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롯데카드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총 36건의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출원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출원의 특징은 영문 약어 형태인 '티커(Ticker)' 중심의 상표권 출원을 넘어, 사용자에게 쉽게 인식되고, 기억하기 쉬운 '브랜드명 상표권'까지 함께 등록했다는 점이다. 특허정보 검색서비스 키프리스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최근 인지하기 쉬운 한글 표기 위주의 △원빗 △케이토큰 △로카머니 등 12개의 브랜드명 상표권을 출원했다. 또 △WONBIT △KTOKEN △LOCAMONEY 등 24개의 티커 상표권을 출원했다. 티커는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코인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축 기호로, 예를 들어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 브랜드인 테더(Tether)의 티커는 USDT다. 또 주목할 만한 점은 롯데카드가 '범용형'과 '특수목적형' 두가지 유형의 상표권을 함께 출원했다. △한국 원화를 뜻하는 'WON'과 디지털 자산 단위를 뜻하는 'BIT'를 조합한 'WONBIT' △한국을 뜻하는 'K'에 디지털 자산을 의미하는 'TOKEN'을 조합한 'KTOKEN' △롯데카드를 의미하는 'LOCA'에 화폐를 의미하는 'MONEY'를 조합한 'LOCAMONEY' 등 범용형 상표권을 출원했다. 아울러 'LOCA'에 중고물품, 자동차를 뜻하는 'USED', 'AUTO' 등을 결합해 특정 자산 시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특수목적형 상표권 'LOCA-U', 'LOCA-A'도 출원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을 위해서는 시장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일상 결제(payment)에서 널리 사용되어야 한다고 본다"며 "향후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중고차·명품·부동산·금 같은 고가 자산 관련 거래 시장에서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2025-07-23 17:15:44BNK금융그룹은 지난 4일 BNK금융지주와 자회사 부산은행, 경남은행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관련한 상표권을 각각 출원했다고 7일 밝혔다. 현재 시장에서 통용되는 스테이블코인은 대부분 미국 국채와 예금 기반의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국경 없는 결제와 송금, 디지털자산 거래의 가치저장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국내에서는 원화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은행권은 원화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개척해 한국 금융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장 선점을 위해 공동 대응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그 일환으로 BNK금융지주도 자회사와 핀테크 제휴사를 통해 활용 가능한 스테이블코인 상표명 총 11건,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은행 주도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목표로 부산은행 10건, 경남은행 4건의 출원을 각각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은행권 스테이블코인발행 준비법인인 사단법인 오픈블록체인 DID협회(OBDIA) 스테이블코인분과에 정식 가입하고, 주요 금융기관과 함께 스테이블코인 공동 연구에 직접 참여하기로 했다. 오픈블록체인 DID협회는 11개 은행과 금융결제원이 참여하는 은행권 스테이블코인 합작 법인 설립도 동시에 추진 중이다. 이번 상표권 출원을 통해 BNK금융그룹은 금융지주와 부산은행, 경남은행이 각자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디지털 자산 생태계 인프라 조성에 전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NK금융그룹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자산시장 고도화에 시작점이 될 것"이라면서 "주요 금융기관들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시장 진입 시기와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세부적으로 준비하겠다” 라고 밝혔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2025-07-07 15:26:35[파이낸셜뉴스] BNK금융그룹은 지난 4일 BNK금융지주와 자회사인 부산은행, 경남은행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관련한 상표권을 출원했다고 7일 밝혔다. 