견기업이며 울산 울주군에 본사를 두고 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2023-09-04 08:20:18국내 공동연구진이 식물성 기름과 동물성 지방으로 바이오디젤을 만들면서 버려지는 글리세롤을 고부가 화학연료로 만들었다. 대표적으로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글리콜산이나 가죽 산업 원료로 사용되는 포름산 등 상대적으로 가치가 높은 화합물들이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화학공학과 김원배 교수팀은 한국화학연구원 김형주 박사팀, 한국재료연구원 최승목 박사팀, 부경대 서민호 교수팀과 함께 글리세롤을 고부가가치 화학 원료로 만드는 '코발트-구리산화물 촉매'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바이오디젤은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친환경 연료지만 투입되는 원재료 중 10%만이 쓰이고 나머지는 버려지는 글리세롤이다. 연구진은 이 폐기처리해야 할 글리세롤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에 집중했다. 글리세롤을 산화시키면 글리콜산과 포름산이 만들어지는데 이때 주로 값비싼 금이나 백금을 이용한다. 값비싼 귀금속으로 글리세롤의 탄소 결합을 끊어내 화학원료를 만들어는데, 연구진은 귀금속 대신 코발트와 구리를 활용했다. 코발트와 구리로 만든 촉매를 실험한 결과 코발트-구리산화물의 표면에서는 탄소와 탄소 간 결합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글리세롤로부터 고부가 화학제품인 글리콜산과 포름산이 만들어졌다. 김원배 교수는 "이는 글리세롤 뿐만아니라 다양한 바이오매스 부산물들의 고부가가치 화합물 전환 반응을 위한 비귀금속 전기화학촉매 개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새로운 촉매를 소재, 화학, 나노 분야에서 권위있는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발표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3-04-03 18:16:12[파이낸셜뉴스] 국내 공동연구진이 식물성 기름과 동물성 지방으로 바이오디젤을 만들면서 버려지는 글리세롤을 고부가 화학연료로 만들었다. 대표적으로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글리콜산이나 가죽 산업 원료로 사용되는 포름산 등 상대적으로 가치가 높은 화합물들이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화학공학과 김원배 교수팀은 한국화학연구원 김형주 박사팀, 한국재료연구원 최승목 박사팀, 부경대 서민호 교수팀과 함께 글리세롤을 고부가가치 화학 원료로 만드는 '코발트-구리산화물 촉매'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바이오디젤은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친환경 연료지만 투입되는 원재료 중 10%만이 쓰이고 나머지는 버려지는 글리세롤이다. 연구진은 이 폐기처리해야 할 글리세롤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에 집중했다. 글리세롤을 산화시키면 글리콜산과 포름산이 만들어지는데 이때 주로 값비싼 금이나 백금을 이용한다. 값비싼 귀금속으로 글리세롤의 탄소 결합을 끊어내 화학원료를 만들어는데, 연구진은 귀금속 대신 코발트와 구리를 활용했다. 코발트와 구리로 만든 촉매를 실험한 결과 코발트-구리산화물의 표면에서는 탄소와 탄소 간 결합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글리세롤로부터 고부가 화학제품인 글리콜산과 포름산이 만들어졌다. 김원배 교수는 "이는 글리세롤 뿐만아니라 다양한 바이오매스 부산물들의 고부가가치 화합물 전환 반응을 위한 비귀금속 전기화학촉매 개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새로운 촉매를 소재, 화학, 나노 분야에서 권위있는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발표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3-04-03 14:5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