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신세계그룹 계열 온라인 쇼핑몰 SSG닷컴(쓱닷컴)은 CJ대한통운과 손잡고 도착보장 서비스 '스타배송'을 도입한 지 한 달 만에 비식품 매출이 50% 늘었다고 1일 밝혔다. 스타배송은 CJ대한통운의 '오네(O-NE)' 서비스를 기반으로 약속한 날짜에 100% 도착을 목표로 한다. 현재 도서산간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밤 11시까지 주문하면 다음 날 받아볼 수 있고, 2만원 이상 구매 시 무료로 합배송(모든 상품을 상자 하나에 담아 발송)된다. 예정된 배송일에 상품을 받지 못하면 SSG머니 1천원을 보상금으로 지급한다. 지난 3월 27일~4월 26일까지 한 달간 스타배송 적용 비식품 매출은 직전월 대비 50% 증가했다. 스타배송은 비식품 매출 비중이 78%에 달해 장보기 배송 서비스인 '쓱 주간배송'과 '쓱 새벽배송'을 효과적으로 보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SG닷컴은 CJ대한통운과 긴밀히 협력해 올 하반기 중 스타배송을 입점 파트너사 상품까지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어서 지난 13일 시범 운영을 시작한 주 7일 배송 서비스의 공식 도입 여부도 검토한다. 한명식 SSG닷컴 스타배송 PO리더는 "식품 중심의 쓱배송과 비식품 중심의 스타배송이 시너지를 내며 쇼핑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며 "다가오는 어버이날 선물도 약속한 날 배송해주는 스타배송을 통해 준비해 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clean@fnnews.com 이정화 기자
2025-05-01 13:33:06[파이낸셜뉴스] 이마트24가 초저가 프로젝트 '상상의끝' 첫번째 비식품 상품으로 '7600롤티슈'를 선보인다. 상상의끝은 고객들이 많이 찾는 상품을 초저가로 선보이는 물가안정 프로젝트로이마트24는 기존 '1900김밥', '900삼각김밥', '1000블랙커피'와 같은 식품 라인업에 이어 비식품으로까지 카테고리를 확대한 것이다. 27일 이마트에 따르면 오는 29일 출시하는 7600롤티슈는 '3겹', '30m', '24입'이 특징이다. 1m당 가격은 10.5원으로 이마트24가 운영하는 두루마리 휴지 중 최저 가격이다. 이마트24는 7600롤티슈 출시를 기념해 오는 4월 한달 동안 우리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로 결제 시 1천원 할인 행사를 진행하며, KT 통신사 할인 최대 10%까지 중복 적용 가능해 더욱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초저가 프로젝트 상상의끝에 대한 고객들의 반응은 매출 실적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1900김밥은 출시 후 최단기간(50일) 40만개를 판매하며 부동의 1등 참치마요김밥의 매출을 제쳤고, 3600비빔밥은 덮밥/초밥 상품군 중 비빔밥 매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40.1%로 출시 전월 대비 15.8% 상승시키는 등 고무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정훈 이마트24 라이프&컬쳐팀 MD는 "지난 '상상의끝' 상품들이 각 카테고리 내에서 매출과 판매량 모두 1~2등을 유지하고 있고 먹거리 상품 외에도 두루마리 휴지와 같은 생활용품에 대한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번 상품을 개발하게 됐다"며 "7600롤티슈 출시를 시작으로 물티슈와 미용티슈 등 향후 일상에 도움되는 다양한 생활용품을 초저가로 준비해 고객 장바구니 부담을 덜고 물가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2025-03-27 10:05:36마켓컬리의 자체 브랜드 상품 중 비식품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마켓컬리는 ‘동급 최고 품질’의 가성비를 자랑하는 브랜드 ‘KF365(컬리프레시365)’의 비식품 누적 판매량이 1년 만에 100만개를 돌파했다고 27일 밝혔다. 차별화된 품질에 집중하는 브랜드 ‘컬리스(Kurly’s)’의 비식품 판매량 역시 1년 6개월여 만에 100만개를 넘어섰다. 마켓컬리는 2020년 4월, 일상 속에서 꼭 필요한 품목들을 최상의 품질과 최선의 가격으로 제공한다는 모토 아래 KF365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콩나물, 애호박 등 필수 신선식품을 엄선해 판매하다가, 지난해 6월부터 키친타올, 미용티슈 등을 판매하면서 비식품 카테고리를 점차 늘리고 있다. 컬리스 역시 2020년 11월 칫솔을 처음 선보인 이후 물티슈, 수세미 등으로 비식품을 늘렸다. 