시장에서 통용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은 대부분 미국 국채와 예금 기반의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국경 없는 결제와 송금, 디지털자산 거래의 가치저장 수단으로 활용돼 결과적으로 국내에서는 원화의 효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에 은행권은 원화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 개척을 통해 국내 금융안정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시장 선점을 위해 공동 대응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그 일환으로 BNK금융은 자회사 또는 핀테크 제휴사를 통해 활용 가능한 스테이블코인 상표명 총 11건,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은행 주도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목표로 부산은행 10건, 경남은행 4건의 출원을 각각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은행권 스테이블코인발행 준비법인인 사단법인 오픈블록체인 DID협회(OBDIA) 스테이블코인분과에 정식 가입하고, 주요 금융기관들과 함께 스테이블코인 공동 연구에 직접 참여 한다. 오픈블록체인 DID협회는 11개 은행과 금융결제원이 참여하는 은행권 스테이블코인 합작 법인 설립도 동시에 추진 중이다. 이번 상표권 출원을 통해 BNK금융은 금융지주와 부산은행, 경남은행이 각자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디지털 자산 생태계 인프라 조성에 전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BNK금융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자산시장 고도화에 시작점이 될 것으로 보이며, 주요 금융기관들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시장 진입 시기와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세부적으로 준비하겠다”라고 밝혔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2025-07-07 14:39:07[파이낸셜뉴스] 폴라리스오피스가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POLAKRW’ 명칭으로 상표권을 특허청에 출원하며 디지털 자산 시장 공략에 시동을 걸었다. 이번 상표권 출원은 총 102건이다. △제9류(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암호화폐 관련 프로그램) △제36류(전자금융·결제대행·가상자산 중개업) △제42류(블록체인 기반 기술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개발) 등 3개 주요 상품류를 포괄하며 향후 원화 중심 스테이블코인 서비스 전반에 대한 사전 권리 확보 차원에서 이뤄졌다. 7일 폴라리스오피스에 따르면 폴라리스쉐어(POLA)는 2020년 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에 상장된 지식공유 기반(S2E) 토큰으로 이미 디지털 자산 분야에서 안정성을 입증한 바 있다. 현재 종속회사 폴라리스쉐어테크를 통해 안정적인 운영과 유지를 하고 있다. POLA는 최근 글로벌 결제 플랫폼 페이팔(PayPal)의 USD 기반 스왑풀을 본격 개설하고 암호화폐와 법정화폐간 환전 경로의 유동성을 확대하고 있다. 회사 측은 "이번 상표권 출원은 최근 그룹 차원에서 발표한 웹3 기반 디지털 금융 서비스 전략의 일환으로, POLAKRW는 블록체인 상에서 원화 가치에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으로 개발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은 웹3 전환의 시작점이자 데이터, 결제, 계약을 하나로 연결하는 디지털 인프라”라며 “빗썸에 상장된 ‘POLA’ 토큰은 코인 사기 등이 빈번했던 크립토 윈터(코인 약세장) 시기에도 시장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POLAKRW를 중심으로 지식 공유 플랫폼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장을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폴라리스오피스는 문서 이해 기반 인공지능(AI) 기술을 토대로 다양한 산업에 특화된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다. 이번 상표권 출원을 포함해 디지털 자산 및 블록체인 영역까지 사업 영역을 본격 확장하고 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5-07-07 12:42:20[파이낸셜뉴스] iM뱅크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을 출원했다고 4일 밝혔다. 출원 상표는 ‘iMKRW’, ‘iMST’, ‘KRWiM’ 등 총 12건으로 원화를 뜻하는 ‘KRW’에 시중은행 전환 이후 새롭게 바뀐 사명인 ‘iM’을 조합했다. 앞서 iM뱅크는 오픈블록체인·DID협회(OBDIA)에 가입해 스테이블코인 분과에 합류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체계 제도화에 따른 상표권 확보를 통해 디지털 자산 기술을 내재화하고 디지털 금융서비스 전략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스테이블코인은 ‘1코인-1만원’처럼 달러, 원화 등 법정화폐와 1:1로 연동해 안정적으로 가격이 유지되도록 설계된 가상자산으로, 여당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관련 관련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iM뱅크는 관계자는 “원화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움직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상표권을 출원한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앞으로 스테이블코인 시장 상황과 관련 법안의 추이를 면밀히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2025-07-04 11:30:38[파이낸셜뉴스] 케이뱅크가 스테이블코인 'K-STABLE' 도입을 위해 관련 상표권 12건을 출원했다고 1일 밝혔다.K-STABLE은 케이뱅크가 발행을 검토하는 스테이블코인 명칭이다. 