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베어링자산운용은 장기성장성이 높은 아시아 기업에 투자하는 ‘베어링 아시아 성장주 증권 자투자신탁(주식-재간접형)’(베어링 아시아 성장주 펀드)을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이 펀드는 장기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고 코로나19로 가속화된 구조적 변화에서 수혜를 받는 아시아 지역의 우량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특히 △빠르게 증가하는 중산층 △유비쿼터스 기술 △미·중 관계 변화로 촉발된 공급망 다각화 △최근 화두로 떠오르는 지속가능성 트렌드 등 아시아 지역의 굵직한 구조적 변화 속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는 성장 기업에 주목한다. 펀드의 운용을 총괄하는 수하이 림 베어링 아시아 주식 대표는 “아시아 주식은 기업의 적정 가격이 시장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여전히 매력적인 시장”이라며 “실적 개선과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밸류에이션, 낮은 글로벌 투자자 비중, 시장의 구조적인 변화 등에서 투자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펀드는 1987년 설정된 베어링 아시아 성장주 피투자펀드(Barings Asia Growth Fund)에 투자하는 재간접 펀드다. 30년 이상 다양한 시장 사이클에 걸쳐 안정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시현해왔다. 피투자펀드는 꾸준히 벤치마크를 웃도는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배인수 베어링자산운용 한국법인 대표는 “아시아의 빠른 성장과 지속가능성 등 투자 트렌드에 발맞춰 베어링 아시아 성장주 펀드를 선보이게 됐다”며 “세계 선두의 디지털 경제권이자 글로벌 생산기지인 아시아 시장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모색하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투자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1-07-05 09:17:31베어링자산운용은 장기성장성이 높은 아시아 기업에 투자하는 '베어링 아시아 성장주 증권 자투자신탁(주식-재간접형)'(베어링 아시아 성장주 펀드)을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이 펀드는 장기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고 코로나19로 가속화된 구조적 변화에서 수혜를 받는 아시아 지역의 우량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특히 △빠르게 증가하는 중산층 △유비쿼터스 기술 △미·중 관계 변화로 촉발된 공급망 다각화 △최근 화두로 떠오르는 지속가능성 트렌드 등 아시아 지역의 성장 기업에 주목한다. 펀드의 운용을 총괄하는 수하이 림 베어링 아시아 주식 대표는 "아시아 주식은 기업의 적정 가격이 시장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여전히 매력적인 시장"이라며 "실적 개선과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밸류에이션, 낮은 글로벌 투자자 비중, 시장의 구조적인 변화 등에서 투자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아 기자
2021-07-05 17:34:22지분을 팔고 떠났던 외국인들이 신한금융에 다시 돌아왔다. 외인들은 금융의 사회적 책임 강화, 배당제한, 이익공유제 등으로 지분을 뺐지만 올 들어 다시 투자늘리는 추세다. 특히 신한금융은 최근 실적개선, 배당확대 등의 노력으로 외인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의 외국인 지분률은 코로나19 여파로 크게 줄었다. 2019년 말 외국인 지분율이 64.4%였으나 지난해 말에는 57.04%로 줄었다. 지난해 10월 말에는 53.9%까지 떨어져 최저치였다가 최근에는 60%까지 회복했다. 여기에다 지난해 세계적인 사모펀드 베어링프라이빗에쿼티아시아의 6000억원 가량의 지분투자 지분이 포함되면 외국인 지분율은 64.3%로 2019년 말 수준까지 높아진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베어링프라이빗에쿼티아시아가 설립된 사모펀드(PE)가 아직 외국인 투자자로 분류가 안돼 있는 상황"이라며 "이 지분이 포함되면 외국인 지분율이 크게 높아진다"고 전했다. 지난해 신한금융의 외국인 지분이 줄어든데는 △배당 제한 △금융의 사회적 역할 강조 △정치권이 이익 공유제 강조 등의 영향이 컸다. 금융그룹 주식은 성장주보다 배당주로 분류되는데 지난해 배당이 크게 제한이 됐다. 코로나19로 금융의 안정성이 강조되면서 금융당국은 금융그룹의 배당성향을 올해 6월까지 20%로 묶었다. 사상 최대 실적을 냈지만 배당은 예년보다 낮아지면서 외국인 지분율이 낮아졌다. 또 코로나19의 위기 극복이 전 사회적인 과제가 되면서 금융의 사회적 역할이 강조된 것도 하나의 이유였다. 중소기업·자영업자의 대출 만기 연장, 이자유예 조치 등이 1년 넘게 이뤄졌고 정치권에서 이익공유제, 이자제한 조치 등이 언급되면서 금융그룹의 미래 경영 환경이 불확실해졌다. 여기에다 금융주의 대장주 역할을 KB금융에 빼앗기면서 외국인들의 지분율 축소가 상대적으로 컸다. KB금융의 외국인 지분율은 2019년 말 66.51%에서 2020년 말 65.32%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지난해 6월 5일 64.24%로 최근 몇 년간 가장 낮은 지분율을 보였다. 올해 6월에는 68%까지 올랐다. 신한금융은 지난해부터 분기배당 시행 등을 내세우며 주주가치 확보에 적극 나섰다. 지난해 하반기 경영전략회의에서는 저평가된 신한지주 주가 회복 방안이 주요 안건으로 오르기도 했다. 그 결과 금융권 최초로 분기배당을 꺼내들었다. 올해 하반기 첫 분기배당이 단행될 전망이다. 특히 최근 올해 하반기 신한생명보험과 합병을 앞두고 있는 오렌지라이프생명보험이 상반기 전체 당기순이익과 맞먹는 2000억원을 신한금융지주에 배당을 하기로 하면서 신한금융의 중간배당에 대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실적도 외국인들에게 매력적이다. 신한금융은 올해 1·4분기 1조 1919억원의 순이익을 을 거뒀다. 분기 이익 역대 최고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올해 금융그룹의 실적은 예년보다 더 좋아질 것"이라며 "금리인상도 예고돼 있어 성장성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2021-06-27 18:1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