상품 수 확대는 매출로 이어졌다. KF365 비식품은 지난해 11월을 기점으로 월 판매량 10만개를 넘어섰다. 이후에도 지속적인 매출 증가세를 보이며 나날이 성장 중이다. KF365 비식품의 성장 동력은 품질 대비 엄청난 가성비다. 마켓컬리가 지난 4월 말 선보인 KF365 멀티탭은 개별 스위치와 안전커버를 갖춘 고급 사양에, KS 인증까지 획득한 국내생산 제품이다. 그럼에도 생산과 판매에 있어 불필요한 요소들을 속속들이 제거함으로써, 온라인 최저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출시 4주 만에 1만개 이상이 팔려나간 비결이다. 작년 10월 선보인 KF365 양말 또한 국내 전문기업이 자존심을 걸고 생산한 제품이다. 백화점 등지에서 1만원에 팔리곤 하는 메리노울 소재 양말을 파격적인 가격으로 판매해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마켓컬리는 이 같은 판매 실적에 대해,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믿음이 비식품으로까지 확장된 결과라고 보고 있다. KF365의 식품 카테고리 상품은 지난 2년 간 2000만 개 이상 판매될 만큼 고객의 신뢰를 얻고 있다. 모든 식품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을 통해 안전성 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한다. KF365와 컬리스의 비식품들 또한 제품마다 각기 공인된 기관에서 까다로운 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고객에게 있는 그대로 공유한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마켓컬리의 자체브랜드 비식품들은 동일 사양의 타사 제품과 비교해 2~10배 더 많이 팔린다. ‘품질과 가격 모두 좋아요’, ‘착한 가격에 양도 넉넉합니다’ 등의 긍정적 구매 후기가 상품 별로 수천 개씩 달려 있다. 이승우 컬리 생활팀 MD는 “친환경 및 유아용 세탁세제, 주방세제, 청소용품, 수건 등 생필품 중심으로 KF365의 비식품 카테고리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높은 고객 만족을 바탕으로 해당 영역의 월 매출을 연내 3배 규모로 키우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ju0@fnnews.com 김주영 기자
2022-05-27 08:49:15식품 분야가 주특기인 마켓컬리의 비식품 카테고리가 급성장 중이다. 마켓컬리는 최근 리빙, 유아동, 반려동물 등 카테고리를 확장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리빙헬스 상품의 올해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135% 증가했다. 이 중에서도 휴지, 생리대, 세제 등 생필품은 약 208% 증가했다. 유아동 카테고리의 매출도 같은 기간 지난해 대비 약 94% 증가했다. 주요 타깃층인 자녀가 있는 주부들의 필요에 맞춰 상품 구색이 대폭 늘어나 지난해 대비 약 2배가 넘는 상품을 판매 중이다. 반려동물을 위한 제품군도 지난 1월 론칭 이후 꾸준한 신장세를 보이며 20억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2019-11-19 18:06:41식품 분야가 주특기인 마켓컬리의 비식품 카테고리가 급성장 중이다. 마켓컬리는 최근 리빙, 유아동, 반려동물 등 카테고리를 확장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리빙헬스 상품의 올해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135% 증가했다. 이 중에서도 휴지, 생리대, 세제 등 생필품은 약 208% 증가했다. 유아동 카테고리의 매출도 같은 기간 지난해 대비 약 94% 증가했다. 주요 타깃층인 자녀가 있는 주부들의 필요에 맞춰 상품 구색이 대폭 늘어나 지난해 대비 약 2배가 넘는 상품을 판매 중이다. 반려동물을 위한 제품군도 지난 1월 론칭 이후 꾸준한 신장세를 보이며 20억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2019-11-19 11:54:18GS25가 60여개 자체 브랜드(PB) 상품의 가격을 100~200원 인상했다. GS25는 중소 협력업체들의 가격인상 요청으로 지난 1일부터 60여개 비식품 PB 상품의 가격을 인상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가격이 오른 상품은 나무젓가락, 종이컵, 머리핀, 옷핀 등이다. 인상폭은 100~200원 선이다. 