'K-팝' 'K-푸드'처럼 글로벌 시장에서 'K-금융'을 대표하는 디지털자산으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담았다. 케이뱅크는 이번 K-STABLE 상표 출원을 계기로 스테이블코인 중심의 디지털자산 전략을 본격화하고 향후 월렛, 송금, 결제, 수탁 등 디지털 금융서비스 전반에 걸쳐 K-STABLE 기반의 상표와 기술을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먼저 스테이블코인 명칭을 나타내는 △K-STABLE △K STABLE △KSTABLE 등 3종의 상표를 출원했다. 이는 명칭의 다양한 표기 형태를 확보함으로써, 향후 서비스 확장성과 마케팅 활용을 고려한 포괄적 권리 확보 차원이다. 이와 함께 스테이블코인의 티커(약어)를 의미하는 △KSTA △KBKKRW △KRWKBK △KBKSTB △KBKC △KSTKRK △KRWKST △KSTC △KRWSC 등 9종의 상표도 출원했다. 티커는 코인의 이름을 줄여 표현하는 약어로 비트코인은 BTC, 이더리움은 ETH로 불린다. 각 티커는 원화 연동성, 디지털 결제 활용성, 직관성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해 설계됐으며, 모두 K-STABLE이라는 명칭 하에 유기적으로 구성됐다. 특히 KSTA는 케이뱅크와 스테이블코인의 결합을 상징하는 대표 티커이며 K-STABLE을 대표하는 핵심 식별자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KBKKRW, KRWKBK 등은 원화(KRW) 기반 디지털자산임을 직관적으로 표현하며 KSTC, KBKC 등은 Currency의 약어를 포함해 결제 수단으로서의 기능성과 통화로서의 이미지를 담아냈다. 한편 케이뱅크는 상표권 출원에 앞서 지난 6월 오픈블록체인·DID협회(OBDIA)에 가입해 스테이블코인 분과에 합류했다. 지난 4월에는 스테이블코인 기반 해외송금 실증 사업인 팍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등 디지털자산 기술 내재화와 제도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이번 상표권 출원은 케이뱅크가 지향하는 디지털 금융의 방향성을 구체화한 K-STABLE 출시 전략의 일환”이라며 “앞으로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금융 서비스를 확대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강화해 디지털자산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금융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
2025-07-01 15:59:33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스테이블코인 법제화에 빠르게 나서면서 은행권이 상표권을 경쟁적으로 출원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에 이어 KB국민은행, 하나은행 등 시중은행들까지 특허청에 상표권을 출원하고 나섰다. 글로벌 지급결제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의 비중이 가파르게 커지면서 기존 해외송금 수수료 수익을 거둔 은행권이 주도권을 놓지 않기 위해 서두르는 모양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지난 23일 특허청에 'KB'에 원화를 의미하는 'KRW'를 조합한 'KBKRW' 'KRWKB'를 비롯해 'KKRWB' 등 총 17개 상표를 9류(스테이블코인 거래를 위한 전자금융거래 플랫폼용 소프트웨어 등), 36류(스테이블코인금융거래업, 스테이블코인 전자이체업 등) 2개의 상품 분류로 나눠 총 32건의 상표권을 출원했다. 상표는 스테이블코인금융거래업, 전자지갑 결제서비스업, 전자화폐 지불거래 처리업, 스테이블코인 전자이체업 등으로 분류됐다. 향후 스테이블코인 시장 활성화에 대비해 상표권을 선점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이번 출원은 상표권 선점을 위해 우선적으로 등록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이날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HanaKRW' 'KRWHana' 등 16개 상표를 출원 신청했다. 하나은행은 오픈블록체인·DID협회 가입을 통한 스테이블코인 협의체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하나은행은 향후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진행 및 국내외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대응할 계획이다. 카카오뱅크는 최근 특허청에 4개의 상표(BKRW·KRWB·KKBKRW·KRWKKB)를 9류, 36류, 42류(암호화폐 채굴업 등) 등 3개 상품분류로 나눠 총 12건의 상표권을 출원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움직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상표권을 출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 신사업그룹 산하 투자담당 조직은 가상자산 분야 관련시장 동향과 기술, 규제 모니터링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 정부가 스테이블코인의 법적·제도적 환경 조성을 공약한 만큼 제도가 마련되면 신속하게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박소현 박문수 기자
