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고양=노진균 기자】 경기 고양특례시는 '고양시 벽제수질복원센터 3단계 증설 민간투자사업' 추진을 위한 시설사업기본계획을 고시했다고 6일 밝혔다. 시는 사업시행자 모집을 시작으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고양시에 따르면 벽제수질복원센터는 2007년 준공된 시설로, 고농도의 하수가 유입되고 유입하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됨에 따른 시설 과부하, 노후화의 가속 등으로 하수 처리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또한 지난 8월 기록적 폭염으로 인한 기중차단기(ACB) 과열로 화재가 발생해 처리장 가동이 일시 중단됐으나, 시의 신속한 초동 대처로 단시간 내 복구를 완료해 피해를 최소화한 바 있다. 이에 시는 피해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 고양시 수질복원센터 고압 전기시설물 전체에 자동소화설비장치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한 증설사업을 통해 신규시설 설치에 따른 기존 노후시설의 부하를 경감시켜 벽제처리구역 내 안정적인 하수 처리를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벽제수질복원센터 3단계 증설 민간투자사업은 손익공유형 민간투자사업 방식(BTO-a)으로 추진된다. 사업규모는 하수처리시설 9,000t/일 증설 및 전체시설 48,200t/일 운영에 해당하며, 사업시행자는 벽제수질복원센터와 관련시설 일체를 20년간 운영하게 된다. 사업 참여를 위한 1단계 참가자격사전심사(PQ) 서류접수는 올해 12월 25일까지 진행된다. 사업참가를 위한 자격 요건, 사업계획서 작성 등 관련 사항은 고양시 및 공공투자관리센터, 한국 환경공단 누리집(홈페이지)에서 열람 가능하다. 시 관계자는 "3단계 증설시설은 현 벽제수질복원센터 부지 내 건설되므로 완전지하화를 통해 악취 저감이 가능하다. 상부 공간에는 주민친화시설을 조성해 인근 주민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공중위생을 향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njk6246@fnnews.com 노진균 기자
2024-11-06 15:33:57【파이낸셜뉴스 고양=노진균 기자】 경기 고양특례시가 하수처리 시설의 노후도를 개선하고, 기능과 효율성을 높이는 인프라 구축에 집중해 안정적인 시설 기반의 맑은 물 공급에 주력한다. 시는 하수관로 정비로 재해를 예방하고 수질을 보전하며 쾌적한 도시 환경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5일 고양시에 따르면 시는 전역에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공공 하수도 정책을 추진해 지속 가능한 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하천에 맑고 깨끗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자연 생태적으로 건강한 물 순환 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이를 위해 하수도의 효율적 관리와 공공수역의 수질보전 등을 위해 '하수도정비 기본계획(변경) 수립용역'을 추진한다. 지난해 6월 착수한 용역은, 2035년 고양도시기본계획,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수립지침, 오염총량관리계획 등 변경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진행 중이다.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은 하수도 분야 최상위 행정계획으로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고, 단계별 관리대책을 수립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또한 공공하수도 정비 사업 등 국비 확보를 위한 근거로 활용된다. 시는 올해까지 하수도정비 기본계획(변경) 안을 마련해 내년 환경부 승인을 받는다는 방침이다. 현재 시에서는 일산·벽제·원능·삼송 등 4개 수질복원센터를 기준으로 하수를 관리한다. 하루에 총 42만1200t의 생활하수를 처리할 수 있고, 2022년도 기준으로 하수도 보급률 94.7%를 유지하고 있다. 전체 하수량의 약 60%를 처리하는 일산수질복원센터는 처리 성능 개선을 위한 시설 개량사업을 진행한다. 일산수질복원센터는 지난 1993년, 1999년에 각각 1, 2단계로 설치돼 시설 노후화와 설계 대비 고농도 하수 유입으로 처리 용량이 떨어진 상태다. 또한 향후 일산테크노밸리, 고양방송영상밸리 등 개발 사업으로 하수 유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정적인 하수 처리를 위해 일산수질복원센터에는 슬러지 처리시설과 산기관 교체, 송풍기 추가 설치, 생물반응조 간벽조정과 내부 반송펌프 개량 등을 3단계로 나눠 진행할 예정이다. 3월 경 1단계 사업 착공 후 2026년 완료를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분류식 하수관 설치, 노후 하수관 정비… 효율·체계적 하수도 시설 개선시는 분류식 하수관로 설치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하수 악취를 줄이고 수질을 개선한다. 분류식 배수설비는 오염도가 높은 부엌, 화장실 등 생활하수는 별도의 전용 오수관로를 거쳐 하수처리장으로 보내고, 깨끗한 빗물은 빗물받이를 통해 하천으로 흘러가도록 한다. 올해는 화전동, 대덕동 일대의 20.5km 오수관로 설치 공사를 지속 추진하고, 대자동 일대의 14.1km 오수관로 설치 공사를 새롭게 추진한다. 또한 2027년까지 신도·창릉, 지도1, 사리현, 원당, 풍동·도촌 등 5개 사업을 추진하여 총연장 117km에 달하는 오수관로 설치를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지반 침하의 직간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되는 노후 하수관로를 정비하고 있다. 지난 2020년 4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노후 하수관로 정비공사 1, 2단계 사업을 시행했고, 우·오수 노후 하수관로 37km, 총 1,364개소에 대한 관로 정비를 완료했다. 올해부터는 3, 4단계를 본격 추진할 예정으로, 현재 실시설계와 정밀조사 용역을 진행 중이다. 시는 국비를 최대한 확보하여 적기에 공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노후 하수관로 공사와는 별개로 관로 파손, 기능 저하로 긴급 하수도 개선이 필요한 덕양구 주교동, 화정동, 일산서구 주엽동 일원에 대해서는 별도의 정비사업을 시행 하고 있다"며 "해당 사업은 올해 상반기 내 완료할 수 있도록 신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njk6246@fnnews.com 노진균 기자
2024-02-05 10:02:17[고양=강근주 기자] 고양시 팀장들이 늘어나는 개발수요에 발맞춰 효율적인 수질오염총량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고양시는 27일 상하수도사업소 소회의실에서 ‘수질오염총량관리 이행평가 보고회’를 실시했다. 이용진 고양시 생태하천과장 주재로 진행된 이날 보고회에는 개발 및 오염물질 삭감 관련 부서의 팀장들이 모여 증가세를 보이는 개발 수요로 인한 총량 관리 대응방안에 대한 의견을 심도 있게 교환했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하천의 목표수질(BOD, T-P)을 정하고 이를 달성·유지하기 위해 허용부하량 이하로 수질을 관리하는 제도로 고양시가 속한 한강수계는 1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 기간은 2013년 6월부터 2020년 말까지다. 고양시는 그동안 부족한 개발부하량을 확보하기 위해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한강유역환경청 등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승인기관에 수차례 방문, 벽제 수질복원센터의 방류수 수질 개선에 대한 개발부하량 추가 및 파주시와 유역 간 개발부하량 교환 등을 협의해 왔다. 그 결과 5월2일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을 최종 승인받는 성과를 올렸으며 안정적으로 1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를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이용진 생태하천과장은 1일 “향후 2단계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2021~2030년)‘가 실시될 예정인데 고양시의 하천 수질환경을 보전하면서 지역개발 사업이 균형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고양시는 매년 오염원 자료를 조사하고 오염물질 배출·삭감시설에 대한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등 수질오염총량 시행계획에 따른 이행평가를 해마다 진행하고 있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2018-07-01 11:2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