나무젓가락(10입)은 700원에서 800원으로 100원이 올랐고 종이컵(50입)은 1800원에서 2000원으로 200원이 인상됐다. GS25 관계자는 "이전부터 중소협력업체들의 가격인상 요청이 계속돼 이번에 협의를 통해 가격을 인상하게 됐다"면서 "아직까지 추가적인 상품 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2018-03-02 16:32:16한국투자증권 여영상 연구원은 18일 이마트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유지), 목표주가 28만원을 유지했다. 이마트의 11월 실적은 부진했다. 총매출은 1조 7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0.4% 줄어드는데 그쳤지만, 기존점매출은 전년동기대비 4.2% 감소했다. 이마트몰 등 신규사업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8.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20.6% 감소한 519억원을 기록했다. 10월 실적 개선과 달리 11월에는 다시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들었고, 10월, 11월 누계 기준으로는 영업이익이 전년동기간 대비 7.6% 감소한 실적이다. 그는 "영업규제 영향권에서 벗어났고, 이제는 규제완화 가능성이 오히려 더 큰 시기이다"면서 "11월 판매가격 인하에 따른 실적 부진은 일시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12월 현재 추위가 찾아오면서 비식품군의 매출도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015년에는 면세유통업 확장, 위드미 확대 등 신규사업의 성장성이 돋보이는 시기가 될 것으로 보이며, 대형마트 등 기존사업의 실적개선도 동시에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kmh@fnnews.com 김문호 기자
2014-12-18 07:53:04편의점 자체브랜드(PB)상품이 식품뿐만 아니라 비식품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는 PB상품을 늘려 편의점의 약점인 가격경쟁력을 보완하기 위한 것. PB상품의 경우 납품단가가 낮아 소비자가격도 저렴하게 매길 수 있기 때문이다. 편의점 수가 1만개에 근접하면서 막강한 유통파워를 가지게 된 것도 편의점이 PB상품 제작에 쉽게 나설 수 있게 된 배경이다. GS25는 전체 상품 가운데 PB상품이 20%가량 차지하고 있다. 최근까지는 주로 패스트푸드, 빵, 과자, 음료 등 식품이 PB상품의 주류였으나 최근들어 PB상품 범위를 비식품으로까지 확대했다. GS25는 의류브랜드 NII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5월 초에 우산을 내놨다. 장마가 다가오면서 편의점에서 우산을 찾는 손님이 늘어나는데 현재 판매되는 우산은 가격이 너무 높다고 판단, 닥스, 피에르가르뎅을 주문 제작해 수출하고 있는 중국 최대 우산전문업체 ‘대통우산’에서 제조한 우산을 PB상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또 편의점 전용상품으로 방충체 홈키파 수성에어졸, 오렌지에어졸, 리퀴드플러그 등 3종도 출시됐다. 편의점은 소용량 구매자가 많다는 점을 감안, ‘에어졸’의 경우 기존 500㎖ 용량을 330㎖로 줄여 판매하고 있다. 전체상품 중 PB상품이 7%를 차지하고 있는 훼미리마트에서도 타월, 목장갑, 면봉, 야외용 스푼, 여행용 세트, 캐주얼 양말, 치솔, PB 스파크 5㎏, 칫솔, 티슈 등 30여가지의 비식품 PB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GS25 비식품팀 이기철 과장은 “편의점 공산품의 가격경쟁력이 할인점, 슈퍼마켓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편의점 전용상품을 식품에서 확대해 공산품으로 크게 넓힐 방침이며 6월에는 여성스타킹 10여종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padet80@fnnews.com 박신영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06-05-30 15:12:27할인점 제품 판매 비중이 식품에서 비식품 쪽으로 넘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마트가 지난 5∼11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 15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소비자들이 할인점에서 구매한 품목으로는 식품이 53%, 비식품이 4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0년 조사에서 식품 70%, 비식품 30%이던 것에 비하면 비식품 분야가 큰 폭으로 성장한 것. 이는 고객들의 할인점에 대한 인식이 ‘식품을 주로 파는 곳’에서 ‘식품과 함께 의류·가전·생활용품 등을 살 수 있는 원스톱쇼핑몰’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할인점 선택의 최우선 기준도 지난 2000년 ‘상품 수와 품질’에서 ‘교통?