2025-06-25 21:23:54[파이낸셜뉴스]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스테이블코인 법제화에 빠르게 나서면서 은행권이 상표권을 경쟁적으로 출원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에 이어 KB국민은행, 하나은행 등 시중은행들까지 특허청에 상표권을 출원하고 나섰다. 글로벌 지급결제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의 비중이 가파르게 커지면서 기존 해외송금 수수료 수익을 거둔 은행권이 주도권을 놓지 않기 위해 서두르는 모양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지난 23일 특허청에 'KB'에 원화를 의미하는 'KRW'을 조합한 'KBKRW', 'KRWKB'를 비롯해 'KKRWB' 등 총 17개 상표를 9류(스테이블코인 거래를 위한 전자금융거래 플랫폼용 소프트웨어 등), 36류(스테이블코인금융거래업, 스테이블코인 전자이체업 등) 2개의 상품 분류로 나눠 총 32건의 상표권을 출원했다. 상표는 스테이블코인금융거래업, 전자지갑 결제서비스업, 전자화폐 지불거래 처리업, 스테이블코인 전자이체업 등으로 분류됐다. 향후 스테이블코인 시장 활성화에 대비해 상표권을 선점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이번 출원은 상표권 선점을 위해 우선적으로 등록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이날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HanaKRW, KRWHana 등 16개 상표를 출원 신청했다. 하나은행은 오픈블록체인·DID협회 가입을 통한 스테이블코인 협의체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하나은행은 향후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진행 및 국내외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대응할 계획이다. 카카오뱅크는 최근 특허청에 4개의 상표(BKRW·KRWB·KKBKRW·KRWKKB)를 9류, 36류, 42류(암호화폐 채굴업 등) 등 3개 상품분류로 나눠 총 12건의 상표권을 출원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움직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상표권을 출원한 것"이라며 "관련 법안과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 신사업그룹 산하 투자 담당 조직은 가상자산 분야 관련 시장 동향과 기술, 규제 모니터링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 정부가 스테이블코인의 법적·제도적 환경 조성을 공약한 만큼 제도가 마련되면 신속하게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앞서 카카오페이는 시장 선제 대응 차원에서 PKRW, KKRW, KRWK, KRWP, KPKRW, KRWKP 등 총 6개 상표를 9류, 36류, 42류로 나눠 총 18건의 상표권을 출원한 바 있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박문수 기자
2025-06-25 18:52:04카카오뱅크가 카카오페이에 이어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을 출원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최근 특허청에 4개의 상표(BKRW·KRWB·KKBKRW·KRWKKB)를 9류(암호화폐 소프트웨어 등), 36류(암호화폐 금융거래 업무 등), 42류(암호화폐 채굴업 등) 등 3개 상품분류로 나눠 총 12건의 상표권을 출원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움직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상표권을 출원한 것"이라며 "관련 법안과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 신사업그룹 산하 투자 담당 조직은 가상자산 분야 관련 시장 동향과 기술, 규제 모니터링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 정부가 스테이블코인의 법적·제도적 환경 조성을 공약한 만큼 제도가 마련되면 신속하게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앞서 카카오페이는 시장 선제 대응 차원에서 PKRW, KKRW, KRWK, KRWP, KPKRW, KRWKP 등 총 6개 상표를 9류, 36류, 42류로 나눠 총 18건의 상표권을 출원한 바 있다. 최근 국회에서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는 '디지털자산기본법'이 발의되는 등 제도화 논의가 빨라지고 있다. 특히 글로벌 지급결제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의 비중이 가파르게 커지면서 기존 해외송금 수수료 수익을 거둬온 은행권도 분주해지는 모습이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
2025-06-25 18:05:14[파이낸셜뉴스] 새 정부가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를 본격 추진하면서 은행권의 선점 경쟁이 발생하도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HanaKRW, KRWHana 등 16개 상표를 출원 신청했다. 하나은행은 오픈블록체인·DID협회 가입을 통한 스테이블코인 협의체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향후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진행 및 국내외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며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카카오뱅크는 최근 특허청에 4개의 상표(BKRW·KRWB·KKBKRW·KRWKKB)를 9류(암호화폐 소프트웨어 등), 36류(암호화폐 금융거래 업무 등), 42류(암호화폐 채굴업 등) 등 3개 상품분류로 나눠 총 12건의 상표권을 출원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움직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상표권을 출원한 것"이라며 "관련 법안과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
2025-06-25 18:02:08