편의’로 바뀌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객들이 할인점을 선택할 때의 판단기준은 ‘교통· 거리’ 46%, ‘상품 구색·품질’ 19%, ‘가격’ 12%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 2000년 조사에서는 상품 구색?품질이 32%로 1위였고 교통·거리는 17%에 그쳤었다. 한편 서비스·편의시설을 따진다는 고객은 5%에 그쳤다. 또 평일 쇼핑은 34%에서 25%로 감소했으나 금요일을 포함한 주말 쇼핑은 66%에서 75%로 증가했다. 할인점 1회 방문시 10만원 이상 구매한다는 고객도 30%에서 35%로 증가했다. 한편 롯데마트 서울역점 고객 3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할인점 선택을 좌우하는 대표 상품으로는 우유, 라면, 생수, 음료 등 가공식품이 39%로 가장 많이 꼽혔다. / yscho@fnnews.com 조용성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05-12-23 13:59:04[파이낸셜뉴스] GS리테일의 올해 2·4분기 수익성이 지난해 대비 소폭 상승했다. 편의점 영업이익은 감소한 가운데 개발부문 및 자회사 등의 실적 개선이 전체 영업이익을 견인했다. GS리테일은 8일 올해 2·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2조 9806억원, 영업이익은 1.7% 증가한 845억원이라고 공시했다. 매출 신장에는 편의점 및 슈퍼의 매출액 증가가 주효했고, 영업이익 증가에는 개발 부문 및 자회사 등의 실적 개선 효과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편의점 GS25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2조 2257억원, 영업이익은 9.1% 감소한 590억원이다. GS리테일 측은 "업황의 어려움 속에서도 서울우유디저트 등 히트상품 판매 호조가 이 같은 매출 상승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슈퍼마켓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4267억원, 영업이익은 16.9% 하락한 54억원을 기록했다. 홈쇼핑은 TV시청 감소 및 온라인 유통 간 쇼핑 경쟁 심화 속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영업이익은 7.4% 감소했다. 개발 사업은 일부 프로젝트 종료로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0.2% 감소한 81억원을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45억원 늘어난 19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자회사가 포함된 공통 및 기타 부문의 매출도 542억원으로 8.2%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적자 폭을 59억원 줄이며 -70억원을 기록했다. GS리테일은 하반기에도 '이익 중심의 내실 성장'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편의점은 소비 쿠폰 등의 영향으로 다변화된 편의점 소비 경향에 맞춰 장보기 상품을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의류, 뷰티 등 비식품 상품군에서 차별화를 꾀하며 신성장 동력으로 강화할 예정이다. 홈쇼핑은 TV시청 감소, 이커머스 경쟁 심화라는 외부 환경 변화 속에서도 45~54세 핵심 고객층의 라이프스타일을 겨냥해 차별화 브랜드 육성 및 상품을 발굴하고 셀럽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해 성장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슈퍼마켓은 가맹점 중심의 매장 확대 및 퀵커머스(배달·픽업) 강화, 고물가 속 가격 소구형 신선식품 확대 등을 계획하고 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수익성과 내실 경영을 강화하며 어려운 업황 극복에 주력한 결과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늘었고, 특히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의 상품과 서비스를 강화하고, 내실 다지기에 집중하는 등 지속 가능한 사업 성장에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localplace@fnnews.com 김현지 기자
2025-08-08 10:2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